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영희, "현대시의 정서 표현과 정서 체험 교육" 우리말글학회 39 : 139-166, 2007
2 정민, "한시미학산책" 솔 1996
3 최현재, "조선중기 재지사족의 현실인식과 시가문학" 선인 2006
4 이상원, "조선시대 시가사의 구도와 시각" 보고사 2004
5 이승남, "정훈가사에 나타난 이념과 현실의 정서적 형상화 – 성주중흥가, 탄궁가, 우활가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문화학회 (44) : 69-96, 2008
6 이상원, "정훈 시조 연구" 우리어문학회 11 (11): 237-256, 1997
7 강경호, "정훈 시가(詩歌)에 반영된 현실 인식과 문학적 형상 재고" 한민족어문학회 30 (30): 193-230, 2006
8 최홍원, "정훈 시가 다기성에 대한 시학적 이해" 국어국문학회 159 (159): 147-178, 2011
9 류속영, "정훈 문학의 현실적 토대와 작가 의식" 문창어문학회 35 : 1998
10 나일수, "정서의 표현과 주관적 인식의 전달" 서울대 교육사학회 17 : 2003
1 유영희, "현대시의 정서 표현과 정서 체험 교육" 우리말글학회 39 : 139-166, 2007
2 정민, "한시미학산책" 솔 1996
3 최현재, "조선중기 재지사족의 현실인식과 시가문학" 선인 2006
4 이상원, "조선시대 시가사의 구도와 시각" 보고사 2004
5 이승남, "정훈가사에 나타난 이념과 현실의 정서적 형상화 – 성주중흥가, 탄궁가, 우활가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문화학회 (44) : 69-96, 2008
6 이상원, "정훈 시조 연구" 우리어문학회 11 (11): 237-256, 1997
7 강경호, "정훈 시가(詩歌)에 반영된 현실 인식과 문학적 형상 재고" 한민족어문학회 30 (30): 193-230, 2006
8 최홍원, "정훈 시가 다기성에 대한 시학적 이해" 국어국문학회 159 (159): 147-178, 2011
9 류속영, "정훈 문학의 현실적 토대와 작가 의식" 문창어문학회 35 : 1998
10 나일수, "정서의 표현과 주관적 인식의 전달" 서울대 교육사학회 17 : 2003
11 김대행, "정서의 본질과 구조, In 고려시가의 정서" 개문사 1995
12 강진영, "정서의 개념과 교육적 의미 탐색" 42 : 1995
13 김민희, "정서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7
14 김경희, "정서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5
15 김상호, "정서교육의 탐색적 연구(Ⅰ): 정서의 개념 정의" 중앙대 한국교육문제연구소 (5) : 1989
16 김성룡, "정서(情緖)와 문학교육"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 (20): 5-32, 2010
17 염은열, "자기 치유의 이야기로 본 만언사의 특징과 의의" 2009
18 이흥표, "심리치료에서 정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학지사 2008
19 강선보, "실존주의 철학에서의 정서의 문제와 그에 관한 교육적 함의" 韓國敎育史學會 22 : 2000
20 김풍기, "시마(詩魔)" 아침이슬 2002
21 유문상, "동양의 유가와 서양 교육학자들의 정서의 범주와 정서교육방법의 고찰" 한국도덕교육학연구회 4 : 2003
22 고광민, "韓愈 古文의 변화양상 연구-前期 古文부터 「進學解」까지-" 동양학연구원 (41) : 107-123, 2007
23 최상은, "鄭勳 歌辭에 나타난 가문의식과 문학적 형상" 한민족어문학회 (45) : 361-382, 2004
24 백순철, "淸溪 姜復中 時調 硏究" 한국시가학회 12 : 6-, 2002
25 韓昌勳, "朴仁老·鄭勳 詩歌의 現實認識과 志向"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3
26 金炫榮, "朝鮮後期 南原地方 士族의 鄕村支配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27 최상은, "安貧과 嘆窮, 이념과 현실의 거리" 한민족어문학회 (43) : 6-145, 2003
28 임기중, "『한국가사문학 주해연구』 제18권" 아세아문화사 2005
29 Latta R. L., "The basic humor process: A cognitive-shift theory and the case against incongruity" Mouton de Gruyter 1999
30 서유경, "<사씨남정기>의 정서 읽기 교육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 (20): 67-99, 2010
31 황혜진, "<구운몽>의 정서 형성 방식에 대한 교육적 고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 (20): 101-133, 2010
32 황혜진, "<구시마문(驅詩魔文)>의 표현론적 전통과 그 효용" 한국문학교육학회 (33) : 181-203, 2010
33 권순회, "17세기 남원지방 재지사족의 동향과 정훈의 시가" 민족어문학회 39 : 1999
34 정진영, "16, 17세기 재지사족의 향촌 지배와 그 성격, In 조선시대 향촌 사회사" 한길사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