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이 급격히 개방되면서 농업인들도 자체적인 경쟁력을 확보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보의 빠른 전달이 필요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농업인들은 정보화시대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88194
2011
Korean
522.05
KCI등재
학술저널
239-246(8쪽)
※ KISS의 원문 서비스 중단에 따라, 학술지명을 클릭하여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농업이 급격히 개방되면서 농업인들도 자체적인 경쟁력을 확보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보의 빠른 전달이 필요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농업인들은 정보화시대에...
농업이 급격히 개방되면서 농업인들도 자체적인 경쟁력을 확보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보의 빠른 전달이 필요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농업인들은 정보화시대에 적응하지 못하고 일부농업인들은 정보의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업인의 환경에 따른 정보화 수준을 조사하였고 이를 통한 만족도등을 분석하여 향후에 농업정보제공정책에 발전방향을 제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 134명의 농업인들의 정보화수준은 극히 낮은 편으로 1%만이 정보화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전자상거래의 경우에는 조사농업인들의 8.3%만이 활용해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99%는 단순한 정보의 습득이나 정보자 체를 습득하지 못하는 실정으로 정부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정보도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정보화수준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농업인들이 가장 습득하기 어렵게 생각하는 정보는 토양상태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병해충발생정보와 농자재정보등이 다음으로 농업인들은 경영적인 측면보다는 재배법에 관련된 기술적인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농업의 경영방식도 새로운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보다는 과거의 경험이나 관계기관에서 알려주는 방식만을 소화하는 수동적인 농업방식을 유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보화수준이 낮은 농업인들의 소득만족도 및 국가정책의 만족도 등도 부정적으로 조사되었으며 향후 농업의 미래전망도 조사대상자의 64%의 농업인의 다른 직업으로 전향 혹은 농사를 겸업으로 전환을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정부의 농업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6%만이 합리적으로 정부의 농업정책이 진행된다고 답하였으며 나머지 94%의 농민들은 정부정책에 대해서 이해부족 및 개선되어진다고 조사되었다. 상기와 같이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농업인들의 정보화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농업인들의 정보화교육을 강화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농업인들에게 제공될 정보도 농업인들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최대한 간결하고 접근이 쉽게 구축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apid change of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farmers must ensure their own competitiveness with quick delivery of the information needed for making decisions such as crop selection and distribution. There are a lot of information produced by admi...
The rapid change of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farmers must ensure their own competitiveness with quick delivery of the information needed for making decisions such as crop selection and distribution. There are a lot of information produced by administration for decision making but these are very difficult to be adapted by farmers not only accessibility but also adapter`s old age. In this study, information level and needs of farmers are surveyed in 4 main river in South Korea where agricultural environments have to be changed by enormous river equipment. With surveyed results, we analyzed the relation of surveyed items for suggesting future direction of agriculture information reform. The information level of 134 farmers surveyed the extremely low side. Only 1 percent were high level in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case of e-commerce, 8.3 percent have experience and 99 percent of farmers have a weakness not only in information treatment but also in information acquisition including information provided by government agencies. Farmers consider soil conditions are most difficult agricultural information for aquisition, followed by pest outbreaks and feedforward information rather than management aspects. In case of plant selection and farm management, farmers are rely on past experiences and recommendation by administration without active translation by farm environment. Lower group of information level are also negative in income and national policy. Surveyed farmers think negative in future perspective of agriculture; 64 percent consider job change or acquiring alternative job. Especially, only 6 percent answered that national policy of agriculture focuss on right direction; 94 percent answered that government policies has a lack of understanding and need to be reform. Based on surveyed results, not only continuing education for upgrade farmers information adaptation level but also higher processing of information for easy accessibility are needed in agricultural information policy.
연구보문 : 피복작물 이용방법이 양분공급량과 배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보문 : 벼 재조합자식계통의 초기급속등숙속도 년차간 변이에 따른 아밀로그램 특성변이
연구보문 : 수집 홍화자원의 지방산 조성 및 식물형태학적 특성 비교
연구보문 : 작물재래종 유전자원의 농가보존 방안 사례조사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