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崔在穆, "한일간 양명학적 知 교류의 한 형태-朴殷植의 『王陽明先生實記』와 高瀨武次郞의『王陽明詳傳』을 중심으로" 연길: 연변대 2005.8.6.
2 서경석, "식민지 지식인의 개화사상 유학기" 태학사 2005.
3 崔在穆, "박은식과 근대 일본 양명학과의 관련성" 한국일본사상사학회 (8) : 2004..
4 니토베 이나조, "무사도를 통해 본 일본 정신의 뿌리와 그 정체성: 사무라이" 생각의 나무 2004.
5 子安宣邦, "동아대동아동아시아" 역사비평사 2005.
6 崔在穆, "高瀨武次郞의 『王陽明詳傳』에 대하여" 일본어문학회 34 : 2006.
7 崔在穆, "高瀨武次郞의 『王陽明詳傳』에 대하여" 세종대 2006.5.6.
8 崔在穆, "鄭寅普의『陽明學演論』에 나타난 黃宗羲 및 『明儒學案』 理解" 한국양명학회 2006.
9 崔在穆, "鄭寅普의『陽明學演論』에 나타난 黃宗羲 및 『明儒學案』 理解" 한국양명학회 2006.
10 崔在穆, "鄭寅普의 陽明學 이해-『陽明學演論』에 나타난 黃宗羲 및 『明儒學案』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양명학회 (17) : 2006.
1 崔在穆, "한일간 양명학적 知 교류의 한 형태-朴殷植의 『王陽明先生實記』와 高瀨武次郞의『王陽明詳傳』을 중심으로" 연길: 연변대 2005.8.6.
2 서경석, "식민지 지식인의 개화사상 유학기" 태학사 2005.
3 崔在穆, "박은식과 근대 일본 양명학과의 관련성" 한국일본사상사학회 (8) : 2004..
4 니토베 이나조, "무사도를 통해 본 일본 정신의 뿌리와 그 정체성: 사무라이" 생각의 나무 2004.
5 子安宣邦, "동아대동아동아시아" 역사비평사 2005.
6 崔在穆, "高瀨武次郞의 『王陽明詳傳』에 대하여" 일본어문학회 34 : 2006.
7 崔在穆, "高瀨武次郞의 『王陽明詳傳』에 대하여" 세종대 2006.5.6.
8 崔在穆, "鄭寅普의『陽明學演論』에 나타난 黃宗羲 및 『明儒學案』 理解" 한국양명학회 2006.
9 崔在穆, "鄭寅普의『陽明學演論』에 나타난 黃宗羲 및 『明儒學案』 理解" 한국양명학회 2006.
10 崔在穆, "鄭寅普의 陽明學 이해-『陽明學演論』에 나타난 黃宗羲 및 『明儒學案』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양명학회 (17) : 2006.
11 崔在穆, "鄭寅普『陽明學演論』에 나타난 王龍溪 이해 - ‘근대한국양명학’ 領有 양상에 대한 한시론 -" 한국양명학회 (16) : 2006
12 小島毅, "近代日本の陽明" 東京: 講談社 2006.
13 崔在穆, "東アジア陽明の展開" 東京: ぺりかん社 2006.
14 崔在穆, "朴殷植의 陽明學과 近代 日本陽明學과의 관련성" 동아시아일본학회 13輯 : 2005.
15 崔在穆, "崔南善『少年』誌의 ‘新大韓의 少年’ 기획에 대하여" 동아시아일본학회 11 : 2006.
16 崔在穆, "崔南善 『少年』誌에 나타난 陽明學 및 近代日本陽明學 - ‘近代韓國陽明學’의 萌芽期 企劃期의 한 양상 -" 일본어문학회 32 : 2006.
17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9909" 2006.12.10
18 "http://100.nate.com/EnSrch.asp?kid=13299300" 2006.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