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옛사진을 통해 보는 전남의 향토민속경관-『전남사진지』(1917년)를 중심으로- = Study of Traditional Folk Landscape of Jeonnam through Old Pictures -focusing on ‘Jeonnamsajinji’ published in 1917-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39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ld photos of landscape are important heritage that can help in understanding and restoring local and folk history. Focusing on Jeonnamsajinji published in 1917, the phenomenon and transition of Jeonnam’s traditional folk landscape were organized ba...

      Old photos of landscape are important heritage that can help in understanding and restoring local and folk history. Focusing on Jeonnamsajinji published in 1917, the phenomenon and transition of Jeonnam’s traditional folk landscape were organized based on process of publication, main contents and Hampeyong as an example.
      The photos in Jeonnamsajinji were categorized by type considering the cultural information held within them. There are 25 photos of nature and ecology, 45 photos of streets and facilities, 37 photos of cultural heritage, and 47 photos of native products and industries. Nature and ecology photos include mountains, rivers, fields, moorings and plains. Photos of streets and facilities are mostly landscapes of provincial and district government buildings, as well as of other government buildings, financial institutes, schools, hospitals, water supply and railroad facilities. Photos of cultural heritage includes Buddhist temples, Confucian schools, forests and folk heritages. Photos of native products and industries include those that industrialize native products, but also those related to new systems. Straw bags, straw ropes, straw mat schools, and haetae improvement and fishing gear production apprenticeship. The latter are also related to regional products.
      The 150 or so photographs contained in Jeonnamsajinji hold significant values as documentary heritage of modern period. Especially, the photos of Jangheung tug-of-war and salt ponds in Sinan Jaryeom (formerly, Muan) are the oldest photos in their respective areas known to us. Although phenomena such as Boseong Daewonsa Temple or Hwasun Jeokbyeok are altered or damages, they will still serve as important documents in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folk landscape. In addition, because each of the photos has a detailed description, they are valuable materials disclosing regional affairs and chronicles of the time.
      There are 4 photos of Hampyeong region, including Hampyeong-eup, Hampyeong-gun office, Yeongsucheon and Yeongsujeong and tools making apprenticeship. By comparing with maps (1872, 1899) and town chronicle of late Joseon dynasty, photos of 1917 Jeonnamsijinji, topographic map of 1918, street maps of Hampyeong in 1928, blue print of Hampyeong-gun office of 1931, recent aerial photos and those from 1948, site survey reports and orally transmitted materials, the original forms and transition of the traditional folk landscapes were explored. Collection and comparison of photos and materials from each gun will serve as valuable materials in understanding the original forms and transition of Jeonnam’s traditional folk landscap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옛 경관이나 풍경 사진은 향토사나 민속생활사 현장을 이해하고 복원하는데 귀중한 기록 유산이다. 1917년 간행된 『전남사진지』를 중심으로 간행의 경위와 주요 내용, 함평을 사례로 하여 ...

      옛 경관이나 풍경 사진은 향토사나 민속생활사 현장을 이해하고 복원하는데 귀중한 기록 유산이다. 1917년 간행된 『전남사진지』를 중심으로 간행의 경위와 주요 내용, 함평을 사례로 하여 전남의 향토민속경관 현상과 변천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다.
      『전남사진지』 사진들이 담고 있는 문화정보를 고려하여 종류별로 구분했다. 자연생태 25장, 시가와 시설 45장, 문화유산 37장, 토산과 산업 47장이다. 자연생태는 산, 강, 들, 계류, 평야 등이다. 시가․시설은 도청과 군청 소재지의 전경이 많다. 그리고 관공서, 금융기관, 학교, 병원, 상수도 시설, 철도 시설 등 공공 시설이 주류를 이룬다. 문화유산은 사찰, 향교, 교량, 숲, 민속유산 등이다. 토산․산업은 지역의 토산 자료를 산업화하는 대상도 있지만, 새로 도입하는 제도와 연관된 것도 있다. 가마니, 새끼, 멍석 제조 견습소나 해태개량 전습, 어구 제조 전습 등이다. 후자의 경우도 해당 지역의 산물과 연관된다.
      『전남사진지』에 실린 150여장의 사진은 근대기 기록유산으로서 중요한 자료가치를 지닌다. 특히 장흥 줄당기기 사진, 신안(당시 무안) 자렴 염전 사진 등은 지금까지 알려진 이 분야의 가장 오래된 사진에 들 것으로 보인다. 보성 대원사나 화순 적벽 같은 현상이 변하거나 훼손되어 버린 경우에도 원래의 향토민속경관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그리고 각 사진에 풀이된 설명도 자세하여 당시의 지역 사정이나 역사 연혁 등에 대해서도 알 수 있는 귀한 자료이다.
      함평 지역 사진은 함평읍, 함평군청, 영수천과 영수정, 제연 전습 상황 등 4장이다. 조선후기 지도(1872년, 1899년)와 읍지, 1917년 『전남시진지』 사진, 1918년 지형도, 1928년 함평 시가도, 1931년 함평군청 도면, 1948년 항공사진과 최근의 항공사진, 현장답사 자료와 구전자료 등을 비교해 가면서 향토민속경관의 원형과 변천 사례를 살펴 보았다. 앞으로 각 군별 사진과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여 비교한다면 전남의 향토민속경관의 원형과 변천을 이해하는데 귀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토지리정보원, "해방전후항공사진 DB구축, 6코스"

      2 "함평현지도"

      3 "조선총독부 지방행정"

      4 목포신보사, "전남사진지"

      5 장흥문화원, "장흥문화 34" 2015

      6 김희태, "장흥고싸움 줄당기기" 민속원 2013

      7 광주일보사, "월간 예향"

      8 전남대박물관, "운주사자료집성" 2009

      9 이해준, "역사속의 전라도" 2006

      10 "신증동국여지승람"

      1 국토지리정보원, "해방전후항공사진 DB구축, 6코스"

      2 "함평현지도"

      3 "조선총독부 지방행정"

      4 목포신보사, "전남사진지"

      5 장흥문화원, "장흥문화 34" 2015

      6 김희태, "장흥고싸움 줄당기기" 민속원 2013

      7 광주일보사, "월간 예향"

      8 전남대박물관, "운주사자료집성" 2009

      9 이해준, "역사속의 전라도" 2006

      10 "신증동국여지승람"

      11 보성군, "벌교홍교 지표(유구)조사 보고서" 1999

      12 "백록유고" 한국고전번역원

      13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도서문화연구원 신진연구자 발표회"

      14 함평군, "군세일반" 1928

      15 김희태, "구 전라남도청의 연혁변천" 향토문화개발협의회 24 : 2005

      16 김 시식지 유적 보존회, "광양 김 시식지: 전라남도 기념물 제113호"

      17 東亞經濟時報社, "朝鮮銀行會社組合要錄"

      18 조선총독부, "朝鮮總督府及所屬官署 職員錄"

      19 警務局 圖書課, "新聞紙要覽" 1926

      20 "咸平郡邑誌及地圖書"

      21 최성환, "1917년 『전남사진지』의 자료적 가치와 연구방향" 2013

      22 김희태, "100년 전의 함평 경관, 읽기와 쓰기" 함평향토문화연구회 10 : 112-150,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4 1.0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