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라지 종자의 영양학적 특성 평가 = Evaluation of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Platycodon grandiflorum See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303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proximate composition, crude fiber, reducing sugar, free sugars, organic acids, minerals and amino acids of Platycodon grandiflorum seeds were analyzed to evaluate its nutritional valu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nd...

      In this study, proximate composition, crude fiber, reducing sugar, free sugars, organic acids, minerals and amino acids of Platycodon grandiflorum seeds were analyzed to evaluate its nutritional valu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nd carbohydrate contents of seeds were 6.97, 26.05, 27.46, 3.78 and 35.74%, respectively. Crude fiber of 6.31% and reducing sugars of 1.54% were also determined. Sucrose(1,661 mg/100 g) and lactic acid(1,224 mg/100 g) were most abundant free sugar and organic acid, respectively. Both phosphorus and potassium were main minerals that contained more than 700 mg in 100 g seeds. Amino acids analysis of 100 g seeds showed that glutamic acid(3.45 g), arginine(2.51 g), aspartic acid(1.66 g), leucine(1.29 g), lysine(1.10 g), alanine(1.05 g) and glycine(1.04 g) were abundantly contained in order, while others were less than 1 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 종자의 영양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성분, 조섬유, 환원당, 유리당, 유기산, 무기질 및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종자의 수분, 조단...

      본 연구에서는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 종자의 영양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성분, 조섬유, 환원당, 유리당, 유기산, 무기질 및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종자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6.97, 26.05, 27.46, 3.78, 35.74%였으며 조섬유 함량은 6.31%, 환원당 함량은 1.54%이었다. 종자에 존재하는 유리당으로는 sucrose가 1,661 mg/100 g, 유기산으로는 lactic acid가 1,224 mg/100 g 으로 가장 풍부하였으며, 인과 칼륨이 주요 무기질로서 700 mg/100 g 이상 존재하였다. 종자 100 g에서의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글루탐산(3.45 g), 아르기 닌(2.51 g), 아스파르트산(1.66 g), 루신(1.29 g), 라이신(1.10 g), 알라닌(1.05 g), 글리신(1.04 g) 순이었 으며 그 외의 아미노산은 1 g 이하로 존재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양지,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된 도라지 종자유의 특성"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5 (35): 99-110, 2018

      2 김석중, "발아기간에 따른 유채종자의 일반성분 조성, 항산화능 및 멜라토닌 함량의 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3 (23): 839-847, 2016

      3 김석중, "들깨유의 산화에 대한 들깨 발아 싹 추출물의 억제효과"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9 (29): 330-338, 2012

      4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Food Composition Databases [Internet]"

      5 A. Tada, "Studies on the Saponins of the Root of 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I. Isolation and the Structure of Platycodin-D" 23 (23): 2965-2972, 1975

      6 S. Borek, "Regulation of Storage Lipid Metabolism in Developing and Germinating Lupin (Lupinus spp.) Seeds" 37 : 2015

      7 Elijah Nyakudya, "Platycosides from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nd Their Health Benefits"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 (19): 59-68, 2014

      8 L. Zhang, "Platycodon grandiflorus an Ethnopharmacologic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Review" 164 : 147-161, 2015

      9 M. A. Hartmann, "Plant Sterols and the Membrane Environment" 3 (3): 170-175, 1998

      10 A. Inada H. Murata, "Phytochemical Studies of Seeds of Medicinal Plants. II. A New Dihydroflavonol Glycoside and a New 3-methyl-1-butanol Glycoside from Seed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40 (40): 3081-3083, 1992

      1 김양지,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된 도라지 종자유의 특성"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5 (35): 99-110, 2018

      2 김석중, "발아기간에 따른 유채종자의 일반성분 조성, 항산화능 및 멜라토닌 함량의 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3 (23): 839-847, 2016

      3 김석중, "들깨유의 산화에 대한 들깨 발아 싹 추출물의 억제효과"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9 (29): 330-338, 2012

      4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Food Composition Databases [Internet]"

      5 A. Tada, "Studies on the Saponins of the Root of 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I. Isolation and the Structure of Platycodin-D" 23 (23): 2965-2972, 1975

      6 S. Borek, "Regulation of Storage Lipid Metabolism in Developing and Germinating Lupin (Lupinus spp.) Seeds" 37 : 2015

      7 Elijah Nyakudya, "Platycosides from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nd Their Health Benefits"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 (19): 59-68, 2014

      8 L. Zhang, "Platycodon grandiflorus an Ethnopharmacologic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Review" 164 : 147-161, 2015

      9 M. A. Hartmann, "Plant Sterols and the Membrane Environment" 3 (3): 170-175, 1998

      10 A. Inada H. Murata, "Phytochemical Studies of Seeds of Medicinal Plants. II. A New Dihydroflavonol Glycoside and a New 3-methyl-1-butanol Glycoside from Seed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40 (40): 3081-3083, 1992

      11 E. C. M. Coxworth, "Oil and Protein Content, and Oil Composition of the Seeds of Some Plants of the Canadian Prairies" 42 (42): 891-894, 1965

      12 B. Kevith, "Nutritional Aspects of Oilseeds" 30 (30): 13-26, 2005

      13 I. M. Rodrigues, "Isolation and Valorisation of Vegetable Proteins from Oilseed Plants: Methods, Limitations and Potential" 109 (109): 337-346, 2012

      14 H. C. Kim, "Hanyakyakrihak" Jibmoondang 350-352, 2001

      15 E. Ros, "Consumption of Plant Seeds and Cardiovascular Health: Epidemiologic and Clinical Trial Evidence" 128 : 5553-5565, 2013

      16 R. Tsao, "Chemistry and Biochemistry of Dietary Polyphenols" 2 (2): 1231-1246, 2010

      17 T. Longvah, "Chemical and Nutritional Studies on Hanshi (Perilla frutescens), a Traditional Oilseed from Northeast India" 68 (68): 781-784, 1991

      18 P. H. Raven, "Biology of Plants, 7th ed" WH Freeman and Co.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9-01-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화학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영문명 : The Korean Oil Chemists'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KCI등재
      2019-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오일 및 응용과학 학회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9-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오일 및 응용과학 학회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6-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油化學會誌 -> 오일 및 응용과학 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iety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4 0.35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