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경민,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의 분류 능력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709-719, 2011
2 양일호, "초등 초임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신념과 과학 교수-학습 활동과의 관련성"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4 (24): 399-416, 2005
3 임성만, "초등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및 교수태도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34 (34): 396-404, 2010
4 심규철, "초ㆍ중등 예비 교사들의 생명과학에 대한 인식 조사 비교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39 (39): 623-631, 2011
5 김선경, "중학교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PCK 요소의 특징과 관련성" 한국영재학회 21 (21): 801-828, 2011
6 이정규,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양성과 임용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3 (23): 343-364, 2006
7 김순식, "영재 지도 교사들의 개별탐구학습 지도전략이 과학영재 학생들의 탐구 수준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재교육학회 9 (9): 199-230, 2010
8 이항로, "과학 영재의 행동 특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32 (32): 294-305, 2011
9 Jung, J, "The relation between preservice teachers' philosophical views on science and types of responses to alternative hypotheses" 25 (25): 133-145, 2005
10 Abd-EL-Khalick, F,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 Making the unnatural natural" 82 (82): 417-436, 1998
1 김경민,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의 분류 능력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709-719, 2011
2 양일호, "초등 초임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신념과 과학 교수-학습 활동과의 관련성"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4 (24): 399-416, 2005
3 임성만, "초등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및 교수태도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34 (34): 396-404, 2010
4 심규철, "초ㆍ중등 예비 교사들의 생명과학에 대한 인식 조사 비교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39 (39): 623-631, 2011
5 김선경, "중학교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PCK 요소의 특징과 관련성" 한국영재학회 21 (21): 801-828, 2011
6 이정규,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양성과 임용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3 (23): 343-364, 2006
7 김순식, "영재 지도 교사들의 개별탐구학습 지도전략이 과학영재 학생들의 탐구 수준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재교육학회 9 (9): 199-230, 2010
8 이항로, "과학 영재의 행동 특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32 (32): 294-305, 2011
9 Jung, J, "The relation between preservice teachers' philosophical views on science and types of responses to alternative hypotheses" 25 (25): 133-145, 2005
10 Abd-EL-Khalick, F,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 Making the unnatural natural" 82 (82): 417-436, 1998
11 Soh, W, "The effects of teachers' philosophical perspectives of science on their student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18 (18): 221-231, 1998
12 Soh, W., "The effects of science teachers'philosophical views on science and science content describing styles on the changes of middle school students' views on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98
13 Lederman, N. G, "Teachers'understanding of nature of science and classroom practice: Factors that facilitate or impede the relationship" 36 (36): 916-929, 1999
14 Brichhouse, N. W, "Teacher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ir relationship to classroom practices" 41 (41): 53-62, 1990
15 Song, J, "Review and analysis of the studies on contexts in science education" 17 (17): 273-288, 1997
16 Gallagher, J. J, "Prospective and practicing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s about the philosophy of science" 75 (75): 121-133, 1991
17 Kim, W. J,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about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96
18 박영신, "Exploring Students’ Ability of ‘Doing’ Scientific Inquiry: The Case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한국지구과학회 32 (32): 225-238, 2011
19 Jang, B. G,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n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14 (14): 1-15, 1995
20 Kwon, 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about and its changes in the natue of science and constructivist' view of learning" 15 (15): 104-115, 1995
21 Soh, W,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assess secondary school students'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18 (18): 127-136, 1998
22 Ahn, J. S, "Characteristics of the novice teachers'teaching for science-gifted studen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