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류세의 재난과 유산의 존재론: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유산의 해체와 재조합 = Ontology of Heritage and Disaster in Anthropocene: Disassembly and Reassembly of Heritages after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Disas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874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raditional heritage studies, heritage is viewed as something that must be preserved and managed following the principle of maintaining its original form. On the other hand, disasters are recognized as the biggest threat, capable of damaging the value of heritage. However, this simplistic dichotomy between heritage and disaster, representing extremes of preservation and destruction, is now being challenged in the era of the Anthropocene. In this new era, the ontology of disasters and heritage demands a reevaluation beyond the discourse of merely p reserving heritag e from t he t hreat of d isasters. This study addresses the need to reconsider the two seemingly incongruous categories of ‘heritage’ (to be preserved and managed) and ‘disaster’ (which destroys the existing order)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al ontology. This perspective arises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 greatest legacy that mankind will leave for the next generation is the extensive destruction wrought by various environmental crises and natural disasters, which are combined with technical failures, war, terrorism, and the resulting destruction and waste on a large scale.
      This is illustrated by the events of the March 11, 2011 earthquake, tsunami, and subsequent nuclear explosion in northeastern Japan. The disaster provides examples of two problems: first, the destruction of the leg acy of t he m ixed n atural a nd t echnolog ical d isasters, and second, the destruction of the legacy itself. The following case study on t he d estruction, preservation, a nd h eritag e in J apan a fter t he disastrous events of 2011, to explore whether heritage can serve as a medium to envision an alternative future for a more resilient community in the context of a disaster-prone modern society. These practices are regarded as the processes of “open dynamics,” wherein they are reinterpreted and translated to serve the interests of diverse stakeholders and citizens, including individuals, communities, countrie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GOs.
      번역하기

      In traditional heritage studies, heritage is viewed as something that must be preserved and managed following the principle of maintaining its original form. On the other hand, disasters are recognized as the biggest threat, capable of damaging the va...

      In traditional heritage studies, heritage is viewed as something that must be preserved and managed following the principle of maintaining its original form. On the other hand, disasters are recognized as the biggest threat, capable of damaging the value of heritage. However, this simplistic dichotomy between heritage and disaster, representing extremes of preservation and destruction, is now being challenged in the era of the Anthropocene. In this new era, the ontology of disasters and heritage demands a reevaluation beyond the discourse of merely p reserving heritag e from t he t hreat of d isasters. This study addresses the need to reconsider the two seemingly incongruous categories of ‘heritage’ (to be preserved and managed) and ‘disaster’ (which destroys the existing order)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al ontology. This perspective arises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 greatest legacy that mankind will leave for the next generation is the extensive destruction wrought by various environmental crises and natural disasters, which are combined with technical failures, war, terrorism, and the resulting destruction and waste on a large scale.
      This is illustrated by the events of the March 11, 2011 earthquake, tsunami, and subsequent nuclear explosion in northeastern Japan. The disaster provides examples of two problems: first, the destruction of the leg acy of t he m ixed n atural a nd t echnolog ical d isasters, and second, the destruction of the legacy itself. The following case study on t he d estruction, preservation, a nd h eritag e in J apan a fter t he disastrous events of 2011, to explore whether heritage can serve as a medium to envision an alternative future for a more resilient community in the context of a disaster-prone modern society. These practices are regarded as the processes of “open dynamics,” wherein they are reinterpreted and translated to serve the interests of diverse stakeholders and citizens, including individuals, communities, countrie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GO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적인 유산 연구에서 유산은 원형 그대로 유지한다는 원칙 위에서 보존⋅관리되어야 하는 존재로 위치 지워지며 재난은 유산의 가치를 훼손하는 가장 큰 장애물로 인식된다. 그러나 보존과 파괴의 극단을 상징하는 이러한 유산과 재난이라는 이분법적 구도는 인류세(Anthropocene)라는 새로운 시대적 도전 앞에 놓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인류세 시대의 재난과 유산의 존재론을 다시 물어야 한다는 요구는 단순히 재난으로 유산이 보존의 위기에 처했다는 담론 이상이다. 본 연구는 보존되고 관리되어야 하는 것으로서의 유산(heritage)과 현존하는 질서를 무너뜨리고 파괴하는 것으로서의 재난(disaster)이라는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 두 범주가 관계론적 존재론(relational ontology) 의 관점에서 새롭게 고찰될 필요가 있다는 데서 시작한다. 그것은 현재의 인류가 다음세대에 남기게 될 가장 큰 유산이 바로 다종다양한 환경 위기와 자연재해, 자연재해가기술적 실패와 결합해서 나타나는 복합 재난, 전쟁과 테러 등으로 인한 광범위한 파괴그 자체이며, 이러한 재난으로 파괴되거나 폐허가 된 장소, 그리고 거대한 폐기물이 유산이 되어가고 있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지방에서 발생했던 대지진과 쓰나미, 그리고 이어진 원자로 폭발 사건은 이 두 개의 문제, 즉 자연재해와 기술재해가 뒤섞인 인류세의 복합 재난이 가져온 유산의 파괴, 그리고 파괴된 것그 자체의 유산화 문제가 서로 중층적으로 얽혀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선명한 예시다.
      본 연구는 2011년 동일본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본에서 진행된 유산의파괴와 보존, 재난의 유산화에 관한 사례연구를 통해 재난이 일상화된 현대사회에서 유산이 더 나은 공동체를 위한 대안적 미래를 상상하는 매개자로 존재할 수 있는가에 관한 물음을 탐구한다. 파괴된 유산의 보존과 재난의 유산화를 위한 여러 실천은 이를 둘러싼 개인, 공동체, 국가, 국제기구, NGO 등 다양한 이해당사자들과 시민들의 관심, 그리고 유산화 되거나 보존되어야 하는 비인간 사물의 관계 속에서 재해석되고 번역되는열린 동학(open dynamics)의 과정이다.
      번역하기

      전통적인 유산 연구에서 유산은 원형 그대로 유지한다는 원칙 위에서 보존⋅관리되어야 하는 존재로 위치 지워지며 재난은 유산의 가치를 훼손하는 가장 큰 장애물로 인식된다. 그러나 보...

      전통적인 유산 연구에서 유산은 원형 그대로 유지한다는 원칙 위에서 보존⋅관리되어야 하는 존재로 위치 지워지며 재난은 유산의 가치를 훼손하는 가장 큰 장애물로 인식된다. 그러나 보존과 파괴의 극단을 상징하는 이러한 유산과 재난이라는 이분법적 구도는 인류세(Anthropocene)라는 새로운 시대적 도전 앞에 놓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인류세 시대의 재난과 유산의 존재론을 다시 물어야 한다는 요구는 단순히 재난으로 유산이 보존의 위기에 처했다는 담론 이상이다. 본 연구는 보존되고 관리되어야 하는 것으로서의 유산(heritage)과 현존하는 질서를 무너뜨리고 파괴하는 것으로서의 재난(disaster)이라는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 두 범주가 관계론적 존재론(relational ontology) 의 관점에서 새롭게 고찰될 필요가 있다는 데서 시작한다. 그것은 현재의 인류가 다음세대에 남기게 될 가장 큰 유산이 바로 다종다양한 환경 위기와 자연재해, 자연재해가기술적 실패와 결합해서 나타나는 복합 재난, 전쟁과 테러 등으로 인한 광범위한 파괴그 자체이며, 이러한 재난으로 파괴되거나 폐허가 된 장소, 그리고 거대한 폐기물이 유산이 되어가고 있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지방에서 발생했던 대지진과 쓰나미, 그리고 이어진 원자로 폭발 사건은 이 두 개의 문제, 즉 자연재해와 기술재해가 뒤섞인 인류세의 복합 재난이 가져온 유산의 파괴, 그리고 파괴된 것그 자체의 유산화 문제가 서로 중층적으로 얽혀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선명한 예시다.
      본 연구는 2011년 동일본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본에서 진행된 유산의파괴와 보존, 재난의 유산화에 관한 사례연구를 통해 재난이 일상화된 현대사회에서 유산이 더 나은 공동체를 위한 대안적 미래를 상상하는 매개자로 존재할 수 있는가에 관한 물음을 탐구한다. 파괴된 유산의 보존과 재난의 유산화를 위한 여러 실천은 이를 둘러싼 개인, 공동체, 국가, 국제기구, NGO 등 다양한 이해당사자들과 시민들의 관심, 그리고 유산화 되거나 보존되어야 하는 비인간 사물의 관계 속에서 재해석되고 번역되는열린 동학(open dynamics)의 과정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후쿠시마현청(福島県庁)"

      2 "후쿠시마재생모임(ふくしま再生の会)"

      3 "후쿠시마시청(福島市庁)"

      4 한겨레, "죽은 아이들 이름 빼곡… ‘예술이 정치다’: 아이 웨이웨이 런던 개인전 감상기"

      5 신진숙, "조선산업을 통해 본 산업도시의 정동 정치 - 정동적 도시론을 중심으로 -" 대한지리학회 54 (54): 177-198, 2019

      6 오은정, "재후(災後)의 시공간에 울려 퍼지는 ‘부흥’이라는 주문(呪文):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부흥의 사회 드라마와 느린 폭력" 한국문화인류학회 53 (53): 339-383, 2020

      7 "일본 한신⋅아와이대진재기념 인간과방재미래센터(阪神⋅淡路大震災記念人と防災未来センター)"

      8 "일본 주에츠메모리얼회랑(中越メモリアル回廊)"

      9 "일본 이와키진재전승미래관(いわき震災伝承みらい館)"

      10 "일본 이나무라노히노기념관(稲むらの⽕の館)"

      1 "후쿠시마현청(福島県庁)"

      2 "후쿠시마재생모임(ふくしま再生の会)"

      3 "후쿠시마시청(福島市庁)"

      4 한겨레, "죽은 아이들 이름 빼곡… ‘예술이 정치다’: 아이 웨이웨이 런던 개인전 감상기"

      5 신진숙, "조선산업을 통해 본 산업도시의 정동 정치 - 정동적 도시론을 중심으로 -" 대한지리학회 54 (54): 177-198, 2019

      6 오은정, "재후(災後)의 시공간에 울려 퍼지는 ‘부흥’이라는 주문(呪文):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부흥의 사회 드라마와 느린 폭력" 한국문화인류학회 53 (53): 339-383, 2020

      7 "일본 한신⋅아와이대진재기념 인간과방재미래센터(阪神⋅淡路大震災記念人と防災未来センター)"

      8 "일본 주에츠메모리얼회랑(中越メモリアル回廊)"

      9 "일본 이와키진재전승미래관(いわき震災伝承みらい館)"

      10 "일본 이나무라노히노기념관(稲むらの⽕の館)"

      11 "일본 운젠다케재해기념관(雲仙岳災害記念館)"

      12 "일본 오쿠시리쓰나미관(奥尻島津波館)"

      13 "일본 도쿄도부흥기념관(東京都復興記念館)"

      14 "일본 노지마단층보존.가타아와진재기념공원(野島断層保存.北淡震災記念公園)"

      15 "일본 국토교통성 동북지방정비국 동일본대진재 메모리얼 사업 진재전승관(国土交通省 東北地方整備局 東日本大震災メモリアル事業 震災伝承館)"

      16 오은정, "부흥과 위험의 헤테로토피아: 후쿠시마현 도미오카정의 발전 과정과 원전 마을의 오늘" 사회과학연구원 61 (61): 247-275, 2022

      17 "미국 맨하탄프로젝트 국립역사공원"

      18 조상순, "문화재 재난 피해 사례별 복원 원칙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 - 최근 해외 문화재 재난 피해 및 복원 사례를 대상으로 -" 국가유산방재학회 6 (6): 24-46, 2021

      19 나카가와 다케시, "문화유산의 보전과 부흥철학: 자연과의 창조적 관계 재생" 고려대학교출판부 2013

      20 "동일본대진재⋅원자력재해전승관"

      21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 폐로자료관"

      22 한겨레, "결국…IS, 2000년 ‘팔미라 유적’ 폭파"

      23 福島民報, "被災地の現状学ぶ 「ホープツーリズム」企画へ福島県視察 日本旅行業協会"

      24 高倉浩樹, "無形民俗文化財が被災するということ―東日本大震災と宮城県沿岸部地域社会の民俗誌" 新泉社 2014

      25 高倉浩樹, "東日本大震災で被災した宮城県沿岸部における民俗文化財調査(2012年度報告集)"

      26 高倉浩樹, "東日本大震災で被災した宮城県沿岸部における民俗文化財調査(2011年度報告集)"

      27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World Heritage Report n∘22: Climate Change and World Heritage - Report on predicting and manag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World Heritage and Strategy to assist States Parties to implement appropriate management responses"

      28 Zalasiewicz J, "The technofossil record of humans" 1 (1): 34-43, 2014

      29 Takakura, Hiroki, "The rol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disaster recovery in Fukushima" International Research Centre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Asia-Pacific Region (IRCI) 109-117, 2019

      30 Littlejohn, Andrew, "The potential of intangible loss: reassembling heritage and reconstructing the social in post-disaster Japan" 29 (29): 944-959, 2021

      31 Okamura, K.,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and cultural heritage: towards an archaeology of disaster" 87 : 258-269, 2013

      32 Crutzen, Paul J., "The Future of Nature: Documents of Global Change" Yale University Press 479-490, 2000

      33 Kondo, Y, "The CEDACH DMT: a volunteer-based data management team for the documentation of the earthquake-damaged cultural heritage in Japan"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12

      34 Conradson, David, "The Affective Possibilities of London : Antipodean Transnationals and the Overseas Experience" 2 (2): 231-254, 2007

      35 Yellowstone National Park, "State of the Park Report 2023"

      36 Van Zandt, Lauren, "Reviews: A Future in Ruins: UNESCO, World Heritage, and the Dream of Peace By Lynn Meskell.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84 (84): 214-217, 2021

      37 The Guardian, "Out of a heap of broken images, Chernobyl seeks World Heritage status"

      38 BBC, "Orkney world heritage sites threatened by climate change"

      39 Littlejohn, Andrew, "Museums of themselves: disaster, heritage, and disaster heritage in Tohoku" 33 (33): 476-496, 2020

      40 Reimann, L., "Mediterranean UNESCO World Heritage at risk from coastal flooding and erosion due to sea-level rise" 9 : 4161-, 2018

      41 Hecht, Gabrielle, "Interscalar Vehicles for an African Anthropocene: On Waste, Temporality, and Violence" 33 (33): 109-141, 2018

      42 연합뉴스, "IS, 팔미라 재장악 후 유적에 또 만행…원형경기장 등 파괴"

      43 Bangstad, Torgeir Rinke, "Heritage Ecologies" Routledge 2021

      44 Harrison, Rodney, "Heritage : critical approaches" Routledge 2013

      45 Iida, Mayu, "Haunted/Haunting Digital Archives of the Fukushima Nuclear Disaster: Weaving Ghost Stories around the Ongoing Disaster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University of London 2020

      46 "Greater Yellowstone Coalition 2023 Homepage"

      47 Thompson, Christopher, "From tragedy to triumph: tsunami mitigation and Bōsai (disaster prevention) tourism in Tarō, Japan" 20 (20): 231-247, 2021

      48 Maly, Elizabeth, "Disaster Museums in Japan: Telling the Stories of Disasters Before and After 3⋅11" 16 (16): 146-156, 2021

      49 Martin, D. L., "Bioarchaeology: Manuals in Archaeological Method, Theory and Technique" Springer 2013

      50 Harrison, Rodney, "Beyond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Toward an Ontological Politics of Heritage in the Age of Anthropocene" 8 (8): 24-42, 2015

      51 Hill, M. J., "Assembling the historic city: actor networks, heritage mediation, and the return of the colonial past in post-Soviet Cuba" 91 : 1235-1268, 2018

      52 Geismar, Haidy, "Anthropology and Heritage Regimes" 44 : 71-85, 2015

      53 Meskell, Lynn, "A Future in Ruins: UNESCO, World Heritage, and the Dream of Peac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