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브랜드 안전과 조절초점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046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프로그래매틱 광고 등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소비자 노출은 극대화된 반면 브랜드가 기업의 의도와 달리 부정적 맥락에 배치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함께 브랜드 안전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 관점에서 브랜드 안전 정도(고/저)와 조절초점(향상초점/예방초점)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실험 연구 결과 브랜드 안전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 광고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안전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비자 조절초점의 조절적 역할이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예방초점 성향의 소비자는 브랜드 안전이 낮은 경우보다 브랜드 안전이 높은 경우 광고에 대해 호의적 태도를 보였다. 반면 향상초점 성향의 소비자는 브랜드 안전 정도에 따라 광고태도에 미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브랜드 안전에 관심이 많은 기업들에게 자동화 광고 배치 등의 상황에서 주도적 브랜드 관리의 필요성 및 소비자 개인 특성의 이해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프로그래매틱 광고 등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소비자 노출은 극대화된 반면 브랜드가 기업의 의도와 달리 부정적 맥락에 배치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함께 브랜드 안전에 대한...

      최근 프로그래매틱 광고 등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소비자 노출은 극대화된 반면 브랜드가 기업의 의도와 달리 부정적 맥락에 배치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함께 브랜드 안전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 관점에서 브랜드 안전 정도(고/저)와 조절초점(향상초점/예방초점)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실험 연구 결과 브랜드 안전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 광고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안전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비자 조절초점의 조절적 역할이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예방초점 성향의 소비자는 브랜드 안전이 낮은 경우보다 브랜드 안전이 높은 경우 광고에 대해 호의적 태도를 보였다. 반면 향상초점 성향의 소비자는 브랜드 안전 정도에 따라 광고태도에 미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브랜드 안전에 관심이 많은 기업들에게 자동화 광고 배치 등의 상황에서 주도적 브랜드 관리의 필요성 및 소비자 개인 특성의 이해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advance of digital technologies, brands are often placed in the inappropriate contexts. While marketers are increasingly paying attention to the issue of brand safet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and how the level of brand safety interacts with consumer regulatory focus to influence attitude toward the ad and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high level of brand safety condition leads to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ad and greater purchase intention than low level of brand safety condition. Moreover, the effect of brand safety on attitude toward ad is moderated by consumer regulatory focus. The effect of brand safety on attitude toward the ad is more pronounced among prevention-focused consumers(versus promotion-focused consumer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번역하기

      With the advance of digital technologies, brands are often placed in the inappropriate contexts. While marketers are increasingly paying attention to the issue of brand safet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With the advance of digital technologies, brands are often placed in the inappropriate contexts. While marketers are increasingly paying attention to the issue of brand safet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and how the level of brand safety interacts with consumer regulatory focus to influence attitude toward the ad and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high level of brand safety condition leads to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ad and greater purchase intention than low level of brand safety condition. Moreover, the effect of brand safety on attitude toward ad is moderated by consumer regulatory focus. The effect of brand safety on attitude toward the ad is more pronounced among prevention-focused consumers(versus promotion-focused consumer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5. 결론 및 논의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지은, "혼합감정광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조절초점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4 (24): 25-38, 2013

      2 전수빈, "중국소비자의 한국 스마트폰 지각된 만족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6 (16): 51-66, 2015

      3 서희정, "온라인 동영상 광고의 강제노출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맥락일치성에 따른 심리적 반발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광고학회 29 (29): 73-93, 2018

      4 김유승, "온라인 동영상 광고와 클립 영상의 맥락 일치성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30 (30): 137-158, 2019

      5 류별희, "온라인 구전정보의 일면/양면 방향성과 지각된 유용성이 온라인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조절초점 (regulatory focus)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6 (26): 263-304, 2015

      6 한은경, "소셜 미디어의 신뢰도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 신뢰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92) : 7-29, 2012

      7 이해수, "범퍼애드(Bumper AD)의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맥락 일치/불일치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21 (21): 199-235, 2019

      8 박가려, "배너광고와 웹사이트 컨텐츠의 맥락간 일치성 및 광고유형이 광고노출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21 (21): 115-146, 2010

      9 홍지미, "배너광고와 웹 기사의 맥락에 따른 광고효과" 한국광고학회 22 (22): 75-101, 2011

      10 정만수,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와 제품관여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3 (23): 201-227, 2012

      1 최지은, "혼합감정광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조절초점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4 (24): 25-38, 2013

      2 전수빈, "중국소비자의 한국 스마트폰 지각된 만족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6 (16): 51-66, 2015

      3 서희정, "온라인 동영상 광고의 강제노출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맥락일치성에 따른 심리적 반발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광고학회 29 (29): 73-93, 2018

      4 김유승, "온라인 동영상 광고와 클립 영상의 맥락 일치성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30 (30): 137-158, 2019

      5 류별희, "온라인 구전정보의 일면/양면 방향성과 지각된 유용성이 온라인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조절초점 (regulatory focus)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6 (26): 263-304, 2015

      6 한은경, "소셜 미디어의 신뢰도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 신뢰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92) : 7-29, 2012

      7 이해수, "범퍼애드(Bumper AD)의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맥락 일치/불일치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21 (21): 199-235, 2019

      8 박가려, "배너광고와 웹사이트 컨텐츠의 맥락간 일치성 및 광고유형이 광고노출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21 (21): 115-146, 2010

      9 홍지미, "배너광고와 웹 기사의 맥락에 따른 광고효과" 한국광고학회 22 (22): 75-101, 2011

      10 정만수,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와 제품관여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3 (23): 201-227, 2012

      11 이세진, "모바일 배너광고의 맥락효과와 메시지 표현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한국광고학회 26 (26): 167-185, 2015

      12 김윤호, "동영상UCC 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 광고와 동영상UCC간의 맥락일치성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2 (22): 47-66, 2011

      13 이진균, "뉴스 웹사이트에서 브랜드 안전이 소 비자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 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친숙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31 (31): 7-32, 2020

      14 김경진, "광고소구와 소비자의 무드에 따른 조절적합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23 (23): 1005-1025, 2010

      15 Joseph, S., "Why 'brand suitability' is replacing brand safety"

      16 Bushman, B. J., "Violence and sex in television programs do not sell products in advertisements" 16 (16): 702-708, 2005

      17 Kirmani, A., "Vigilant against manipulation : The effect of regulatory focus on the use of persuasion knowledge" 44 : 688-701, 2007

      18 Aaker, L., "Understanding regulatory fit" 43 (43): 15-19, 2006

      19 Bnnerflow, "The ultimate guide to brand"

      20 Mavlanova, T., "The role of external and internal signals in E-commerce" 87 : 59-68, 2016

      21 Grapeshot, "The new rules of brand safety"

      22 Schumann, D. W., "The influence of viewing context on commercial effectiveness : A selection-processing model" 12 : 1-24, 1990

      23 Kowalewicz, R., "The importance of digital brand safety"

      24 Yi, Y., "The effects of contextual priming in print advertisements" 17 (17): 215-222, 1990

      25 Flores, W., "The effect of variations in banner ad, type of product, website context, and language of advertising on Internet users' attitudes" 31 : 37-47, 2014

      26 김미경, "The Effects of Valence and Regulatory Focus on the Consumer Responses to Online Product Review" 한국광고학회 30 (30): 29-48, 2019

      27 Bonanno, J., "Tailoring your brand safety strategy"

      28 Elite SEM, "Scale vs. brand safety: Is there a programmatic winner? Tinuiti"

      29 Crowe, E., "Regulatory focus and strategic inclinations : Promotion and prevention in decision-making" 69 (69): 117-132, 1997

      30 IAB, "Quick Q&A–brand safety"

      31 Daniel, K., "Prospect theory :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47 (47): 263-291, 1979

      32 Koch, L., "Offensive content on platforms turns off consumers, tarnishes ads"

      33 Frank. R., "New media offer brand safe alternative for advertisers to ad tech"

      34 Higgins, E. T., "Nature of priming effects on categorization" 11 (11): 59-69, 1985

      35 Lockwood, P., "Motivation by positive or negative role models : Regulatory focus determines who will best inspire us" 83 (83): 854-864, 2002

      36 De Pelsmacker, P., "Media context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 The role of context appreciation and context/ad similarity" 31 (31): 49-61, 2002

      37 Wojdynski, B. W., "Going native : Effects of disclosure position and language on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online native advertising" 45 : 157-168, 2015

      38 "Find out if you should go programatic"

      39 Richardson, P., "Extrinsic and intrinsic cue effects on perceptions of store brand quality" 58 (58): 28-36, 1994

      40 Kim, M., "Effects of review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regulatory focus on perceived review usefulness" 43 (43): 1319-1334, 2015

      41 Kim, M., "Determinants of young consumers’ attitude toward mobile advertising : The role of regulatory focus" 26 (26): 186-206, 2020

      42 Brand Safety Institute, "Defining brand safety"

      43 Brackett, L. K., "Cyberspace advertising vs. other media:Consumer vs. mature student attitudes" 41 (41): 23-32, 2001

      44 Meyers-Levy, J., "Context effects at encoding and judgment in consumption settings : The role of cognitive resources" 24 (24): 1-14, 1997

      45 Zeng, F., "Chinese smartphone brands : Gender, consumers behavioural and attitudinal loyalty" 2 : 83-98, 2019

      46 Bellman, S., "Brand safety: The effects of controversial video content on pre-roll advertising" 4 (4): e01041-, 2018

      47 Laroche, M., "Brand familiarity and confidence as determinants of purchase intention : An empirical test in a multiple brand context" 37 (37): 115-120, 1996

      48 Higgins, E. T., "Beyond pleasure and pain" 52 (52): 1280-1300, 1997

      49 Mitchell, A. A., "Are product attribute beliefs the only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s on brand attitude" 18 (18): 318-332, 1981

      50 Herzenstein, M., "Adoption of new and really new products :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systems and risk salience" 44 (44): 251-260, 2007

      51 Wu, M., "A tale of two sources in native advertising : Examining the effects of source credibility and priming on content, organizations, and media evaluations" 60 (60): 1492-1509,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광고학보 -> 한국광고홍보학보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72 2.31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