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출헌, "향랑전을 통해 본 열녀 탄생의 메카니즘" 2 : 2001
2 이혜순, "한국의 열녀전" 월인 2002
3 유성룡, "징비록" 서해문집 179-, 2003
4 정출헌, "임진왜란의 영웅을 기억하는 두 개의 방식 -사실의 기억, 또는 기억의 서사-" 우리한문학회 21 : 295-332, 2009
5 루이스 프로이스, "임진난의 기록: 루이스 프로이스가 본 임진왜란" 살림 2008
6 허선도, "임란 벽두 동래(부산)에서의 여러 순절과 그 숭양사업에 대하여- <부산진순절도> <동래부순절도> 및 <부산진․다대진순절도>를 중심으로" 국민대 한국학연구소 10 : 1987
7 강명관, "열녀의 탄생: 가부장제와 조선 여성의 잔혹한 역사" 돌베개 2009
8 오희문, "쇄미록(상)" 해주오씨추탄공파종중 1990
9 김민지, "동래부사 송상현가 한글 행장" 선문대 중한번역문헌연구소 2007
10 정석용, "눈물로 쓴 임진왜란 체험기: 일가족이 참변을 겪은 한 선비의 기록" 시사춘추사 1991
1 정출헌, "향랑전을 통해 본 열녀 탄생의 메카니즘" 2 : 2001
2 이혜순, "한국의 열녀전" 월인 2002
3 유성룡, "징비록" 서해문집 179-, 2003
4 정출헌, "임진왜란의 영웅을 기억하는 두 개의 방식 -사실의 기억, 또는 기억의 서사-" 우리한문학회 21 : 295-332, 2009
5 루이스 프로이스, "임진난의 기록: 루이스 프로이스가 본 임진왜란" 살림 2008
6 허선도, "임란 벽두 동래(부산)에서의 여러 순절과 그 숭양사업에 대하여- <부산진순절도> <동래부순절도> 및 <부산진․다대진순절도>를 중심으로" 국민대 한국학연구소 10 : 1987
7 강명관, "열녀의 탄생: 가부장제와 조선 여성의 잔혹한 역사" 돌베개 2009
8 오희문, "쇄미록(상)" 해주오씨추탄공파종중 1990
9 김민지, "동래부사 송상현가 한글 행장" 선문대 중한번역문헌연구소 2007
10 정석용, "눈물로 쓴 임진왜란 체험기: 일가족이 참변을 겪은 한 선비의 기록" 시사춘추사 1991
11 이현주, "기억 이미지로서의 동래지역 임진전란도 ―1834년작 변곤의 <동래부순절도>와 이시눌의 <임진전란도>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7) : 287-321, 2010
12 노영구, "공신선정과 전쟁평가를 통한 임진왜란 기억의 형성" 한국역사연구회 (51) : 11-35, 2004
13 신흠, "象村先生集"
14 정영방, "石門先生集"
15 "東國新續三綱行實圖" 대제각 1985
16 정경세, "愚伏先生文集"
17 "忠烈祠志" 충렬사안락서원 1978
18 송시열, "宋子大全"
19 정경운, "孤臺日錄 上" 태학사 2010
20 조혜란, "<江都夢遊錄>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11) : 329-356,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