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무선 센서 네트워크 상에서 멀티 패스워드를 활용한 사용자 인증기술 강화방안 연구 = A study on Enhanced user authentication technology using multi-password on wireless sensor netwo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329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wireless sensor nodes that consume less batteries and have various functions are developing. And as the Internet of Things becomes more common, wireless sensor networks are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military, reactor control systems, and medical monitoring. In particular,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llecting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military law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within the region during military operations. As a result, various studies on wireless sensor networks have been conducted, among which research on security issues arising during authentication is aimed at reducing the overhead of computing power required for security while achieving security objectives.. Liu et al. proposed a temporary credential-based mutual authentication scheme by using multi-passwor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session keys between users and sensor nodes. However, the scheme failed to guarantee anonymity, could be vulnerable to DoS attacks, vulnerabilities were found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sensor node, and the session key of the sensor was exposed by the user. We propose a temporary credential-based mutual authentication scheme using multi-password with improved security to improve the county's password and authentication technology capabilities and analyze safety.
      번역하기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wireless sensor nodes that consume less batteries and have various functions are developing. And as the Internet of Things becomes more common, wireless sensor networks are being used in vario...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wireless sensor nodes that consume less batteries and have various functions are developing. And as the Internet of Things becomes more common, wireless sensor networks are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military, reactor control systems, and medical monitoring. In particular,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llecting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military law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within the region during military operations. As a result, various studies on wireless sensor networks have been conducted, among which research on security issues arising during authentication is aimed at reducing the overhead of computing power required for security while achieving security objectives.. Liu et al. proposed a temporary credential-based mutual authentication scheme by using multi-passwor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session keys between users and sensor nodes. However, the scheme failed to guarantee anonymity, could be vulnerable to DoS attacks, vulnerabilities were found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sensor node, and the session key of the sensor was exposed by the user. We propose a temporary credential-based mutual authentication scheme using multi-password with improved security to improve the county's password and authentication technology capabilities and analyze saf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 WSN)는 군사, 헬스케어, 환경 모니터링, 산업현장 및 스마트 빌딩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군사관련 법률 및 개인정보보호법의 절차에 따라 위험한 환경을 관찰하고 기록해야하는 군사 작전 지역에 배치된 무선센서는 작전 지역 내 환경의 변화를 측정하여 작전을 수행하는데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Liu 등은 사용자와센서 노드간의 세션키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멀티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방식을 통하여 임시 자격증명 기반 상호인증 스킴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 스킴은 익명성을 보장하지 못하고, DoS 공격에 취약할 수 있으며, 사용자와 센서노드 간의 통신에서 취약점이 발견되었으며, 사용자에 의해서 센서의 세션키가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군의 암호 및 인증기술 역량 향상을 위해서 보안성이 향상된 멀티 패스워드를 이용한 임시 자격증명 기반 상호인증스킴을 제안하고 안전성을 분석한다
      번역하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 WSN)는 군사, 헬스케어, 환경 모니터링, 산업현장 및 스마트 빌딩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군사관련 법률 및 개인정보보호법의 절차에 따라 위...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 WSN)는 군사, 헬스케어, 환경 모니터링, 산업현장 및 스마트 빌딩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군사관련 법률 및 개인정보보호법의 절차에 따라 위험한 환경을 관찰하고 기록해야하는 군사 작전 지역에 배치된 무선센서는 작전 지역 내 환경의 변화를 측정하여 작전을 수행하는데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Liu 등은 사용자와센서 노드간의 세션키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멀티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방식을 통하여 임시 자격증명 기반 상호인증 스킴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 스킴은 익명성을 보장하지 못하고, DoS 공격에 취약할 수 있으며, 사용자와 센서노드 간의 통신에서 취약점이 발견되었으며, 사용자에 의해서 센서의 세션키가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군의 암호 및 인증기술 역량 향상을 위해서 보안성이 향상된 멀티 패스워드를 이용한 임시 자격증명 기반 상호인증스킴을 제안하고 안전성을 분석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