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반 다수의 남한과 북한 예술가들은 모두 개념과 도식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안으로 감각적 체험에 주목했다. 하지만 남한과 북한 예술가들이 감각에 주목해야 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28178
2019
-
완결성 ; 탈출성 ; 감각 ; 피부문학 ; 트리비얼리즘 ; 단색화 ; 북한문학예술 ; 리얼리즘 ; 사회주의리얼리즘 ; completion ; escapeability ; sensation ; skin literature ; trivialism ; Dansaekhwa ; North Korean Art & Literature ; realism ; socialist realism
KCI등재
학술저널
91-113(2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반 다수의 남한과 북한 예술가들은 모두 개념과 도식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안으로 감각적 체험에 주목했다. 하지만 남한과 북한 예술가들이 감각에 주목해야 했...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반 다수의 남한과 북한 예술가들은 모두 개념과 도식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안으로 감각적 체험에 주목했다. 하지만 남한과 북한 예술가들이 감각에 주목해야 했던 이유는 크게 달랐다. 먼저 4.19의 좌절로 인해 남한 예술가들의 마음에 자리하게 된 ‘뿌리가 뽑혀진 사람’들이라는 인식이 “어떤 조각이라든가 감각이라도 뭔가 확실한 것이 되도록”하는 경향을 낳았다는 주장에 주목할 수 있다. 1970년대 남한 예술가들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이념에 대한 적대감에 주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소위 피부문학은 완결성을 갖춘 리얼리즘을 요구하는 논자들의 비판에 직면했다. 마찬가지로 현실적 조형언어를 갖춘 미술을 원했던 논자들은 지각의 직접성을 강조하는 예술가들을 공격했다. 한편 1960년대~1970년대 북한예술가들은 이념의 부재를 메우기 위해서, 또는 이념을 거부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지배이념을 확증, 선전하기 위해서 감각적 체험에 주목했다. 즉 그들은 예술의 비현실적인 내용(사회주의적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 더욱 심각하고 더욱 생동하게 독자들을 자극할 방안을 모색해야 했다. 일반화의 약점을 일반화의 역할을 약화시킴으로써 해결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일반화에 절절한 구체적인 생활감정을 부단히 배합하는 과정을 통해서 일반화의 위력을 더욱 과시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런 접근법을 취함으로써 북한 예술가들은 감각에 호소하는 자극의 강도가 시간이 지날수록 익숙하고 진부해져 버린다는 냉엄한 현실에 직면해야 했다. 예술가들이 자기 작품을 통해 독자와 관객들을 더욱 강하게 충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것이다.
요컨대 우리는 임헌영이 1971년에 제시한 분류법에 따라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반의 남한문예를 탈출성에 경도된 예술로, 같은 시기 북한문예를 완결성에 경도된 예술로 분류할 수 있다. 이로부터 지금 우리가 문제 삼는 남북한 문예의 극명한 차이가 도출됐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예술가는 언제나 자기에게 결핍된 것을 욕망한다. 즉 탈출성에 경도된 예술은 완결성을, 완결성에 경도된 예술은 탈출성을 욕망할 것이다. 어쩌면 이러한 관찰로부터 우리는 1970년대 이후 남북한 문예의 변동을 비교 관찰하기 위한 유의미한 틀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 모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late 1960s and early 1970s, a number of South and North Korean artists both noted their sensory experiences as alternatives to deviate from concepts and schematics. However, the reason why South and North Korean artists had to pay attention to ...
In the late 1960s and early 1970s, a number of South and North Korean artists both noted their sensory experiences as alternatives to deviate from concepts and schematics. However, the reason why South and North Korean artists had to pay attention to their senses was very different. It can be noted that the failure of the April 19 revolution has led to the perception that "root-picked people" in the minds of South Korean artists, which has led to a tendency to "make any fragment or sense certain." It may also be noted for their hostility toward ideology that stood out for South Korean artists in the 1970s. The so-called skin literature, however, faced resistance from critics who called for completeness of realism. Similarly, critics who wanted art with realistic formative language attacked artists who emphasized the directness of perception. Meanwhile, North Korean artists paid attention to their sensory experiences not to make up for the absence of ideology or to reject ideology, but to corroborate and promote the ruling ideology. In other words, they had to seek ways to provoke readers more seriously and more lively to supplement the unrealistic content of art(socialist content). Instead of solving the generalization's weakness by weakening the generalization's role, They wanted demonstrate the generalization's power through the continuous mixing of the specific living feelings that are desperately needed for the generalization. Of course, if this approach is taken, artists should face the cool reality that the intensity of the stimuli appealing to the senses becomes familiar and common over time. They say that there is a limit to how strongly artists shock readers and audiences through their works.
In short, South Korean literature from the late 1960s to the early 1970s can be categorized as an art that was regarded as an 'escape type' and North Korean literature at the same time as an art that was regarded as a 'complete type'. From this point on, we might say that the stark difference in the art of the two Koreas, which we now take issue with, has been drawn. Of course, an artist always desires what he lacks. In other words, art that is reverent to 'escapeability will desire completion, and art that is adored to completion will desire escapeability. Perhaps from these observations, we can draw a significant framework for comparing and observing the changes in the literature of the two Koreas since the 1970s.
참고문헌 (Reference)
1 엄호석, "혁명가의 세계관 형성과정을 깊이있게 그리기 위하여" 조선작가동맹중앙위원회 5 : 1969
2 김미경, "한국의 실험미술-AG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6 : 1998
3 김현, "한국 현대시에 대한 세 가지 질문-平均律동인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사 6 : 1972
4 하종현, "하나의 物性으로서 인식한 色" 중앙일보사 3 : 1996
5 박창룡, "조선화재료를 확대발전시키는 것은 주체적인 화법발전의 물질적 담보"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2 : 1973
6 정창모, "조선화의 힘있고 아름다운 필치에 대하여" 문학예술종합출판사 8 : 1973
7 리지원, "유화에서 민족적특성의 구현과 선명성 문제"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1 : 1969
8 김술호, "우리 미술의 민족적 형식을 더욱 발전시키고 완성하기 위하여(5)-채색화를 발전시키기 위한 몇가지 문제" 문학예술종합출판사 5 : 1970
9 김미경, "실험미술과 사회-한국의 새마을 운동과 유신의 시대"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8 : 2000
10 백하, "서정시의 생활감정-1968년도 「조선문학」 지상에 발표된 신인들의 서정시에 대하여" 조선작가동맹중앙위원회 2 : 1969
1 엄호석, "혁명가의 세계관 형성과정을 깊이있게 그리기 위하여" 조선작가동맹중앙위원회 5 : 1969
2 김미경, "한국의 실험미술-AG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6 : 1998
3 김현, "한국 현대시에 대한 세 가지 질문-平均律동인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사 6 : 1972
4 하종현, "하나의 物性으로서 인식한 色" 중앙일보사 3 : 1996
5 박창룡, "조선화재료를 확대발전시키는 것은 주체적인 화법발전의 물질적 담보"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2 : 1973
6 정창모, "조선화의 힘있고 아름다운 필치에 대하여" 문학예술종합출판사 8 : 1973
7 리지원, "유화에서 민족적특성의 구현과 선명성 문제"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1 : 1969
8 김술호, "우리 미술의 민족적 형식을 더욱 발전시키고 완성하기 위하여(5)-채색화를 발전시키기 위한 몇가지 문제" 문학예술종합출판사 5 : 1970
9 김미경, "실험미술과 사회-한국의 새마을 운동과 유신의 시대"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8 : 2000
10 백하, "서정시의 생활감정-1968년도 「조선문학」 지상에 발표된 신인들의 서정시에 대하여" 조선작가동맹중앙위원회 2 : 1969
11 류만, "서정시에 천리마의 정신이 나래치게 하자" 조선작가동맹중앙위원회 7 : 1970
12 김봉철, "서정시에 대한 생각" 조선작가동맹중앙위원회 1 : 1971
13 김희종, "생활과 시인" 조선작가동맹중앙위원회 11 : 1969
14 김주연, "새시대 문학의 성립-인식의 출발로서 60년대" 月刊亞細亞社 1 : 1969
15 엄호석, "사회주의적 내용과 민족적 형식을 옳게 결합시킬데 대한 김일성동지의 사상" 조선작가동맹중앙위원회 7 : 1970
16 정현종, "사물의 꿈" 민음사 1972
17 김복영, "본질적 환원의 피안" 공간사 7 : 1981
18 이주미, "박태순의 현실 감각과 문학적 감수성"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41) : 263-285, 2013
19 임헌영, "미학의 사회적 기초" 현대문학사 9 : 1971
20 이일, "미술비평의 '76년도 현주소" 공간사 1 : 1977
21 김병익, "리얼리즘을 왜 왜곡하는가" 현대문학사 9 : 1971
22 임헌영, "도전의 문학" 사상계사 12 : 1969
23 리정구, "더 힘있는 서정시의 창작을 바라며" 조선작가동맹중앙위원회 2 : 1969
24 김주연, "계승의 문학적 인식-소시민의식 파악이 갖는 방법론적 의미" 한국문인협회 월간문학사 8 : 1969
25 김현, "座談-4.19와 한국문학" 사상계사 4 : 1970
26 최명영, "對談-本質的 還元의 彼岸" 공간사 7 : 1981
27 박서보, "對談-中性構造와 理論의 終末-‘만남의 현상학’에서 국제주의에 이르기까지" 공간사 2 : 1978
28 장석원, "反槪念, 非槪念-70年代의 槪觀과 80년대의 展望 사이에" 공간사 6 : 1982
29 백낙청, "作壇時感"
30 이우환, "‘만남’의 현상학 서설-새로운 예술론의 준비를 위하여" 한국아방가르드협회 4 : 1971
31 김성수, "4ㆍ19와 1960년대 북한문학 - 선동과 소통 사이: 북한 작가의 4ㆍ19 담론과 전유방식 비판 -" 한국근대문학회 (30) : 7-40, 2014
32 김현, "1968년의 작가상황" 사상계사 12 : 1968
33 임지연, "1960년대 지식장에 나타난 ‘신체성’ 개념과시적 전유 - 정현종과 마종기 시의 ‘몸과 사물’의 문제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65) : 301-337, 2015
한(조선)반도 문학예술 개념의 문화정치학 ― 접변하고, 횡단하고, 실천하는 문학의 분단을 중심으로
1950~60년대 북한 문예미디어 지형과 사회주의 문화정치
여말선초 이행(李行)의 정치적 입장과 절의(節義) 인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8-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DAEDONG MUNHWA YEON'GU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6-1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Institute of Eastern Studies ->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9 | 1.09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95 | 1.776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