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구 환경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정신모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379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 the mental model of the global environment and how they conceptualize the environment. Using the drawing and interview, 25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were asked to visualize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the global environment and describe the environment they portrayed. The dominant mental model in the present was Mental Model 3: the environment as a place impacted or modified by human activity. Yet, the partial mental model in the future was Mental Model 2: the environment as a place that supports human life. The implications to environmental science education are explored.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 the mental model of the global environment and how they conceptualize the environment. Using the drawing and interview, 25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 the mental model of the global environment and how they conceptualize the environment. Using the drawing and interview, 25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were asked to visualize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the global environment and describe the environment they portrayed. The dominant mental model in the present was Mental Model 3: the environment as a place impacted or modified by human activity. Yet, the partial mental model in the future was Mental Model 2: the environment as a place that supports human life. The implications to environmental science education are explo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
      • 2. 검사 방법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
      • 2. 검사 방법
      • 3. 분석 방법
      •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 1. 환경의 구성요소 분석을 통한 현재와 미래 환경인식
      • 2. 환경의 구성요소 분석을 통한 정신모형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우, "환경에 대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인식" 교육연구원 25 (25): 375-389, 2009

      2 김명균, "환경그리기를 통한 중학생의 환경인식 조사" 한국환경과학회 16 (16): 479-485, 2007

      3 김윤지, "환경 변화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7 (7): 151-158, 2014

      4 김윤지, "지구 환경에 대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인식"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5 (55): 45-59, 2007

      5 위수민, "그리기 활동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 분석" 교육연구원 24 (24): 171-187, 2008

      6 Loughland, T, "Young people's conceptions of environment: a phenomenographic analysis" 8 : 187-197, 2002

      7 Cheol Cheong, "The environmental perceptions of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global environment" 24 (24): 273-280, 2003

      8 Shepardson, D. P, "Students' mental models of the environment" 44 (44): 327-348, 2007

      9 Libarkin, J. C, "Research methodologies in science education: mental models and cognition in education" 51 : 121-126, 2003

      10 Greca, I. M, "Mental models, conceptual models, and modeling" 22 : 1-11, 2000

      1 정진우, "환경에 대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인식" 교육연구원 25 (25): 375-389, 2009

      2 김명균, "환경그리기를 통한 중학생의 환경인식 조사" 한국환경과학회 16 (16): 479-485, 2007

      3 김윤지, "환경 변화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7 (7): 151-158, 2014

      4 김윤지, "지구 환경에 대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인식"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5 (55): 45-59, 2007

      5 위수민, "그리기 활동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 분석" 교육연구원 24 (24): 171-187, 2008

      6 Loughland, T, "Young people's conceptions of environment: a phenomenographic analysis" 8 : 187-197, 2002

      7 Cheol Cheong, "The environmental perceptions of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global environment" 24 (24): 273-280, 2003

      8 Shepardson, D. P, "Students' mental models of the environment" 44 (44): 327-348, 2007

      9 Libarkin, J. C, "Research methodologies in science education: mental models and cognition in education" 51 : 121-126, 2003

      10 Greca, I. M, "Mental models, conceptual models, and modeling" 22 : 1-11, 2000

      11 Fralick, B, "How middle schoolers draw engineers and scientists" 18 : 60-73,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2-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85 1.56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