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0년 이후 발표된 한국어교육 연구물 분석을 통해 한국어교육 연구 영역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육 연구는 한국어교육 현장의 역사와 함께 발전하고 영향을 받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발표된 한국어교육 연구물 분석을 통해 한국어교육 연구 영역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육 연구는 한국어교육 현장의 역사와 함께 발전하고 영향을 받을...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발표된 한국어교육 연구물 분석을 통해 한국어교육 연구 영역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육 연구는 한국어교육 현장의 역사와 함께 발전하고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 수행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영역들에 대한 논의가 가능할 것이다. 한국어교육 연구 분야의 연구 영역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어교육 연구가 활발히 수행된 2000년 이후 발표된 석․박사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7,681편을 연구 유형별(학위논문, 학술지) 동향, 연도별 연구 동향, 주제별 연구 동향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 동향 분석 결과 크게 ‘한국어교육 일반’, ‘한국어교육 내용’, ‘교수학습’ 등 세 가지 주제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한국어교육 일반’은 여섯 가지 하위 주제로 ‘한국어교육 내용’은 아홉 가지 하위 주제로 ‘교수학습’은 열 가지 하위 주제로 나눌 수 있었다. 2000년 이후 새로이 등장한 하위 주제 등 한국어교육 연구 영역이 다양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losely tied to the actual practice of teaching Korean as a language. Through examining the previous research carried thus far, academic domains of Korean Education research could be discussed. The purpose of t...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losely tied to the actual practice of teaching Korean as a language. Through examining the previous research carried thus far, academic domains of Korean Education research could be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xisting research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the year 2000 to present and to parse their findings into discrete academic domains categorically. These academic domains were identified through a study of 7,681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categorizing each text according to research type, research subject, and yearly trends. The following four domain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General Korean Education Issues, Korean Education Content,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General Korean Education Issues is comprised of 6 sub-research topics, whereas Korean Education Content is comprised of 9 sub-research topics and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is comprised of 10 sub-research topics. Overall, it is evident that a variety of research domains have emerged regar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since 2000.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한님, "한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 연세대학교 2015
2 이영근,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을 찾아서 -응용언어학적 관점에서 바라보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379-401, 2008
3 김정숙,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및 연계학문적 특성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39-59, 2012
4 윤여탁, "한국어교육학과 한국학"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15-130, 2007
5 서상규, "한국어교육학과 기초 학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75-97, 2007
6 김용현, "한국어교육학 학술지의 현황과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49-75, 2011
7 강현화, "한국어교육학 연구의 최신 동향 및 전망" 국어국문학회 (155) : 39-78, 2010
8 강현화, "한국어교육학 내용학의 발전 방향 모색"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1-20, 2008
9 강승혜,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1-28, 2003
10 강승혜, "한국어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연구 - 하위 학문 영역 구축을 위한 귀납적 접근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8 : 37-60, 2003
1 장한님, "한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 연세대학교 2015
2 이영근,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을 찾아서 -응용언어학적 관점에서 바라보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379-401, 2008
3 김정숙,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및 연계학문적 특성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39-59, 2012
4 윤여탁, "한국어교육학과 한국학"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15-130, 2007
5 서상규, "한국어교육학과 기초 학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75-97, 2007
6 김용현, "한국어교육학 학술지의 현황과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49-75, 2011
7 강현화, "한국어교육학 연구의 최신 동향 및 전망" 국어국문학회 (155) : 39-78, 2010
8 강현화, "한국어교육학 내용학의 발전 방향 모색"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1-20, 2008
9 강승혜,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1-28, 2003
10 강승혜, "한국어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연구 - 하위 학문 영역 구축을 위한 귀납적 접근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8 : 37-60, 2003
11 김중섭, "한국어 교육학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75-92, 2004
12 김은주, "한국어 교육의 학문적 위상 정립과 학문으로의 미래 조망"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5 (25): 33-77, 2001
13 강범일, "프로파일링 분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0 (30): 195-213, 2013
14 김하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학" 이중언어학회 5-13, 2004
15 노대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에 있어서 연습유형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1969
16 김영규, "연구 유형 분류를 통한한국어교육학 연구의 경향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71-89, 2005
17 신헌재, "국어교육학의 연구 동향과 연구 영역의 확장" 한국국어교육학회 11-52, 2015
18 박영순,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2002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어학습 동기와 학업성취에 관한 질적 연구
신토피컬 독서 후 토론 입론문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담화 종합 양상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12-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 ![]() |
2013-12-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6 | 1.06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5 | 1.479 | 0.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