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폴란드 연금개혁: 민영화에서 재공영화로 = Pension reform in Poland: from pension privatization to reversing pension privat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26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pension reform in the welfare state by evaluating the privatization reform and reversing pension privatization process of the Polish pension system. To this en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on-site interviews, first, a contextual interpretation of the economic, social and institutional aspects of the Polish pension reform is attempted; second, the Polish pension privatization and reversing pension privatization process is explained; third, the meaning was evaluated, and fourth, implications were derived based on the evaluation. Through the pension privatization process through the pension reform in 1999 and the reversing pension privatization process through the pension reform in 2011 and 2014, the increase in the pension deficit due to privatization and the decrease in the pension deficit through the reversing, social insurance higher than that of private investment institutions for pension fund investment performance through public management of institutions, reduction of public debt is converted into population reserve through the reversing pension privatization, excessive administrative costs that cannot be avoided during pension privatization, income replacement rate that has fallen after pension privatization, national consent from mandatory to voluntary subscription was explained. This study suggests that pension privatization not only impairs the original purpose of strengthening old-age income security, but also negatively affects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country. It is important to be cautious to new system only by politicians and to have a national consensu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pension reform in the welfare state by evaluating the privatization reform and reversing pension privatization process of the Polish pension system. To this en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on-s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pension reform in the welfare state by evaluating the privatization reform and reversing pension privatization process of the Polish pension system. To this en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on-site interviews, first, a contextual interpretation of the economic, social and institutional aspects of the Polish pension reform is attempted; second, the Polish pension privatization and reversing pension privatization process is explained; third, the meaning was evaluated, and fourth, implications were derived based on the evaluation. Through the pension privatization process through the pension reform in 1999 and the reversing pension privatization process through the pension reform in 2011 and 2014, the increase in the pension deficit due to privatization and the decrease in the pension deficit through the reversing, social insurance higher than that of private investment institutions for pension fund investment performance through public management of institutions, reduction of public debt is converted into population reserve through the reversing pension privatization, excessive administrative costs that cannot be avoided during pension privatization, income replacement rate that has fallen after pension privatization, national consent from mandatory to voluntary subscription was explained. This study suggests that pension privatization not only impairs the original purpose of strengthening old-age income security, but also negatively affects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country. It is important to be cautious to new system only by politicians and to have a national consensu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폴란드 연금제도의 민영화 개혁과 재공영화 개혁 과정에 대한 평가를 통해 복지국가의 연금개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방법과 현지 인터뷰를 통해 첫째, 폴란드 연금개혁의 경제적, 사회적, 제도적 측면에서의 맥락적 해석을 시도하고, 둘째, 폴란드 연금민영화 및 재공영화 과정을 설명한 후, 셋째, 그 과정에서 나타난 의미를 평가하고, 넷째, 평가에 기초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1999년 연금개혁을 통한 연금 민영화 과정과 2011년과 2014년 연금개혁을 통한 연금 재공영화 과정을 통해, 민영화로 인한 연금적자의 증가와 재공영화를 통한 연금적자의 감소, 민간투자기관보다 높은 사회보험기관의 공공관리를 통한 연기금 투자 실적, 연금 재공영화를 통해 공공부채 감소분을 인구예비금으로 전환, 연금 민영화 시 피할 수 없는 과도한 행정비용, 연금민영화 이후 하락한 소득대체율, 국민적 동의에 따른 2층 법정 민간연금의 의무가입에서 임의가입으로의 변화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연금 민영화가 연금제 도의 본연의 목적인 노후소득보장 강화의 훼손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국가의 경제사회적 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소수 정치인들만의 신규 연금제도의 설계는 신중해야 하며 국민적 합의가 중요하다는 점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폴란드 연금제도의 민영화 개혁과 재공영화 개혁 과정에 대한 평가를 통해 복지국가의 연금개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방법과 현지 인터...

      본 연구의 목적은 폴란드 연금제도의 민영화 개혁과 재공영화 개혁 과정에 대한 평가를 통해 복지국가의 연금개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방법과 현지 인터뷰를 통해 첫째, 폴란드 연금개혁의 경제적, 사회적, 제도적 측면에서의 맥락적 해석을 시도하고, 둘째, 폴란드 연금민영화 및 재공영화 과정을 설명한 후, 셋째, 그 과정에서 나타난 의미를 평가하고, 넷째, 평가에 기초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1999년 연금개혁을 통한 연금 민영화 과정과 2011년과 2014년 연금개혁을 통한 연금 재공영화 과정을 통해, 민영화로 인한 연금적자의 증가와 재공영화를 통한 연금적자의 감소, 민간투자기관보다 높은 사회보험기관의 공공관리를 통한 연기금 투자 실적, 연금 재공영화를 통해 공공부채 감소분을 인구예비금으로 전환, 연금 민영화 시 피할 수 없는 과도한 행정비용, 연금민영화 이후 하락한 소득대체율, 국민적 동의에 따른 2층 법정 민간연금의 의무가입에서 임의가입으로의 변화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연금 민영화가 연금제 도의 본연의 목적인 노후소득보장 강화의 훼손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국가의 경제사회적 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소수 정치인들만의 신규 연금제도의 설계는 신중해야 하며 국민적 합의가 중요하다는 점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환, "폴란드와 헝가리 연금제도의 분화과정에 대한 연구: 정치제도와 행위자, 그리고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20 (20): 205-245, 2014

      2 구윤정, "폴란드, 2008∼11년 산업별 민영화계획 발표내용" 한국수출입은행 73-79, 2008

      3 민기채, "폴란드 연금제도의 성격 변화에 관한 연구 : 비스마르키언 전통을 중심으로" 동유럽발칸연구소 38 (38): 259-294, 2014

      4 유호선, "폴란드 연금(NDC) 개혁의 성과와 과제" 동유럽발칸연구소 42 (42): 83-118, 2018

      5 Anna Siporska, "폴란드 사회보험청(Zakład Ubezpieczeń Społecznych, ZUS) Researcher, International Cooperation Department: 체제전환과 연금제도의 변화"

      6 Ewa Borowczyk, "폴란드 사회보험청(Zakład Ubezpieczeń Społecznych, ZUS) Director, International Cooperation Department: 연금 공단 및 제도 소개"

      7 Cezary Gawel, "폴란드 노동사회정책부(Ministerstwo Pracy i Polityki Społecznej, MPIPS) Head of the Unit, Department of Economic Analyses and Forecasts: 폴란드 체제전환과 경제사회적 변화 및 성과"

      8 Jerry Ciechanski, "폴란드 노동사회정책부(Ministerstwo Pracy i Polityki Społecznej, MPIPS) Counselor to the Minister, Department of Economic Analyses and Forecasts: 폴란드 체제전환 이후 경제정책과 사회정책의 조화"

      9 민기채, "체제전환국 복지국가에 관한 비교사회정책 연구 : 발전요인, 발전단계, 그리고 체제성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0 김신영, "연금 민영화에 관한 쟁점들: 남미 국가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84-99, 2004

      1 김경환, "폴란드와 헝가리 연금제도의 분화과정에 대한 연구: 정치제도와 행위자, 그리고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20 (20): 205-245, 2014

      2 구윤정, "폴란드, 2008∼11년 산업별 민영화계획 발표내용" 한국수출입은행 73-79, 2008

      3 민기채, "폴란드 연금제도의 성격 변화에 관한 연구 : 비스마르키언 전통을 중심으로" 동유럽발칸연구소 38 (38): 259-294, 2014

      4 유호선, "폴란드 연금(NDC) 개혁의 성과와 과제" 동유럽발칸연구소 42 (42): 83-118, 2018

      5 Anna Siporska, "폴란드 사회보험청(Zakład Ubezpieczeń Społecznych, ZUS) Researcher, International Cooperation Department: 체제전환과 연금제도의 변화"

      6 Ewa Borowczyk, "폴란드 사회보험청(Zakład Ubezpieczeń Społecznych, ZUS) Director, International Cooperation Department: 연금 공단 및 제도 소개"

      7 Cezary Gawel, "폴란드 노동사회정책부(Ministerstwo Pracy i Polityki Społecznej, MPIPS) Head of the Unit, Department of Economic Analyses and Forecasts: 폴란드 체제전환과 경제사회적 변화 및 성과"

      8 Jerry Ciechanski, "폴란드 노동사회정책부(Ministerstwo Pracy i Polityki Społecznej, MPIPS) Counselor to the Minister, Department of Economic Analyses and Forecasts: 폴란드 체제전환 이후 경제정책과 사회정책의 조화"

      9 민기채, "체제전환국 복지국가에 관한 비교사회정책 연구 : 발전요인, 발전단계, 그리고 체제성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0 김신영, "연금 민영화에 관한 쟁점들: 남미 국가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84-99, 2004

      11 류상영, "민영화와 한국경제 : 한국의 민영화 정책과 민영화 방식" 삼성경제연구소 1997

      12 김수완,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2005

      13 이용하,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의 보완적 발전방안" 국민연금연구원 2008

      14 "ZUS"

      15 Inglot, Tomasz, "Welfare states in East Central Europe, 1919-2004"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6 Kornai, János, "The socialist system :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17 Orenstein, Mitchell A, "The new pension reform as global policy" 5 (5): 175-202, 2005

      18 Jaskula, Powel, "The demographic barriers of economic development in Poland, Azerbaijan, Kazakhstan and Uzbekistan by 2035 - the comparative analysis: Poland Economic Outlook 2010-2018"

      19 SSA, "Social Security Programs Throughout the World: Europe" SSA Publication 2018

      20 OECD Stat, "Social Expenditure in Poland"

      21 Polakowski, Michal, "Reversing Pension Privatizations Rebuilding public pension systems in Eastern Europe and Latin America" ILO 2018

      22 Oritz, Isable, "Reversing Pension Privatizations Rebuilding public pension systems in Eastern Europe and Latin America" ILO 2018

      23 Żuk, Piotr, "Retirees without pensions and welfare: The social effects of pension privatization in Poland" 38 (38): 407-417, 2017

      24 Cerami, Alfino, "Post-communist welfare pathways: theorizing social policy transformation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Palgrave Macmillan 2009

      25 Inglot, Tomasz, "Post-communist welfare pathways: theorizing social policy transformation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Palgrave Macmillan 2009

      26 Statistics Poland, "Poland’s Population Age Pyramid"

      27 World Bank Open Data, "GDP in million, GDP growth, Inflation(consumer prices), Population, Fertility rate"

      28 Kornai, János, "Economics of shortage" North-Holland Pub. Co.; U.S.A. and Canada, Elsevier North-Holland 1980

      29 Cerami, Alfino, "A long goodbye to bismarck?: the politics of welfare reform in continental europe"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10

      30 Klaus Michaelis, "(전) DRB(독일 연금보험공단 사무직연금공단) CEO: 독일통일과 연금정책의 변화"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