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의 ‘어버이’ 이미지와 애착 = ‘Parent’ image and Attachment in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183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the image of ‘Parent’, which has been continuously infused in North Korean education since infancy, is related to the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among North Korea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image of ‘Parent’ in North Korean literature and interviews parents’ representation with five North Korean refugee women living is in New Malden, UK, and anlayzes the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of ‘Paren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rth Koreans form a multi-internal working model for ‘Suryoung’ and their parents through the image of 'Parent' learned in North Korea. Second, North Koreans are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avoidance attachment that tries to idealize ‘Parents’ or avoid negative feelings about their parents. Third, the feelings of anxiety and anger triggered by the unstable attachment of North Koreans with their ‘Parent’ were passed on to other groups. Fourth, attachment theory shows that the regime was able to maintain the system through the image of ‘Parent’ that North Korean society continued by the ideological education and social control system. Lastly, the ‘Parent’ image of North Korea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sonality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as well as coping styles for aggression and death anxiety.
      This study is expect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s' attachments, emotions, and family functions by exploring North Korea's “parent” representation in terms of attachment theor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the image of ‘Parent’, which has been continuously infused in North Korean education since infancy, is related to the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among North Koreans. For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the image of ‘Parent’, which has been continuously infused in North Korean education since infancy, is related to the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among North Korea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image of ‘Parent’ in North Korean literature and interviews parents’ representation with five North Korean refugee women living is in New Malden, UK, and anlayzes the representation of attachment of ‘Paren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rth Koreans form a multi-internal working model for ‘Suryoung’ and their parents through the image of 'Parent' learned in North Korea. Second, North Koreans are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avoidance attachment that tries to idealize ‘Parents’ or avoid negative feelings about their parents. Third, the feelings of anxiety and anger triggered by the unstable attachment of North Koreans with their ‘Parent’ were passed on to other groups. Fourth, attachment theory shows that the regime was able to maintain the system through the image of ‘Parent’ that North Korean society continued by the ideological education and social control system. Lastly, the ‘Parent’ image of North Korea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sonality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as well as coping styles for aggression and death anxiety.
      This study is expect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s' attachments, emotions, and family functions by exploring North Korea's “parent” representation in terms of attachment the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유아기부터 북한 교육에서 지속적으로 주입하고 있는 ‘어버이’ 이미지가 북한 주민들의 애착 표상및 부모자녀관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북한 문헌에 나타난 ‘어버이’ 이미지를 고찰하고 영국 뉴몰든에 거주하는 탈북민 여성 5인을 대상으로 부모 표상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여 실제 ‘어버이’에 대한 애착 표상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주민은 ‘어버이’에 대한 이미지를 통해 수령과 부모에 대한 다중내적작동모델을 형성한다. 둘째, 북한 주민들은 ‘어버이’를 이상화하거나 어버이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회피하려는 회피애착유형의 특징을 보인다. 셋째, 북한 주민들의 ‘어버이’와의 불안정한 애착 관계로 촉발되는 불안과 분노감정은 타집단에 전가된다. 넷째, 북한 주민이 교육 및 사회 통제 시스템을 통해 형성한 ‘어버이’와의 애착은 북한의 경제난 속에서도 체제 유지를 가능하게 했다. 마지막으로 북한의 ‘어버이’ 이미지는 북한 주민의 공격성 및 죽음 불안에 대한 대처 양식 등 개인 내적 성격 및 부모자녀관계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이 연구는 애착이론의 관점에서 북한의 ‘어버이’ 표상을탐색함으로써 북한주민의 애착 및 정서, 그리고 가족기능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유아기부터 북한 교육에서 지속적으로 주입하고 있는 ‘어버이’ 이미지가 북한 주민들의 애착 표상및 부모자녀관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

      이 논문은 유아기부터 북한 교육에서 지속적으로 주입하고 있는 ‘어버이’ 이미지가 북한 주민들의 애착 표상및 부모자녀관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북한 문헌에 나타난 ‘어버이’ 이미지를 고찰하고 영국 뉴몰든에 거주하는 탈북민 여성 5인을 대상으로 부모 표상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여 실제 ‘어버이’에 대한 애착 표상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주민은 ‘어버이’에 대한 이미지를 통해 수령과 부모에 대한 다중내적작동모델을 형성한다. 둘째, 북한 주민들은 ‘어버이’를 이상화하거나 어버이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회피하려는 회피애착유형의 특징을 보인다. 셋째, 북한 주민들의 ‘어버이’와의 불안정한 애착 관계로 촉발되는 불안과 분노감정은 타집단에 전가된다. 넷째, 북한 주민이 교육 및 사회 통제 시스템을 통해 형성한 ‘어버이’와의 애착은 북한의 경제난 속에서도 체제 유지를 가능하게 했다. 마지막으로 북한의 ‘어버이’ 이미지는 북한 주민의 공격성 및 죽음 불안에 대한 대처 양식 등 개인 내적 성격 및 부모자녀관계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이 연구는 애착이론의 관점에서 북한의 ‘어버이’ 표상을탐색함으로써 북한주민의 애착 및 정서, 그리고 가족기능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Finzi, R.,

      2 "현대조선말사전 하"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1981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현대조선말사전"

      4 "태풍을 길들이시다"

      5 류종훈, "탈북 그 후, 어떤 코리안" 성안북스 2014

      6 조선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과학원 조선어 및 조선 문학 연구소, "조선어소사전"

      7 "조선말대사전" 사회과학출판사 2017

      8 "조선말대사전" 사회과학출판사 2007

      9 강근조, "조선교육사 4" 사회과학출판사 1991

      10 신창호, "유치원교양방법 학전과용" 김형직사범대학출판사 1992

      1 Finzi, R.,

      2 "현대조선말사전 하"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1981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현대조선말사전"

      4 "태풍을 길들이시다"

      5 류종훈, "탈북 그 후, 어떤 코리안" 성안북스 2014

      6 조선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과학원 조선어 및 조선 문학 연구소, "조선어소사전"

      7 "조선말대사전" 사회과학출판사 2017

      8 "조선말대사전" 사회과학출판사 2007

      9 강근조, "조선교육사 4" 사회과학출판사 1991

      10 신창호, "유치원교양방법 학전과용" 김형직사범대학출판사 1992

      11 박성현, "우리 원수님 그 사랑 하늘만큼 땅만큼 넓고 넓어라"

      12 박세진, "어버이수령의 ‘이름’과 북한 사회의 ‘원자’" 409-420, 2018

      13 김재한, "어린이보육교양경험" 사회과학출판사 1986

      14 최해훈, "애착의 세대 간 전이에서 어머니 반영 기능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원 2015

      15 Morris N. Eagle, "애착과 정신분석: 이론, 연구 그리고 임상적 함의" 학지사 2015

      16 Susan Goldberg, "애착과 발달: 통합적 접근" 학지사 2014

      17 정선욱, "시설보호 아동의 애착유형과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아동권리학회 8 (8): 77-95, 2004

      18 김희정,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분리경험과 애착양상" 한국아동학회 37 (37): 17-36, 2016

      19 박영자, "북한의 여성 정치: '혁신적 노동자-혁명적 어머니'로의 재구성" 사회과학연구소 13 (13): 356-389, 2005

      20 홍지석, "북한 회화에서 아동 이미지의 양태와 이데올로기적 함의 : 화집 『오늘의 조선화』(1980)를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회 32 : 373-402, 2010

      21 정교진, "북한 최고지도자의 이미지, ‘어버이’ 성격 분석연구 : ‘이미지의 상징화’ 개념적용 및 ‘메타포-상징적 이미지’유형 평가" 북한연구학회 21 (21): 25-51, 2017

      22 "민주조선"

      23 "로동신문"

      24 이진영, "런던의 코리아타운 : 형성, 구조, 문화" 재외한인학회 (27) : 177-211, 2012

      25 박충성, "대회장에서 지어주신 아기 이름"

      26 "교육신문"

      27 "교육신문"

      28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8 (8): 27-37, 1986

      29 Claussen, Angelika Hartl, "Maternal sensitivity"

      30 Downe‐Wamboldt, B., "Content analysis: method, applications, and issues" 13 (13): 313-321, 1992

      31 Heinicke, C. M., "Brief separations" International U. Press 1966

      32 Main, M., "Adult attachment scoring and classification systems. Version 7.1"

      33 George, Carol, ""Adult attachment interview." manual"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1 1.8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