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부품국산화 개발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 A Study on system improvement plan to promote localization of par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329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most of the parts of the weapon system operated in Korea are procured through overseas purchases, a huge budget is leaked abroad every year.
      Accordingl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each military are making great efforts to localize weapons system parts.
      However, privatel companies are having a lot of difficulties participating in the localization of military equip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mprovement methods were propos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activate the parts localization development project.
      The first is to actively include the items economical viable items when filing requirem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selection criteria for selection of eligible companies for localization.
      The third is to improve the system so that the company can support the initial investment cost.
      By improving thc problems of the current system in order to promote the localization of parts for military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it is expected that more domestic companies will participate in the parts localization development business.
      번역하기

      As most of the parts of the weapon system operated in Korea are procured through overseas purchases, a huge budget is leaked abroad every year. Accordingl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each military are making great efforts to localize weapon...

      As most of the parts of the weapon system operated in Korea are procured through overseas purchases, a huge budget is leaked abroad every year.
      Accordingl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each military are making great efforts to localize weapons system parts.
      However, privatel companies are having a lot of difficulties participating in the localization of military equip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mprovement methods were propos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activate the parts localization development project.
      The first is to actively include the items economical viable items when filing requirem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selection criteria for selection of eligible companies for localization.
      The third is to improve the system so that the company can support the initial investment cost.
      By improving thc problems of the current system in order to promote the localization of parts for military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it is expected that more domestic companies will participate in the parts localization development busi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에서 운영하는 무기체계의 부품은 대부분이 해외 구매를 통해 조달됨에 따라 매년 막대한 예산이 국외로 유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방부 및 각 군에서는 무기체계 부품의 국산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기울이고 있으나, 민간 업체에서는 군 장비의 국산화 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민간 업체 측면에서 군의 부품국산화 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데 있어서의 제한 사항들을 살펴보고 부품국산화 개발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소요제기 시 경제성 있는 품목을 적극적으로 포함하는 것이고, 둘째는 국산화 개발 적격업체 선정 평가 기준을 개정하는 것이며, 셋째는 업체의 초기 투자 비용을 지원해 주도록 제도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방산 장비 부품국산화 활성화를 위하여 현행 제도의 제한사항을 업체 중심으로 개선하여 더 많은 국내 기업들이 부품국산화개발 사업에 참여하길 기대한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에서 운영하는 무기체계의 부품은 대부분이 해외 구매를 통해 조달됨에 따라 매년 막대한 예산이 국외로 유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방부 및 각 군에서는 무기체계 부품의 국산화...

      우리나라에서 운영하는 무기체계의 부품은 대부분이 해외 구매를 통해 조달됨에 따라 매년 막대한 예산이 국외로 유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방부 및 각 군에서는 무기체계 부품의 국산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기울이고 있으나, 민간 업체에서는 군 장비의 국산화 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민간 업체 측면에서 군의 부품국산화 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데 있어서의 제한 사항들을 살펴보고 부품국산화 개발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소요제기 시 경제성 있는 품목을 적극적으로 포함하는 것이고, 둘째는 국산화 개발 적격업체 선정 평가 기준을 개정하는 것이며, 셋째는 업체의 초기 투자 비용을 지원해 주도록 제도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방산 장비 부품국산화 활성화를 위하여 현행 제도의 제한사항을 업체 중심으로 개선하여 더 많은 국내 기업들이 부품국산화개발 사업에 참여하길 기대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