베이즈주의와 IBE가 서로 다른 이론임에도 불구하고, 반 프라센은 두 이론의 양립불가능성을 논증하여 IBE가 틀렸음을 주장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IBE 옹호자들과 베이즈주의자들은 두 이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97333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베이즈주의와 IBE가 서로 다른 이론임에도 불구하고, 반 프라센은 두 이론의 양립불가능성을 논증하여 IBE가 틀렸음을 주장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IBE 옹호자들과 베이즈주의자들은 두 이론 ...
베이즈주의와 IBE가 서로 다른 이론임에도 불구하고, 반 프라센은 두 이론의 양립불가능성을 논증하여 IBE가 틀렸음을 주장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IBE 옹호자들과 베이즈주의자들은 두 이론 사이의 양립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오카샤(2000)는 반 프라센이 IBE를 잘못 제시했다는 입장에서, 립톤(2004)은 가설이 증거를 성공적으로 설명한다는 IBE의 요소는 사전확률과 가능도를 결정할 때 베이즈주의에서 이미 반영하고 있지만 사람들이 이러한 확률 부여 과정에서 실수를 하니까 베이즈주의는 IBE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다는 입장에서, 바이스버그(2009)는 가설이 증거를 성공적으로 설명한다는 IBE의 요소는 베이즈주의에서 사전확률을 결정할 때 잘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그리고 핸더슨(2013)은 객관적 베이즈주의의 추론 결과는 IBE가 말하는 것처럼 더 잘 설명하는 이론을 선호하게 되기 때문에 베이즈주의가 IBE와 양립가능한 이론이 되기 위해 특별히 할 일이 하나도 없다는 입장에서 두 이론의 양립가능성을 논의하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본 연구는 베이즈주의와 IBE가 동일한 인식적 직관을 지니고 있고 그 직관을 표현하는 방식이 이론의 제시 수준에서 차이를 가질 뿐이라는 입장, 즉 IBE가 제시하는 인식적 직관은 베이즈주의의 배경이 되는 인식적 직관과 다르지 않으며 그 인식적 직관은 베이즈주의가 좀 더 엄밀한 이론이기에 좀 더 정확하고 엄밀하게 제시할 뿐이라는 주장을 펼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