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시간강사연구지원사업의 목적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시한 대학생 핵심역량 중에서 비인지적 역량인 자기관리역량을 탐구하고 맞춤형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운영전략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87169
201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시간강사연구지원사업의 목적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시한 대학생 핵심역량 중에서 비인지적 역량인 자기관리역량을 탐구하고 맞춤형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운영전략으...
본 시간강사연구지원사업의 목적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시한 대학생 핵심역량 중에서 비인지적 역량인 자기관리역량을 탐구하고 맞춤형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운영전략으로 액션러닝을 적용하는 것이다.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은 2011년부터 2014년까지 J대학교 핵심역량 교양교육과정에서 이루어져 왔던 교양수업 운영사례의 실천경험과 학습자의 요구와 반응을 토대로 형성적 접근을 통해 개발되었다(권순철, 2014; 권순철, 김성봉, 2014; 이인회, 권순철, 2013). 즉, 대학핵심역량 교양수업에 대해 형성적 접근으로 수강생들이 산출한 성찰저널, 과제보고서 등을 수집 분석하여 그들이 인식하는 프로그램의 강점과 약점은 무엇이며, 또한 그것은 어떻게 개선될 수 있는가를 학기별 사례연구를 통하여 개발하였다.
액션러닝이란 소규모로 구성된 한 집단이 조직, 그룹 또는 개인이 직면하고 있는 실질적인 비즈니스 이슈와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그 실천과정에 대한 성찰을 통한 학습 즉, 현장적용과 성찰을 통한 학습의 반복적이고 순환적인 과정을 통해 학습하는 방법이며, 이를 통해 그룹 구성원 개개인, 그룹은 물론 조직 전체의 요구를 충족하는 적시형 학습 형태이다(봉현철, 유평준, 2001: 59).
J대학교는 핵심역량 향상을 통한 취업률을 제고하려는 목적으로 핵심역량 교양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였다(제주대학교기초교육원, 2012: 1-3). 즉,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과정을 도입하여 재학생들의 기본소양 교육의 견인차 역할과 더불어 사회 속에서의 관계와 지식의 활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였다(권순철 2013; 2014).
이 연구의 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재한 J대학교에서 교양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이다. 연구 방법은 형성적 연구로 Reigeluth(1999, 최욱 등 옮김, 2010: 530-535)의 기존의 이론을 개선하기 위한 ‘설계된 사례’ 방법을 준용한다. 이 연구는 학기별 사례연구를 통해 형성적 자료 수집 및 분석, 사례 수정, 자료수집과 수정 반복, 프로그램 최종개발로 연구가 진행된다.
Reigeluth가 제시한 형성적 연구 첫째, 특정 교수설계이론 또는 모형을 선택한다. 둘째, 그 이론 또는 모형의 사례를 설계하고 개발한다. 셋째, 그 사례에 대한 형성적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넷째, 그 사례를 수정한다. 다섯째, 자료수집과 수정의 사이클을 반복한다. 여섯째, 그 이론이나 모형에 대한 잠정적인 수정을 제공한다. 등 여섯 단계를 거친다. 이러한 논리적 단계는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특정 조직의 교육환경과 조건을 토대로 일반적 교양수업을 수정, 보완하여 교육현장의 유용성을 높이고 보다 더 효과적인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개발하는데 논리적 개발 준거가 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중시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일반대학 교양교육에 적용 가능한 사례이며, 수강생들이 대학생활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기관리역량을 향상시켜 주며, 대학생들이 졸업 후 입직(入職)에 직면하게 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 연구와 같이 자기관리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생들의 학습요구를 파악하여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 운영전략 도출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또한 교수자들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자기관리역량 프로그램에서 어떤 노력을 기울어야 할 지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대학에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이나 재설계, 운영에 있어 학습자의 요구와 반응을 수용하여 반영하는 것은 교육현장에서 학습자중심 프로그램 운영에 매우 중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보다 밀도 높은 자료 탐색과 심도 있는 검토를 지속해 나가기 위해 이번 한국연구재단의 2015년도 시간강사연구지원사업에 지원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