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문사회과학을 위한 내러티브학 탐구의 가능성과 시사점 = The Narratology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856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ntends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implication of narratology, narrative-based science. This narratology implies new titles of alternative science. But this means beyond title of science. The existing humanities and socia...

      The purpose of this paper intends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implication of narratology, narrative-based science. This narratology implies new titles of alternative science. But this means beyond title of science. The existing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has its limits. It tends to separate the human and society as a subject of inquiry. The limits could be an obstruction to reflect the actual situation and context. The narratology focus Human’s experience and the process of semantic composition. It can be a powerful alternative way for a dichotomy problem of existing humanities and social perspective. In narratology, the process of semantic composition consist with an interaction of the human’s experience and society’s experience. It can provide alternative ways to better understand human and society. We should focus on new narratology based on meaning making and cultural psychology. Narrative knowing is new tool for making new science and discipli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학 탐구의 가능성과 시사점을 탐구하는 것에 있다. 내러티브학은 기존의 인문사회과학에 대한 대안적인 새로운 명명이다. 그러나 단순히 명칭 이상의 의미를 지...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학 탐구의 가능성과 시사점을 탐구하는 것에 있다. 내러티브학은 기존의 인문사회과학에 대한 대안적인 새로운 명명이다. 그러나 단순히 명칭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학문 탐구 방법과 새로운 인식론을 전제한다. 학문이 발전해 나감에 따라 현상을 해석하는 다양한 설명 방식들이 같이 발전되어 왔다. 기존의 인문사회과학 탐구 방법은 많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기존의 인문사회과학은 인간과 사회를 탐구의 대상으로 분리하는 경향이 강했다. 이러한 한계는 실제 상황과 맥락을 반영하는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내러티브학 탐구 방식은 인간의 경험과 의미 구성에 중심을 둔다. 내러티브 설명 방식은 개인과 사회를 분리된 대상으로 보는 기존의 설명 방식을 보완하여 인간의 경험 속에서 내러티브를 통해 의미를 구성해가는 과정을 중시한다. 이 내러티브 설명 방식은 인간의 경험, 삶, 앎을 총체적으로 해석하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내러티브학 탐구 방식은 기존 인문사회과학이 가진 이분법적 한계를 보완할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내러티브학 탐구에서는 의미 구성의 과정은 인간의 경험과 사회의 경험의 상호작용으로 구성된다. 내러티브 탐구 방식은 강력한 새로운 인식론적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호재, "슈왑의 실제적 교육과정 이론의 한계와 내러티브의 대안적 가능성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169-191, 2014

      2 이흔정, "내러티브의 교육과정적 의미 탐색" 안암교육학회 10 (10): 151-170, 2004

      3 Thomas. S. Kuhn,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

      4 O. J. Kwon, "Structure and issues of social pedagogy" Education Science 2003

      5 J. B. Kim, "Recognition principle and methodological and sociological implications of the book of chang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997

      6 H. S. Kang, "New study methodology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Narrative Inquiry" Hankook munhwasa 2015

      7 Polkinghorne, D. E., "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8

      8 K. H. So, "Narrative Inquiry: Implication for Teacher-Education Curriculum" 42 (42): 189-211, 1988

      9 Bruner, J. S., "In Search of Mind" Harper & Row Publishers 1983

      10 Bruner, J. S., "Culture and Human Development: A New Look" 33 : 344-355, 1990

      1 전호재, "슈왑의 실제적 교육과정 이론의 한계와 내러티브의 대안적 가능성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169-191, 2014

      2 이흔정, "내러티브의 교육과정적 의미 탐색" 안암교육학회 10 (10): 151-170, 2004

      3 Thomas. S. Kuhn,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

      4 O. J. Kwon, "Structure and issues of social pedagogy" Education Science 2003

      5 J. B. Kim, "Recognition principle and methodological and sociological implications of the book of chang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997

      6 H. S. Kang, "New study methodology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Narrative Inquiry" Hankook munhwasa 2015

      7 Polkinghorne, D. E., "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8

      8 K. H. So, "Narrative Inquiry: Implication for Teacher-Education Curriculum" 42 (42): 189-211, 1988

      9 Bruner, J. S., "In Search of Mind" Harper & Row Publishers 1983

      10 Bruner, J. S., "Culture and Human Development: A New Look" 33 : 344-355, 1990

      11 H. S. Kang, "An Alternative Perspective of Narrative Explanation and Its Implication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 (2): 679-682, 2016

      12 Bruner, J. S., "Acts of Meaning" Harvard Univ. Press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