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반도 평화체제론의 재등장: 배경과 전망 = The Resurrection of the Discourses on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Backrounds and Prosp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183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to insist that the advent of North Korea as a nuclear weapon state gives opportunities to Seoul, which is able to consider its security strategic choices toward a nuclear power state more seriously and to approach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more practically. As long as a nuclear power North Korea with ICBM capabilities can be regarded as a real immediate direct threat to U.S. Security, U.S. strategic focus on the Korean Peninsula has no choice but to be concentrated on diminishing the direct threat from North Korea. In fact,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been willing to engage with Pyongyang through the Trump-Kim Summit. In these processes, both Washington and Pyongyang together began to consider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to break the deadlock of the negotiation 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s. In other words, now we can anticipate that the rapproachment of Pyongyang and Washington may be lead to th normaliz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Given these new security circumstances on the Korean Peninsula, Seoul should be prepared to the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s including the korean peace regime more actively. In the long run, paradoxically Seoul had better has more open attitude toward its nuclear weapon state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able and sustainabl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to try to restore the balance of power on the Korean Peninsula is the premise of making the sustainable Korean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to insist that the advent of North Korea as a nuclear weapon state gives opportunities to Seoul, which is able to consider its security strategic choices toward a nuclear power state more seriously and to approach the peace regime on t...

      This article is to insist that the advent of North Korea as a nuclear weapon state gives opportunities to Seoul, which is able to consider its security strategic choices toward a nuclear power state more seriously and to approach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more practically. As long as a nuclear power North Korea with ICBM capabilities can be regarded as a real immediate direct threat to U.S. Security, U.S. strategic focus on the Korean Peninsula has no choice but to be concentrated on diminishing the direct threat from North Korea. In fact,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been willing to engage with Pyongyang through the Trump-Kim Summit. In these processes, both Washington and Pyongyang together began to consider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to break the deadlock of the negotiation 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s. In other words, now we can anticipate that the rapproachment of Pyongyang and Washington may be lead to th normaliz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Given these new security circumstances on the Korean Peninsula, Seoul should be prepared to the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s including the korean peace regime more actively. In the long run, paradoxically Seoul had better has more open attitude toward its nuclear weapon state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able and sustainabl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to try to restore the balance of power on the Korean Peninsula is the premise of making the sustainable Korean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기본주장은 '북한의 핵 전력화 상황이 한반도 평화체제론의 재등장을 가져왔으며 한국의 안보전략적 대응의 선택지를 확장시켰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지의 해명을 위해서 최근의 한반도 평화체제론의 재등장의 배경을 한반도 내외적 측면의 고찰을 통해서 살펴보고 있다. 특히, 이 논의에 있어서 최근의 논의가 과거의 한반도 평화체제론과 어떠한 차별성을 갖는지에 대해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통해서 한반도 평화체제론의 실행조건과 관련한 촉진요인과 억제요인을 검토하여 그 것의 현실화 가능성에 대한 일정한 시사점ㅇ르 도출하고자 한다. 향후 한반도 평화체제론의 전망과 관련하여 그 주요 결정변수로서 북핵문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시나리오적 접근을 통해서 그 실행 가능성 및 실행전략과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 글의 의의는 '북한의 핵 전력화 상황의 도래는 역설적이게도 새로운 차원의 한반도 평화체체제의 논의의 장을 열도록 했으며, 한국으로 하여금 그로 가기 위해서는 그에 따라는 새로운 안보전략적 선택의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주장하는 것에 있다 하겠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기본주장은 '북한의 핵 전력화 상황이 한반도 평화체제론의 재등장을 가져왔으며 한국의 안보전략적 대응의 선택지를 확장시켰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지의 해명을 위해서 최근...

      본 논문의 기본주장은 '북한의 핵 전력화 상황이 한반도 평화체제론의 재등장을 가져왔으며 한국의 안보전략적 대응의 선택지를 확장시켰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지의 해명을 위해서 최근의 한반도 평화체제론의 재등장의 배경을 한반도 내외적 측면의 고찰을 통해서 살펴보고 있다. 특히, 이 논의에 있어서 최근의 논의가 과거의 한반도 평화체제론과 어떠한 차별성을 갖는지에 대해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통해서 한반도 평화체제론의 실행조건과 관련한 촉진요인과 억제요인을 검토하여 그 것의 현실화 가능성에 대한 일정한 시사점ㅇ르 도출하고자 한다. 향후 한반도 평화체제론의 전망과 관련하여 그 주요 결정변수로서 북핵문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시나리오적 접근을 통해서 그 실행 가능성 및 실행전략과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 글의 의의는 '북한의 핵 전력화 상황의 도래는 역설적이게도 새로운 차원의 한반도 평화체체제의 논의의 장을 열도록 했으며, 한국으로 하여금 그로 가기 위해서는 그에 따라는 새로운 안보전략적 선택의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주장하는 것에 있다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연수, "협력안보의 개념과 국제적 적용: 북미관계에의 시사점" 한국정치학회 38 (38): 277-298, 2004

      2 김연수,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정에서의 국회의 역할" 2005

      3 외교통상부, "한반도 평화체제 관련 참고문서(II)" 외교통상부 2011

      4 오기평, "한국외교론" 오름 1994

      5 길재준, "중국동북해방전쟁을 도와" 외국문물출판사 2016

      6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중국공산당 제19차 전국대표대회 보고" 지식공작소 2018

      7 김연수, "주변강대국과 남북한의 안보정책" 국방대학교 2018

      8 "자위적 국방력강화의 일대사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과학원 새형의 잠수함탄도탄 <<북극성-3>>형 시험발사에 성공"

      9 "우리국가제일주의를 높이 들고 사회주의강국건설을 힘있게 다그쳐나가자"

      10 "신년사: 김정은"

      1 김연수, "협력안보의 개념과 국제적 적용: 북미관계에의 시사점" 한국정치학회 38 (38): 277-298, 2004

      2 김연수,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정에서의 국회의 역할" 2005

      3 외교통상부, "한반도 평화체제 관련 참고문서(II)" 외교통상부 2011

      4 오기평, "한국외교론" 오름 1994

      5 길재준, "중국동북해방전쟁을 도와" 외국문물출판사 2016

      6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중국공산당 제19차 전국대표대회 보고" 지식공작소 2018

      7 김연수, "주변강대국과 남북한의 안보정책" 국방대학교 2018

      8 "자위적 국방력강화의 일대사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과학원 새형의 잠수함탄도탄 <<북극성-3>>형 시험발사에 성공"

      9 "우리국가제일주의를 높이 들고 사회주의강국건설을 힘있게 다그쳐나가자"

      10 "신년사: 김정은"

      11 존 루이스 게디스, "새로 쓰는 냉전의 역사" 사회평론 2002

      12 김연수, "비교군사전략론" 충남대출판문화원 2014

      13 통일원, "북한의 평화협정 제의자료집" 통일원 1994

      14 김덕, "북한외교론" 북한연구소 1976

      15 김연수, "남북한비교론" 명인문화사 2006

      16 김재호, "김정일강성대국건설전략" 평양출판사 2000

      17 "김정은동지께서 새해 신년사를 하시였다"

      18 국방부, "국방백서 2018" 대한민국 국방부 2018

      19 "경애하는 최고령도자 김정은 동지께서 제2차 전국당초급선전일군대회 참가자들게게 서한 <<참시한 선전선동으로 혁명의 전진동력을 배가해나가자>>를 보내시였다"

      20 그램 엘리슨, "결정의 엣센스: 쿠바미사일 사태와 세계핵전정의 위기" 모음북스 2005

      21 Lixin, Zhao, "Xi's North Korea Visit set to cement traditional friendship"

      22 Klinger, Bruce, "Would a U.S. Security Guarantee Achieve Guaranteed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23 Nunn, Sam, "What to do if the talks with Noth Korea succeed"

      24 Ignatius, David, "We doubted the showy Korea summits. But now we're seeing seeds of a deal"

      25 Hong, Seok-hyun, "Trump's new North Korea's strategy might actually work"

      26 Hong, Seok-hyun, "Trump and Kim Jong Un Should form an alliance"

      27 Xiaohe, Cheng, "Three outcome from Xi Visit to Pyongyang"

      28 Zakaria, Fareed, "This Should have been the real headline of the Trump-Kim Summit"

      29 Allison, Graham, "Thinking the Unthinkable With North Korea"

      30 Brands, Hal, "The sane way to live with North Korea's Nuke"

      31 Cha, Victor, "The Right Way to Coerce North Korea:Ending the Threat without Going to War" 2018

      32 Xuetong, Yan, "The Age of Uneasy Power: Chinese Power in a Divided World" 98 (98): 2019

      33 Brzezinski, Zbigniew, "Strategic Vision: America and the Crisis of Global Power" Basic Books 2012

      34 Stares, Paul B., "Preparing for Sudden Change in North Korea" 2009

      35 Jervis, Robert, "Perception and Misperception on the Korean Peninsula: How Unwanted Wars Begin" 2018

      36 Kihl, Young Whan, "North Korean Foreign Relations in the Post-Cold War Era"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37 Dingli, Shen, "North Korea's Strategic Significance to China"

      38 Ignatius, David, "Does NK peace treaty make sense?"

      39 Hailin Xu, "Deepening Cooperation can help dissolve cold-war risks in the region"

      40 Ying, Fu, "China's Advice to Trump and Kim Jong Un"

      41 Chao, Lu, "China cannot be left out on peace treaty"

      42 "Can treaty ensure peace on Korean Peninsula"

      43 Navias, Martin, "Ballistic Missile Proliferation in the Third World" 1990

      44 Brzezinski, Zbigniew, "Balancing the East, Upgrading the West" 91 (91): 2012

      45 Klinger, Bruce, "At the G20, Trump Should Be Wary of China's North Korea Designs"

      46 Manning, Robert A., "All Frontline States needed to Resolve NK Issue"

      47 Chanlett-Avery, Emma, "A Peace Treaty with North Korea ?"

      48 Jenkins, Bonnie, "A Peace Treaty could be essential to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49 명주혁, "5개년 전략목표수행은 현 시기 경제발전의 중요한 요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1 1.8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