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비자 구매 여정에 따른 맞춤형 광고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소비자 구매 여정에 따른 맞춤형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에 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04682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3-136(6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소비자 구매 여정에 따른 맞춤형 광고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소비자 구매 여정에 따른 맞춤형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에 적...
본 연구는 소비자 구매 여정에 따른 맞춤형 광고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소비자 구매 여정에 따른 맞춤형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에 적용해 각 구매 여정 단계에서의 맞춤형 광고에 대한 반응 형성에 인지된 유용성과 프라이버시 염려가 상호작용하는 프라이버시 계산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소비자 구매 여정에 따라 맞춤형 광고에 대한 반응이 변화하는 과정에 적시성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 구매 여정 단계에 따라 맞춤형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이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맞춤형 광고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이 높아질수록 맞춤형 광고에 대한 반응은 긍정적이었고, 프라이버시 염려가 상승할수록 맞춤형 광고에 대한 반응은 부정적이었다. 소비자들의 맞춤형 광고에 대한 태도, 반응의도, 수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인지된 유용성은 초기 고려 단계부터 구매 시기까지 점차 증가하다가 구매가 이루어진 다음에는 감소하였다. 반면, 소비자 반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프라이버시 염려는 초기 고려 단계부터 점차 감소하다가, 구매 후 단계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소비자 구매 여정에 따른 맞춤형 광고에 대한 반응 형성에 인지된 유용성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고, 소비자 구매 여정과 인지된 유용성의 관계에서 광고의 적시성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맞춤형 광고를 접하는 시기에 따라 맞춤형 광고에 따른 반응이 달라짐을 소비자 구매 여정과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맞춤형 광고가 보다 정교하게 타겟팅 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consumer response to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by each stage in consumer decision journey. In order to review the effect of privacy calculus, consumer response to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by stag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consumer response to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by each stage in consumer decision journey. In order to review the effect of privacy calculus, consumer response to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by stages in consumer decision journey was analyzed with privacy calculus model. The effect of privacy calculus is under complex interaction with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rivacy concern. Lastly, the present study also aimed to describe the effect of advertising’s timeliness on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consumer response to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by consumer decision journey. As a result, by each stage in consumer decision journe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er response to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Specific results are as follows; greater perceived usefulness of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was related with more positive response, while greater privacy concern was associated with more negative response. Perceived usefulness for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led to positive advertisement attitude, reaction intention, and advertisement acceptance intention. In the stages of consumer decision journey, the perceived usefulness for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increased from early consideration stage to pre-purchase stage, and then decreased after the purchase was performed.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privacy concern progressively decreased from early consideration stage to purchase-consideration stage, and increased after post-purchase stage. In addition, moderation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in establishment of response to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by consumer decision journey was assessed. Its regulated moderation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studying the effect of advertisement’s timeliness in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decision journey and perceived usefulness. The present study has its academic significance in elucidating the different responses to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depending on the time of encounter to the advertisement, analyzed with consumer decision journey and privacy calculus models. It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current situation of steadily growing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that is targeted in more sophisticated manne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서헌주, "프로그래매틱 광고에 대한 국내 광고주 및 대행사의 인식과 장애요인에 대한 탐색 연구" 한국광고PR실학회 12 (12): 32-58, 2019
2 이종명, "패현상품 소비자의 관여도와 의류광고효과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2 (52): 99-109, 2002
3 신병동, "타게팅 광고와 프라이버시 침해-행동 타게팅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7 (17): 129-152, 2014
4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전자상거래 이용 현황과 구매 행태"
5 최미영, "옴니채널 환경에서 패션 소비자 구매여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20 (20): 505-518, 2019
6 이동주, "온라인상의 개인 정보 제공에 있어서 정보 투명성의 역할 -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을 중심으로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17 (17): 68-85, 2010
7 김재휘, "온라인 맞춤형 광고의 유용성, 편의성,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성이 광고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의 심리적 반응과 지각된 통제감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87) : 263-302, 2010
8 양지연, "온라인 맞춤형 광고: 개인정보보호와 정보이용의 균형점을 찾아서, 미국FTC와 EU의 가이드라인에 비추어" 5 (5): 3-26, 2009
9 박진우, "시각적 은유 이미지의 정보적 속성(구체적 속성/추상적 속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시각적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6 (16): 5-30, 2014
10 유소은, "스마트폰 이용자의 모바일 광고 수용의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 개인화된 서비스, 개인정보보호, 광고 피로도 사이에서의 딜레마" 한국경영정보학회 17 (17): 77-100, 2015
1 서헌주, "프로그래매틱 광고에 대한 국내 광고주 및 대행사의 인식과 장애요인에 대한 탐색 연구" 한국광고PR실학회 12 (12): 32-58, 2019
2 이종명, "패현상품 소비자의 관여도와 의류광고효과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2 (52): 99-109, 2002
3 신병동, "타게팅 광고와 프라이버시 침해-행동 타게팅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7 (17): 129-152, 2014
4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전자상거래 이용 현황과 구매 행태"
5 최미영, "옴니채널 환경에서 패션 소비자 구매여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20 (20): 505-518, 2019
6 이동주, "온라인상의 개인 정보 제공에 있어서 정보 투명성의 역할 -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을 중심으로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17 (17): 68-85, 2010
7 김재휘, "온라인 맞춤형 광고의 유용성, 편의성,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성이 광고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의 심리적 반응과 지각된 통제감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87) : 263-302, 2010
8 양지연, "온라인 맞춤형 광고: 개인정보보호와 정보이용의 균형점을 찾아서, 미국FTC와 EU의 가이드라인에 비추어" 5 (5): 3-26, 2009
9 박진우, "시각적 은유 이미지의 정보적 속성(구체적 속성/추상적 속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시각적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6 (16): 5-30, 2014
10 유소은, "스마트폰 이용자의 모바일 광고 수용의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 개인화된 서비스, 개인정보보호, 광고 피로도 사이에서의 딜레마" 한국경영정보학회 17 (17): 77-100, 2015
11 김종기, "스마트폰 위치기반서비스에서 정보제공의도: 프라이버시 계산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1 (21): 55-79, 2012
12 배재권, "소셜커머스 소비자의 후기수용 신념이 이용 후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 3대 소셜커머스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국로고스경영학회 14 (14): 115-134, 2016
13 장연주,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별 구매의사결정과정의 차이 분석" 한국소비자학회 26 (26): 125-152, 2015
14 김보람, "리타게팅광고에 대한 인터넷쇼핑 이용자들의 태도 연구:광고 태도, 클릭의도, 개인정보 제공의도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6 (26): 37-63, 2015
15 조재수, "관여도에 따른 POP광고의 효과" 한국OOH광고학회 15 (15): 46-61, 2018
16 김예솔란, "개인화 수준이 소비자의 인식과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모바일쿠폰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7 (27): 31-57, 2016
17 정의선, "개인의 건강정보 제공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프라이버시 계산 관점에서" 한국품질경영학회 46 (46): 877-898, 2018
18 Lambrecht, A., "When does retargeting work? Information specificity in online advertising" 50 (50): 561-576, 2013
19 Allen, "What is programmatic marketing?"
20 Keller, K. L., "Unlocking the power of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 How integrated is your IMC program" 45 (45): 286-301, 2016
21 Li, H., "Understanding situational online information disclosure as a privacy calculus" 51 (51): 62-71, 2010
22 Chan, J. C., "Understanding online interruption based advertising : Impacts of exposure timing, advertising intent, and brand image" 57 (57): 365-379, 2009
23 Bhattacherjee, A.,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 An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25 (25): 351-370, 2001
24 Xu, H., "The personalization privacy paradox : An exploratory study of decision making process for location-aware marketing" 51 (51): 42-52, 2011
25 Awad, N. F., "The personalization privacy paradox : An empirical evaluation of information transparency and the willingness to be profiled online for personalization" 30 (30): 13-28, 2006
26 Bleier, A., "The importance of trust for personalized online advertising" 91 (91): 390-409, 2015
27 Komiak, S. Y., "The effects of personalization and familiarity on trust and adoption of recommendation agents" 30 (30): 941-960, 2006
28 Court, D., "The consumer decision journey" 1-11, 2009
29 Tucker, C. E., "Social networks, personalized advertising, and privacy controls" 51 (51): 546-562, 2014
30 윤세연, "SNS 광고에서의 개인화 요소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 광고 메시지의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20 (20): 64-94, 2018
31 Kim, N. Y., "Relevance to the rescue : Can"Smart Ads"reduce negative response to online ad clutter" 87 (87): 346-362, 2010
32 Andrews, L.,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leadership and the construction of public value in the age of the algorithm and ‘big data’" 97 (97): 296-310, 2019
33 Goldfarb, A., "Privacy regulation and online advertising" 57 (57): 57-71, 2011
34 Laufer, R. S., "Privacy as a concept and a social issue : A multidimensional developmental theory" 33 (33): 22-42, 1977
35 Postma, O. J., "Personalisation in practice : The proven effects of personalisation" 9 (9): 137-142, 2002
36 Krafft, M., "Permission marketing and privacy concerns-Why do customers(not)grant permissions" 39 : 39-54, 2017
37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13 (13): 319-340, 1989
38 Boerman, S. C.,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 A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agenda" 46 (46): 363-376, 2017
39 Hourahine, B., "Money on the move : Opportunities for financial service providers in the ‘third space’" 9 (9): 57-67, 2004
40 Laurent, G., "Measuring consumer involvement profiles" 22 (22): 41-53, 1985
41 김종범, "MMT를 활용한 사용자 선호도 기반 광고 컨텐츠 삽입 기술" 한국통신학회 43 (43): 388-396, 2018
42 Sun, Y., "Lo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in location-based social network services : Privacy calculus, benefit structure, and gender differences" 52 : 278-292, 2015
43 박정열, "LBS 모바일광고가 브랜드마케팅에 미치는 영향" 대한부동산학회 33 (33): 391-409, 2015
44 Dinev, T., "Internet privacy concerns and beliefs about government surveillance-An empirical investigation" 17 (17): 214-233, 2008
45 Batra, R., "Integrating marketing communications : New findings, new lessons, and new ideas" 80 (80): 122-145, 2016
46 Childers, T. L., "Hedonic and utilitarian motivations for online retail shopping behavior" 77 (77): 511-535, 2001
47 White, T. B., "Getting too personal : Reactance to highly personalized email solicitations" 19 (19): 39-50, 2008
48 Stankevich, A., "Explaining the consumer decision-making process : Critical literature review" 2 (2): 7-14, 2017
49 Mirchevska, T. P., "Emergence of the social consumer-The impact of personalisation, localization and social collaboration on consumerism" 11 : 229-236, 2011
50 Oh, L. B., "Effects of multimedia on mobile consumer behavior: An empirical study of location-aware advertising" 56-, 2003
51 Park, J. W., "Effects of involvement on on-line brand evaluations : A stronger test of the ELM" 22 : 435-439, 1995
52 Cho, H., "Effects of gain versus loss frame antidrug ads on adolescents" 58 (58): 428-446, 2008
53 Ansari, A., "E-customization" 40 (40): 131-145, 2003
54 Supphellen, M., "Drivers of intention to revisit the websites of well-known companies : The role of corporate brand loyalty" 43 (43): 1-12, 2001
55 Balaji, N., "Digital touchpoints and consumer decision journey with reference to two-wheelers" 3 (3): 21-27, 2018
56 Harms, B., "Digital native advertising : Practitioner perspectives and a research agenda" 17 (17): 80-91, 2017
57 Feng, X., "Determinants of consumers’ attitudes toward mobile advertising : 7 The mediating rol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63 : 334-341, 2016
58 Anshari, 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and big data enabled : Personalization &customization of services" 15 (15): 94-101, 2018
59 Kenny, D., "Contextual marketing" 78 (78): 119-125, 2000
60 Kumar, V., "Conceptualizing the evolution and future of advertising" 45 (45): 302-317, 2016
61 Edelman, D. C., "Competing on customer journeys" 93 (93): 88-100, 2015
62 Edelman, D. C., "Branding in the digital age" 88 (88): 62-69, 2010
63 Kietzmann, J., "Artificial intelligence in advertising : How marketers can leverage artificial intelligence along the consumer journey" 58 (58): 263-267, 2018
64 Dinev, T., "An extended privacy calculus model for e-commerce transactions" 17 (17): 61-80, 2006
65 Belk, R. W., "An exploratory assessment of situational effects in buyer behavior" 11 (11): 156-163, 1974
66 Sheng, H., "An experimental study on ubiquitous commerce adoption : Impact of personalization and privacy concerns" 9 (9): 15-, 2008
67 McDonald, A. M., "An empirical study of how people perceive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CMU 2009
68 Summers, C. A., "An audience of one : Behaviorally targeted ads as implied social labels" 43 (43): 156-178, 2016
69 Sutanto, J., "Addressing the personalization-privacy paradox : An empirical assessment from a field experiment on smartphone users" 37 (37): 1141-1164, 2013
70 Wixom, B. H., "A theoretical integration of user satisfaction and technology acceptance" 16 (16): 85-102, 2005
71 Barnes, S. B., "A privacy paradox : Social networking in the United States" 11 (11): 2006
72 나스미디어, "2018인터넷 이용자 조사" 2018
상관토픽모델을 활용한 유튜브 크리에이터 소비자의 온라인 구전 특성에 관한 연구
유튜브 매개 공공커뮤니케이션 모형과 방향성 모색 : 기후변화 문제를 중심으로
패널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VOD클립영상의 TV본방송 시청에 미치는 영향과 장르효과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6-0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광고학보 -> 한국광고홍보학보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2 | 1.22 | 1.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72 | 2.318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