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치위생(학)과의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 현황 분석 = Dental communication training courses in dental hygiene schools in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communication courses in dental hygiene programs in South Korea. Methods: Survey on dental communication training courses was done, and 51 schools (62.2%) responded among a total of 82 dental hygiene schools in Korea. The questionnaire was sent via e-mail and additional telephone calls were used to facilitate response. Statistical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done through SPSS 23.0 for windows program (copyright(c) SPSS Inc., USA). Results: The current establishment rates of dental communication courses in 3-year or 4-year dental hygiene programs were 96.9% and 84.2%, respectively. Such courses were identified as graduation requirement courses in 38.7% of the 3-year hygiene programs and 62.5% of the 4-year dental hygiene programs. When practical training sessions are included within such courses, 70% of such courses included `discussion and presentation` and `audio-visual aids` as a part of their contents, while 48.3% of them were utilizing `role-playing`. Conclusions: As dental communi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re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ists, it should be included as a required course for graduation, and practical training such as `role-playing` should be implemented in order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in students.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communication courses in dental hygiene programs in South Korea. Methods: Survey on dental communication training courses was done, and 51 schools (62.2%) resp...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communication courses in dental hygiene programs in South Korea. Methods: Survey on dental communication training courses was done, and 51 schools (62.2%) responded among a total of 82 dental hygiene schools in Korea. The questionnaire was sent via e-mail and additional telephone calls were used to facilitate response. Statistical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done through SPSS 23.0 for windows program (copyright(c) SPSS Inc., USA). Results: The current establishment rates of dental communication courses in 3-year or 4-year dental hygiene programs were 96.9% and 84.2%, respectively. Such courses were identified as graduation requirement courses in 38.7% of the 3-year hygiene programs and 62.5% of the 4-year dental hygiene programs. When practical training sessions are included within such courses, 70% of such courses included `discussion and presentation` and `audio-visual aids` as a part of their contents, while 48.3% of them were utilizing `role-playing`. Conclusions: As dental communi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re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ists, it should be included as a required course for graduation, and practical training such as `role-playing` should be implemented in order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in stud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은배, "환자-의사간 의사소통 기술 교육에 대한 고찰" 한국의학교육학회 20 (20): 99-107, 2008

      2 김근면, "커뮤니케이션 수업에 대한 간호대생들의 태도"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2 (2): 137-146, 2007

      3 최용금, "치위생학과 교육과정에서의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과목 운영사례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 16 (16): 134-141, 2016

      4 이정화, "치과환자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의료 커뮤니케이션과 신뢰, 만족과의 관계" 한국치위생학회 12 (12): 1017-1027, 2012

      5 류다영,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의료커뮤니케이션 교과목에 대한 필요성 및 인식 조사" 한국치위생학회 14 (14): 623-630, 2014

      6 이영미, "의학과 학생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 시행 경험" 한국의학교육학회 19 (19): 171-175, 2007

      7 김민호, "의료서비스에서 고객지향요인이 서비스가치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 2 (2): 1-26, 2008

      8 이일우, "의료 커뮤니이션 교과목의 형식과 내용 분석 연구: 국내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11 (11): 104-141, 2015

      9 박용익, "의과대학의 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의 문제점"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4 (4): 34-42, 2009

      10 임숙빈, "간호학의 커뮤니케이션 교육: 자기인식의 증진"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 (1): 59-66, 2006

      1 양은배, "환자-의사간 의사소통 기술 교육에 대한 고찰" 한국의학교육학회 20 (20): 99-107, 2008

      2 김근면, "커뮤니케이션 수업에 대한 간호대생들의 태도"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2 (2): 137-146, 2007

      3 최용금, "치위생학과 교육과정에서의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과목 운영사례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 16 (16): 134-141, 2016

      4 이정화, "치과환자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의료 커뮤니케이션과 신뢰, 만족과의 관계" 한국치위생학회 12 (12): 1017-1027, 2012

      5 류다영,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의료커뮤니케이션 교과목에 대한 필요성 및 인식 조사" 한국치위생학회 14 (14): 623-630, 2014

      6 이영미, "의학과 학생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 시행 경험" 한국의학교육학회 19 (19): 171-175, 2007

      7 김민호, "의료서비스에서 고객지향요인이 서비스가치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 2 (2): 1-26, 2008

      8 이일우, "의료 커뮤니이션 교과목의 형식과 내용 분석 연구: 국내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11 (11): 104-141, 2015

      9 박용익, "의과대학의 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의 문제점"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4 (4): 34-42, 2009

      10 임숙빈, "간호학의 커뮤니케이션 교육: 자기인식의 증진"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 (1): 59-66, 2006

      11 이진로, "간호학과 커뮤니케이션 수업과 효능감- 간호학과 수강생 사례 연구"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4 (4): 140-148, 2009

      12 손행미, "간호대학 학부과정 의사소통 교과목 현황 및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426-434, 2011

      13 Park DY, "Theory and practice of dental practice communication skills" Daehannarae Publishing 3-, 2015

      14 Seo PS, "The impact of doctors’ communication styles on patient satisfaction: empirical examination" 7 (7): 57-101, 2002

      15 Lee SS, "Impact of dental hygienist communication style on patient satisfaction" 15 (15): 209-218, 2013

      16 Lee IW, "A content analysis on a form and manner in medical communication subject: focused on the medical schools in Korea" 11 (11): 104-141,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6-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치위생교육학회 -> 한국치위생학회
      영문명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KCI등재후보
      2010-06-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 한국치위생학회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94 1.05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