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문기사 내용 분석을 통한 도시락 현황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141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packed meal market has been up and coming as social structure changed.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set up directions for future packed meal products. For this research, a total of 802 articles from three major daily newspapers are collected, divided into three section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then contents of the paper articles analyzed. According to the articles, packed meal brand boomed up in the aftermath of recession in 2010 after released at convenience stores. Then people have increasingly been interested in packed meal. Recession led to a rapid increase in packed meal. As the society has changed and consumer needs get
      specific, simple packed meals have turned into a variety of packed meal menu from specialty store, convenience store and restaurants. Considering its functional prospectives, time-saving for self-development and low cost are two main reasons why packed meal is popular with workers. Moreover, as senior citizens become a huge population group, products and service which targets for senior citizens are appreciated and packed meals with nutional balance are demanded. In addition, packed meal plays an important part in international events and its role has changed in general events. For instance, it is used for a communication tool as well as a promotion tool in corporation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packed meal which suits these needs are explained in this research.
      번역하기

      Recently packed meal market has been up and coming as social structure changed.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set up directions for future packed meal products. For this research, a total of 802 articles from three major daily newspa...

      Recently packed meal market has been up and coming as social structure changed.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set up directions for future packed meal products. For this research, a total of 802 articles from three major daily newspapers are collected, divided into three section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then contents of the paper articles analyzed. According to the articles, packed meal brand boomed up in the aftermath of recession in 2010 after released at convenience stores. Then people have increasingly been interested in packed meal. Recession led to a rapid increase in packed meal. As the society has changed and consumer needs get
      specific, simple packed meals have turned into a variety of packed meal menu from specialty store, convenience store and restaurants. Considering its functional prospectives, time-saving for self-development and low cost are two main reasons why packed meal is popular with workers. Moreover, as senior citizens become a huge population group, products and service which targets for senior citizens are appreciated and packed meals with nutional balance are demanded. In addition, packed meal plays an important part in international events and its role has changed in general events. For instance, it is used for a communication tool as well as a promotion tool in corporation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packed meal which suits these needs are explained in this resear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희령, "해남 세발나물, 제주흑돼지 도시락이 신난 이유"

      2 성진혁, "한국은 강한 팀, 굿럭!(Good Luck)"

      3 김동환, "프로야구 내일 시작, 스탠드에서 주말 도시락 파티 어때요"

      4 마크로밀엠브레인, "편의점 도시락 이용 인식" 2016

      5 윤성진, "쿡가대표가 만든 한식 도시락 불티"

      6 김원경, "치매 가족의 자살 및 살인사건에 대한 신문기사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219-246, 2014

      7 마크로밀엠브레인, "직장인 도시락 이용" 2014

      8 서모란, "조리서와 신문, 잡지기사에 나타난 1930-2010년대 배추김치 연대별 고추 사용량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 30 (30): 576-586, 2015

      9 김창곤, "전주비빔밥 테이크아웃(take-out), 길거리 나선다. 조선일보, 전국뉴스"

      10 노연아, "일본 도시락(弁当)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공간학회 9 (9): 69-88, 2014

      1 구희령, "해남 세발나물, 제주흑돼지 도시락이 신난 이유"

      2 성진혁, "한국은 강한 팀, 굿럭!(Good Luck)"

      3 김동환, "프로야구 내일 시작, 스탠드에서 주말 도시락 파티 어때요"

      4 마크로밀엠브레인, "편의점 도시락 이용 인식" 2016

      5 윤성진, "쿡가대표가 만든 한식 도시락 불티"

      6 김원경, "치매 가족의 자살 및 살인사건에 대한 신문기사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219-246, 2014

      7 마크로밀엠브레인, "직장인 도시락 이용" 2014

      8 서모란, "조리서와 신문, 잡지기사에 나타난 1930-2010년대 배추김치 연대별 고추 사용량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 30 (30): 576-586, 2015

      9 김창곤, "전주비빔밥 테이크아웃(take-out), 길거리 나선다. 조선일보, 전국뉴스"

      10 노연아, "일본 도시락(弁当)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공간학회 9 (9): 69-88, 2014

      11 마크로밀엠브레인, "일반인 도시락 이용 현황" 2016

      12 정성진, "울고 웃었던 2013… 업종별 분석 (1) 유통업계"

      13 월간식당, "외식업계 1인식을 주목하라"

      14 박경빈, "예술영재에 대한 인식 변화: 1999~2013 신문기사 내용분석을 통하여" 한국영재학회 23 (23): 731-750, 2013

      15 조성하, "열차 도시락 예약하면 좌석으로 배달 서비스"

      16 문현경, "어린이신문 및 잡지에 게재된 식생활 관련 정보 현황조사(2002년)" 한국영양학회 38 (38): 161-172, 2005

      17 이주연, "액티브 시니어, 제2의 황금기를 즐겨라"

      18 구본길, "실버외식소비자의 외식행동 및 레스토랑 선택속성" 한국식공간학회 5 (5): 1-14, 2010

      19 두산백과, "신문의 역할"

      20 김진동, "신문기사의 내용분석을 통한 지역관광의 현안과 과제 분석 : 전라북도 사례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493-512, 2011

      21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FIS, 2016년 국내 외식트렌드"

      22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FIS, 2016년 국내 외식트렌드"

      23 이규진, "미국 일간지의 한국음식 관련기사 내용분석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289-298, 2007

      24 이재헌, "런던 2012 ‘메달 밭’ 한국 양궁의 숨은 이야기"

      25 박반야, "내용분석을 통한 식공간 연출 연구 동향 - (사)한국식공간학회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식공간학회 11 (11): 55-73, 2016

      26 오피니언팀, "김영란법 시행뒤 맞춤형 도시락 주문 크게 늘었다"

      27 백학영, "금융위기 전후 근로빈곤 구조의 변화 탐색" 사회과학연구원 55 (55): 181-207, 2016

      28 박성진, "가정식 대체식품 산업의 현황과 정책과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29 장민석, "20만원짜리 축구 입장권"

      30 송민섭, "2008년 금융위기와 애널리스트의 예측 성향의 변화" 한국경영학회 42 (42): 1187-1218, 2013

      31 고기영, "1인가구 증가 소비지형도 바꾼다" LG Business Insight 2-16, 2014

      32 한국경제, "1인가구 소비만 ‘나홀로’ 성장"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11-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공간연구학회 -> 한국식공간학회
      영문명 : The Table & Food Coordinate of Korea(TFCK) -> The Table & Food Coordinate Society of Korea(TFCK)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88 0.913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