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한국과 중국 교사들의 내러티브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eacher’s Narrative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in South Korea and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18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교사가 교육주체로서 겪게 되는 어려움과 요구 및 교육적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였다.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따라서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교사 각 3명, 총 6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주요한 현장 택스트(field texts)로 삼았다. 그 이후도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따라서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과 중국을 관련한 교육과정 비교 연구 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 방식의 적용사례가 흔하지 않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 방식의 적용과정과 의의를 찾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과 중국을 관련한 교육과정 비교 연구 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 방식의 적용사례가 흔하지 않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 방식의 적용과정과 의의를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교사가 교육주체로서 겪게 되는 어려움과 요구 및 교육적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방...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교사가 교육주체로서 겪게 되는 어려움과 요구 및 교육적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였다.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따라서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교사 각 3명, 총 6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주요한 현장 택스트(field texts)로 삼았다. 그 이후도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따라서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과 중국을 관련한 교육과정 비교 연구 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 방식의 적용사례가 흔하지 않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 방식의 적용과정과 의의를 찾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과 중국을 관련한 교육과정 비교 연구 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 방식의 적용사례가 흔하지 않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 방식의 적용과정과 의의를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that reflect the narratives of Korean and Chinese teachers by talking about the experiences of Korean and Chinese teachers related to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and finding their meaning.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is developed and carried out at school sites, and school members collaborate voluntarily and independently with external experts based on the school's unique characteristics, conditions, facilities and resources available for th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national and regional curriculum. It refers to the operation activity that creates a series of educational documents.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is influenced by external and internal aspects, such as the environment to which teachers belong, the interactions among teachers, and the teachers' own values and thoughts. Accordingly,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experience is related to the historical experiences, perceptions, thinking, and judgments experienced by teachers as they interact with people in specific places of lif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that reflect the narratives of Korean and Chinese teachers by talking about the experiences of Korean and Chinese teachers related to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that reflect the narratives of Korean and Chinese teachers by talking about the experiences of Korean and Chinese teachers related to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and finding their meaning.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is developed and carried out at school sites, and school members collaborate voluntarily and independently with external experts based on the school's unique characteristics, conditions, facilities and resources available for th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national and regional curriculum. It refers to the operation activity that creates a series of educational documents.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is influenced by external and internal aspects, such as the environment to which teachers belong, the interactions among teachers, and the teachers' own values and thoughts. Accordingly,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experience is related to the historical experiences, perceptions, thinking, and judgments experienced by teachers as they interact with people in specific places of lif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