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광석, "헌법과 교육기본법에 나타난 교육권 분석" 한국자치행정학회 30 (30): 139-160, 2016
2 백종인, "한국에서의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제정 의의와 내용에 대한 일고찰" 1 (1): 341-373, 2007
3 김기룡, "한국, 미국 및 일본 발달장애인법 비교: 장애인 정책의 핵심 개념에 기반한 비교 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0 (20): 129-174, 2016
4 김애화, "학습장애, 난독증, 학습부진(경계선 지능 포함) 및 학습지원대상 학생은 누구이며, 교육적 지원은 이대로 괜찮은가?: 특수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소고"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21, 2018
5 이대식, "학습부진 관련 현행법과 국회 발의 중인 법안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14 (14): 49-75, 2017
6 한현민, "특수교육진흥법 규정의 분석과 해석 주요 용어 정의를 중심으로" 10 (10): 3-31, 2003
7 정대영, "특수교육진흥법 개정 방향과 원칙 탐색"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1-26, 2006
8 손승현, "특수교육요구(Special Needs Education)의 국제적 맥락 고찰" 한국학습장애학회 14 (14): 25-47, 2017
9 박창언, "특수교육에 대한 법적 접근의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1-21, 2009
10 김원경, "특수교육법 신론"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1
1 김광석, "헌법과 교육기본법에 나타난 교육권 분석" 한국자치행정학회 30 (30): 139-160, 2016
2 백종인, "한국에서의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제정 의의와 내용에 대한 일고찰" 1 (1): 341-373, 2007
3 김기룡, "한국, 미국 및 일본 발달장애인법 비교: 장애인 정책의 핵심 개념에 기반한 비교 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0 (20): 129-174, 2016
4 김애화, "학습장애, 난독증, 학습부진(경계선 지능 포함) 및 학습지원대상 학생은 누구이며, 교육적 지원은 이대로 괜찮은가?: 특수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소고"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21, 2018
5 이대식, "학습부진 관련 현행법과 국회 발의 중인 법안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14 (14): 49-75, 2017
6 한현민, "특수교육진흥법 규정의 분석과 해석 주요 용어 정의를 중심으로" 10 (10): 3-31, 2003
7 정대영, "특수교육진흥법 개정 방향과 원칙 탐색"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1-26, 2006
8 손승현, "특수교육요구(Special Needs Education)의 국제적 맥락 고찰" 한국학습장애학회 14 (14): 25-47, 2017
9 박창언, "특수교육에 대한 법적 접근의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1-21, 2009
10 김원경, "특수교육법 신론"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1
11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16
12 유재연,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학급의 법적 역할 보완 탐색" 한국통합교육학회 8 (8): 1-19, 2013
13 구미숙, "장애학생의 학습환경 형평성 보장을 위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내용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6 (6): 47-68, 2013
14 이현수, "장애인차별금지법에서 교육차별에 대한 고찰과 이행과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7 (7): 127-138, 2011
15 송정문, "장애인의 교육권 확보를 위한 소송과정에서 나타난 쟁점 연구: K대학교 장애학생의 교육권 소송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9) : 5-28, 2015
16 김재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대한 초등학교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23-44, 2009
17 유재연, "장애인 당사자의 특수교육 관련 법률 제ㆍ개정 참여에 대한 의미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207-231, 2012
18 오시진, "장애인 교육권의 재해석" 11 : 5-63, 2011
19 강명숙, "장애인 고등교육 지원 법 조항에 대한 장애학생지원센터 전담인력의 이해도 및 만족도 조사" 2 (2): 129-149, 2016
20 조원일,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에 의거한 한・일 장애인복지법의 비교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25-44, 2011
21 허승준, "장애 관련 용어와 개념의 재고"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99-120, 2016
22 김기홍, "우리나라의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안)과 독일의 장애인 평등법의 비교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2 (12): 3-26, 2005
23 이대식, "성공적인 통합교육에 필요한 일반교육의 조건" 한국통합교육학회 2 (2): 1-27, 2007
24 황정보, "복지권으로서 교육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국립특수교육원 14 (14): 123-146, 2007
25 김경열, "발달장애학습자의 고등교육 활성화 방안을 위한 델파이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19 (19): 1-20, 2015
26 조성혜, "발달장애인에 대한 고등교육의 특성화 방안" 한국법정책학회 14 (14): 1607-1640, 2014
27 송진성, "발달장애인 권리 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검토" 6 (6): 181-209, 2017
28 정용석, "발달장애아동의 학습지원과 통합교육 지원에 관한 연구: 장애정도에 따른 개인차를 중심으로" 한국발달장애학회 16 (16): 1-21, 2012
29 김윤실, "미국 장애인교육법과 우리나라 특수교육법에서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 고찰"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47-69, 2008
30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목소리 높여 100호 합본호" 장애인권익문제연구소 2004
31 나달숙, "교육권을 둘러싼 법적 논의와 한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6 (6): 23-41, 2013
32 오시진, "교육 모델을 통한 장애인 교육권의 고찰" 법학연구소 5 (5): 1-30, 2012
33 박주미,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정책집행 과정 분석: 특수교사 법정 정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29-47, 2013
34 권순성,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정책 의제설정 과정 분석- 장애인교육권연대의 역할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행정학회 28 (28): 107-132, 2010
35 조임영,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의 ‘장애’의 정의에 대한 해석론 연구 - 비교법적 분석ㆍ검토를 통한 논증적 접근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노동법학회 37 : 351-418, 2016
36 김용욱,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제정 이후에 나타나고 있는 특수교육의 변화 -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259-283, 2009
37 한현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제명, 목적과 법정용어에 대한 해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1-46, 2008
38 김의정,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른 교육과정적 통합교육 실시에 대한 초등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교과교육연구소 15 (15): 991-1019, 2011
39 나경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관한 최근 연구의 동향 분석: 2007∼2017년을 중심으로" 한국학습장애학회 14 (14): 47-70, 2017
40 김성애,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른 통합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 한국통합교육학회 2 (2): 57-79, 2007
41 조태원, "‘자유롭게 교육을 받을 권리’로서의 학습권의 범위와 한계 연구"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6 (6): 109-131, 2013
42 조홍중, "‘발달장애’의 개념에 관한 고찰 -관련 법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발달장애학회 16 (16): 1-21, 2012
43 김원경, "2007년 특수교육법상 배치기준에 따른 특수학교 교사배치의 적정성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23-44, 2009
44 권순성,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정책 의제설정 과정 분석 : 고등교육을 중심으로" 2 (2): 1-21,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