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방임인식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성인용매체몰입의 매개효과 =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al Neglect on Career Identity among Juveniles: The Mediating Effect of Adult Materials Usage Commit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971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parental neglect and career ident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dult materials usage commitment on this relationship among juvenil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re was analyzed 428 students data of panel survey data for four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that conducted by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in 2016. As a analysis result, perceived parental neglect was positively related to adult materials usage commitment and was negatively related to career identity. Also adult materials usage commitment was negatively related to career identit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neglect and career identity was mediated by adult materials usage commitment. Finally,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study task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parental neglect and career ident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dult materials usage commitment on this relationship among juvenil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re was analyz...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parental neglect and career ident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dult materials usage commitment on this relationship among juvenil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re was analyzed 428 students data of panel survey data for four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that conducted by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in 2016. As a analysis result, perceived parental neglect was positively related to adult materials usage commitment and was negatively related to career identity. Also adult materials usage commitment was negatively related to career identit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neglect and career identity was mediated by adult materials usage commitment. Finally,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study tasks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부모방임인식이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인용매체몰입이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패널조사자료(초등학교 4학년 패널조사자료 중 7차년도인 2016년 자료) 중 측정변수에 결측값이 없는 42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의 부모방임인식과 성인용매체몰입 간에는 유의한 정적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부모방임인식과 진로정체감 간 에는 유의한 부적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인용매체몰입과 진로정체감 간에도 유의한 부적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청소년의 부모방임인식은 성인용매체몰입을 통해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부적 영 향을 간접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시사점과 미래의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부모방임인식이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인용매체몰입이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부모방임인식이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인용매체몰입이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패널조사자료(초등학교 4학년 패널조사자료 중 7차년도인 2016년 자료) 중 측정변수에 결측값이 없는 42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의 부모방임인식과 성인용매체몰입 간에는 유의한 정적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부모방임인식과 진로정체감 간 에는 유의한 부적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인용매체몰입과 진로정체감 간에도 유의한 부적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청소년의 부모방임인식은 성인용매체몰입을 통해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부적 영 향을 간접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시사점과 미래의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문헌검토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Ⅱ. 문헌검토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정, "한국판 청소년 인터넷 중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125-139, 2003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제1-7차 조사 코드북" 2017

      3 모상현,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Ⅴ : 기초분석보고서Ⅱ : 청소년 매체이용 실태 및 추이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400, 2014

      4 김옥수,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성인용 매체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3 (13): 43-67, 2016

      5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170-189, 2004

      6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7 박영숙, "청소년이 인지한 부모의 학대가 성인용 매체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을 매개효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56) : 1-27, 2018

      8 이희선,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 자아정체감, 부모의 방임" 한국청소년학회 22 (22): 57-73, 2015

      9 김경호, "청소년의 공격성과 성인매체 몰입 간의 양방향 관계의 검증: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3) : 27-47, 2018

      10 이현경, "청소년 부모긍정양육, 또래애착, 진로정체감과 대학만족도의 관계 분석" 교육연구소 20 (20): 95-117, 2019

      1 김은정, "한국판 청소년 인터넷 중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125-139, 2003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제1-7차 조사 코드북" 2017

      3 모상현,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Ⅴ : 기초분석보고서Ⅱ : 청소년 매체이용 실태 및 추이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400, 2014

      4 김옥수,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성인용 매체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3 (13): 43-67, 2016

      5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170-189, 2004

      6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7 박영숙, "청소년이 인지한 부모의 학대가 성인용 매체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을 매개효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56) : 1-27, 2018

      8 이희선,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 자아정체감, 부모의 방임" 한국청소년학회 22 (22): 57-73, 2015

      9 김경호, "청소년의 공격성과 성인매체 몰입 간의 양방향 관계의 검증: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3) : 27-47, 2018

      10 이현경, "청소년 부모긍정양육, 또래애착, 진로정체감과 대학만족도의 관계 분석" 교육연구소 20 (20): 95-117, 2019

      11 김문준, "청년인턴제 참여자의 진로정체감이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업탐색활동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KNU 기업경영연구소 8 (8): 261-284, 2017

      12 노소영,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방식, 또래애착, 교사관계,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과의 관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0 (30): 21-37, 2018

      13 손연아, "중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109-125, 2014

      14 김교헌, "중독과 자기조절: 인지신경과학적 접근"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2006

      15 김교헌, "중독, 그 미궁을 헤쳐 나가기"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667-693, 2007

      16 조옥선, "융복합시대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성인용매체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349-356, 2015

      17 이태현, "유학생의 진로정체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취업진로학회 6 (6): 71-88, 2016

      18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19 홍미, "아동학대 및 방임실태와 정책과제" 128 : 47-59, 2007

      20 "아동복지법"

      21 김교헌,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중독" 한국건강심리학회 7 (7): 159-179, 2002

      22 김교헌,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사회과학연구소 27 (27): 131-154, 2016

      23 손민정, "생애진로분기점별 진로정체성 혼돈에 따른 진로전략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299-323, 2018

      24 김세원, "사회적 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25 우수정,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학령기 아동의 또래애착이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51 (51): 583-590, 2013

      26 오창택, "부모의 과잉간섭이 청소년의 학교규칙위반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휴대폰중독의 직렬다중매개효과" 한국교정복지학회 (56) : 53-82, 2018

      27 박미려, "부모방임, 또래애착이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을 매개로 고등학생의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4 (24): 263-284, 2017

      28 김옥수, "부모로부터의 학대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성인용 매체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휴대폰 의존도 및 공격성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7) : 1-23, 2017

      29 서유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 비교 연구: 진로태도성숙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3 (13): 525-542, 2012

      30 박연옥,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취업진로학회 7 (7): 103-124, 2017

      31 신수민,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일반긴장이론에 근거한 성인용 매체 이용 빈도 및 몰입도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2) : 7-34, 2016

      32 황혜리,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목표와 외재적 목표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30 (30): 195-216, 2018

      33 Schediwy, L., "Young musicians’ career identities: do bohemian and entrepreneurial career identities compete or cohere?" 11 (11): 174-196, 2018

      34 Meijers, F.,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petencies, career identity, motivation and quality of choice" 13 (13): 47-66, 2013

      35 Stevenson, O., "Neglected Children: Issues and Dilemmas" Blackwell Science 1998

      36 공인규, "Holland진로탐색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진로성숙도, 진로효능감, 진로정체감 및 진로장애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37 Sussman, S., "Considering the Definition of Addiction" 8 (8): 4025-4038, 2011

      38 Hirschi, T., "Causes of Delinquenc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9

      39 Wijers, G., "Career guidance in the knowledge society" 24 : 185-198, 1996

      40 Skorikov, V. B., "Career development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Sense 143-168, 2007

      41 Stringer, K. J., "Career Identity Among Community College Students" 38 : 310-322, 2014

      42 Griffiths, M. D., "A `components' model of addiction within a biopsychosocial framework" 10 (10): 191-197,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15 1.414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