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행하고 있는 팩션은, 다양한 서술 방식을 동원하여 기록된 역사와 기록되지 않은 역사 사이의 공백을 서사화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역사학의 관점을 승계한다. 이러한 팩션의 유행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261106
2012
Korean
001.3
KCI등재
학술저널
5-35(31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유행하고 있는 팩션은, 다양한 서술 방식을 동원하여 기록된 역사와 기록되지 않은 역사 사이의 공백을 서사화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역사학의 관점을 승계한다. 이러한 팩션의 유행을...
최근 유행하고 있는 팩션은, 다양한 서술 방식을 동원하여 기록된 역사와 기록되지 않은 역사 사이의 공백을 서사화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역사학의 관점을 승계한다. 이러한 팩션의 유행을 계기로 해서 세종이라는 역사적 고유명사는 다시 소설의 전면에 부각할 수 있었다. 팩션의 관점에 따르면, 박종화의 역사소설 『세종대왕』을 통해 공식화된 가장 이상적인 "군왕"인 세종과 그가 통치했던 시대 역시 역사 서술의 허구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추리소설의 서사전략을 차용하여 대중적 흡인력을 확보한 『뿌리 깊은 나무』와 『훈민정음의 비밀』은 세종과 관련된 역사적 공백을 서사화하기 위해 역사적 가정을 입안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특성을 보여준다. 궁궐 안에서 벌어진 연쇄살인사건의 범인을 밝히는 탐정의 조사를 통해 훈민정음 창제 과정에 얽힌 비밀이 서술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동일한 역사적 공백을 서사화하는 과정에 투사된 작가의 욕망이라는 측면에서 두 작품은 확연하게 구분된다. 두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작가의 욕망은 표면적으로는 민족주의라는 거대담론에 귀속된다. 그러나 『뿌리 깊은 나무』의 경우,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민족적 영웅인 세종에게 가장 순결한 이미지를 부여하고자 하는 작가적 욕망이 우선한다. 이로 인해 작가 이정명은 역사적 가정이 아닌 공상을 통해 세종에게 거짓된 이미지를 덧씌운다. 따라서 『뿌리 깊은 나무』은 민족주의를 옹호하기 위해 역사적 사실을 조작했다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다. 이러한 비판은 팩션의 장르적 기원인 새로운 역사학이나 미시사적 관점을 상기시킨다는 점에서 그 자체로 문제적이다. 장르적 정체성을 담보하는 가능성의 역사를 충실히 재현할 수 있는 팩션은 역사적 공백의 서사화를 통해 그 어떤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들도 거대담론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사실을 폭로할 수 있어야 한다. 『훈민정음의 비밀』이 민족주의 담론의 발현이라는 근원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인물과의 대화가 가능한 공간으로 독자들을 인도할 수 있었던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이 작품에서 작가는 공식적인 역사 기록에서 삭제된 인물들의 삶을 충실히 재현함으로써 역설적으로 세종이 민족적 영웅이기에 앞서 한 시대의 담론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던 역사적 인물이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사화된 세종과 그의 시대에 대한 역사적 공백을 읽으면서, 독자들은 민족적 영웅인 세종조차 가부장적 질서와 지배 권력의 담론을 보여주었던 인물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이러한 깨달음을 통해, 독자들은 자신들이 소망했던 세종과의 대화적 욕망을 충족할 수가 있게 된다. 역사적 공백을 서사화하는 팩션의 서술 방식이 역사적 공상이나 상상이 아닌 새로운 역사학이 제시한 역사적 추론에 근거해야 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faction based on the period of King Sejong, and to discuss the narrative methods of filling in historical gaps. Faction, a genre that has become very popular recently, uses various narration techniques...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faction based on the period of King Sejong, and to discuss the narrative methods of filling in historical gaps. Faction, a genre that has become very popular recently, uses various narration techniques to merge written history with unwritten history to fill in historical gaps. This genre succeeds the current viewpoint in the field of history. However, factions are criticized because writers deliberately twist historical facts to make their stories appealing. The name Sejong then has been the focus of many novels due to the rise of fac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factions set in the background of the period of King Sejong, we find that the ideal "King" Sejong and the period of his rule can not be free from the inevitable twisting of history by the writers. The novels Tree with Deep Roots and The Secret of Hunminjeongeum are similar, since they both changed the basic narrative structure of detective novels. Both works are set in the palace where a series of murders take place. Both works have an investigator who sets out to find the suspect responsible for the murders. However, during their investigations, they come across intimate secrets regarding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the first written Korean language which is believed to be invented by King Sejong. However, in the process of filling in historical gaps with narratives, the two works are noticeably different in terms of the writers` desires. On the surface, the two works are similar in that the writers` desires reveal a nationalist discourse, Therefore, the two works can not be immune from criticism since they both twisted historical facts to defend nationalist desires,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nsity of such criticisms between the two works, The desire of the author of Trees with Deep Roots was to give King Sejong, a national hero, a pure image, which was influenced by his nationalist beliefs, Because of this, the twisting of historical facts by the author arise frequently in the novel. On the other hand, the author of The Secret of Hunminjeongeum does not intentionally twist or distort historical facts. Rather, this writer creates characters that have not been recorded in history to fill in missing gaps. Readers then, get a sense that King Sejong was not the pure, ideal king that Trees with Deep Roots makes him out to be, but rather a sexist, authoritarian figure. Factions that can give readers such revelations are what readers really want.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옥련, "훈민정음의 비밀" 생각의나무 2008
2 김영성, "한국 역사추리소설에 투사된 대중의 서사적 욕망" 국제어문학회 (43) : 215-245, 2008
3 박종화, "한 자락 세월을 열고" 동화출판사 1970
4 정여울, "팩션적 글쓰기와 미디어 친화력: 팩션을 향한 비판과 향유 사이에서" 298-309, 2007
5 T. 나르스작, "추리소설의 논리" 예림기획 2003
6 T. 나르스작, "추리소설, In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45-78, 1997
7 김영성, "추리서사에 반영된 매체적 특성과 대중성 - 소설 『영원한 제국』의 영화화를 중심으로" 한국비교문학회 (46) : 161-184, 2008
8 C. 진즈부르크, "징후들:실마리찾기의 뿌리, In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138-206, 2000
9 E.만델, "즐거운 살인" 이후출판사 2001
10 고석호, "월탄 박종화 역사소설 연구 : 1950년대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1 김옥련, "훈민정음의 비밀" 생각의나무 2008
2 김영성, "한국 역사추리소설에 투사된 대중의 서사적 욕망" 국제어문학회 (43) : 215-245, 2008
3 박종화, "한 자락 세월을 열고" 동화출판사 1970
4 정여울, "팩션적 글쓰기와 미디어 친화력: 팩션을 향한 비판과 향유 사이에서" 298-309, 2007
5 T. 나르스작, "추리소설의 논리" 예림기획 2003
6 T. 나르스작, "추리소설, In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45-78, 1997
7 김영성, "추리서사에 반영된 매체적 특성과 대중성 - 소설 『영원한 제국』의 영화화를 중심으로" 한국비교문학회 (46) : 161-184, 2008
8 C. 진즈부르크, "징후들:실마리찾기의 뿌리, In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138-206, 2000
9 E.만델, "즐거운 살인" 이후출판사 2001
10 고석호, "월탄 박종화 역사소설 연구 : 1950년대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11 공임순, "우리 역사소설은 이론과 논쟁이 필요하다" 책세상 2000
12 문흥술, "역사소설과 팩션" (6) : 69-80, 2006
13 박종화, "세종대왕 1-12" 기린원 1993
14 유영소, "삐딱하게 보기" 시각과 언어 1995
15 이정명, "뿌리 깊은 나무 1-2" 밀리언하우스 2006
16 H. 화이트, "메타역사:19세기 유럽의 역사적 상상력" 문학과지성사 1991
17 P. 바야르, "누가 로저 애크로이드를 죽였는가?" 여름언덕 2009
18 곽차섭, "까를로 진즈부르크와 미시사의 도전 in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68-308, 2000
19 오세영, "구텐베르크의 조선 1-3" 예담 2008
20 김영성, "≪리진≫에 나타난 편지의 수사학과 근대적 주체의 욕망" 한국언어문화학회 (40) : 29-49, 2009
21 김기봉, "‘역사란 무엇인가’를 넘어서" 푸른역사 2000
22 이주라, "1950-1960년대 신문 역사소설의 변화, In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2. 역사허구물" 이론과실천 230-257, 2009
TV드라마의 역사적 인물 소환 전략 -<뿌리 깊은 나무>를 중심으로-
일본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속의 인물상 고찰 -4대 작품(四つの定番敎材)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UMANITIES STUDIE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6 | 0.658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