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탈냉전’ 시대 동아시아 북방학의 가능성 = An Essay on the Nothern Studies of East Asia in the “Post-Cold War”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281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른바 세계적 ‘탈냉전’ 시대, 과거로 물러나 버린 ‘냉전’ 시대의 역사화 작업이 진행되면서 최근 글로벌냉전사 연구가 활발하다. 이들은 냉전의 지역적 다양성과 주변의 행위주체성에 주목하면서 연구패러다임의 ‘지역적 전환’을 꾀하고, 냉전이 개인들의 일상적 문화적 층위에 미친 깊은 영향을 강조하면서 ‘문화적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냉전은 종식되었다’라는 역사적 명제와 ‘냉전은 종식되어야 한다’는 가치 평가적 명제는 거의 모든 분야의 담론에 암묵적 전제를 이루고 있다. 또한 ‘냉전’이라는 패러다임 자체는 대결하는 양쪽 진영의 세력이 대등하다는 착시를 초래하고 나아가 냉전 대결의 양방을 양비론적 태도로 접근한다. ‘탈냉전’ 시대 이와 같은 냉전서사는 애초 사회주의적 이념이 자본주의를 극복하려는 아래로부터의 민주적 열망과 연계되어 있음을 간과하게 만들고, 그와 관련된 역사를 정리되어야 할 과거로 치부하거나 아예 역사의 지표 아래로 소거해 버렸다. 그런 점에서 본 논문은 1989년 제기되었던 북방관계연구 시론에 주목하고 ‘북방’이라는 개념과 범주에 기대어 실은 패권적 패러다임인 ‘냉전’과 ‘탈냉전’ 패러다임 자체를 심문하고 해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남한의 이북으로서 북방이란 북한을 포함하여 중국, 몽골, 소련 및 동구의 공산권 국가들을 가리킨다. 북방은 사회주의적 이념과 실천의 연쇄, 그리고 상호연대를 통해 구축된 관계적 구성물이었다. 사회주의적 이념과 실천의 연쇄라는 점에서 북방범주는 또한 남한과 일본, 대만, 베트남과 동남아시아의 혁명과 민족해방운동으로 확장된다. 그런 점에서 필자는 동아시아 북방학을 제안한다. 동아시아 북방학은 동아시아라는 지역을 토대로 북방의 트랜스내셔널한 연대의 사상과 실천을 교훈삼아 현실개혁의 동력으로 삼는 학술적 실천이며 지적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른바 세계적 ‘탈냉전’ 시대, 과거로 물러나 버린 ‘냉전’ 시대의 역사화 작업이 진행되면서 최근 글로벌냉전사 연구가 활발하다. 이들은 냉전의 지역적 다양성과 주변의 행위주체성에...

      이른바 세계적 ‘탈냉전’ 시대, 과거로 물러나 버린 ‘냉전’ 시대의 역사화 작업이 진행되면서 최근 글로벌냉전사 연구가 활발하다. 이들은 냉전의 지역적 다양성과 주변의 행위주체성에 주목하면서 연구패러다임의 ‘지역적 전환’을 꾀하고, 냉전이 개인들의 일상적 문화적 층위에 미친 깊은 영향을 강조하면서 ‘문화적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냉전은 종식되었다’라는 역사적 명제와 ‘냉전은 종식되어야 한다’는 가치 평가적 명제는 거의 모든 분야의 담론에 암묵적 전제를 이루고 있다. 또한 ‘냉전’이라는 패러다임 자체는 대결하는 양쪽 진영의 세력이 대등하다는 착시를 초래하고 나아가 냉전 대결의 양방을 양비론적 태도로 접근한다. ‘탈냉전’ 시대 이와 같은 냉전서사는 애초 사회주의적 이념이 자본주의를 극복하려는 아래로부터의 민주적 열망과 연계되어 있음을 간과하게 만들고, 그와 관련된 역사를 정리되어야 할 과거로 치부하거나 아예 역사의 지표 아래로 소거해 버렸다. 그런 점에서 본 논문은 1989년 제기되었던 북방관계연구 시론에 주목하고 ‘북방’이라는 개념과 범주에 기대어 실은 패권적 패러다임인 ‘냉전’과 ‘탈냉전’ 패러다임 자체를 심문하고 해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남한의 이북으로서 북방이란 북한을 포함하여 중국, 몽골, 소련 및 동구의 공산권 국가들을 가리킨다. 북방은 사회주의적 이념과 실천의 연쇄, 그리고 상호연대를 통해 구축된 관계적 구성물이었다. 사회주의적 이념과 실천의 연쇄라는 점에서 북방범주는 또한 남한과 일본, 대만, 베트남과 동남아시아의 혁명과 민족해방운동으로 확장된다. 그런 점에서 필자는 동아시아 북방학을 제안한다. 동아시아 북방학은 동아시아라는 지역을 토대로 북방의 트랜스내셔널한 연대의 사상과 실천을 교훈삼아 현실개혁의 동력으로 삼는 학술적 실천이며 지적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era of the so-called "post-cold war" has come, historicalization of the "cold war" era, which has already become a past, has been carried out, and research on global cold war history has been active recently. Noting the regional diversity of the Cold War and behavioral subjectivity of the periphery, they are trying to make a "local transformation" of research paradigm and they are trying to seek a "cultural transition" by emphasizing the deep impact the Cold War has had on individuals' daily and cultural strata. However, the historical premise of "The Cold War is over" and the valuation premise of "The Cold War should be over" are implicitly prefixed to discourse in almost every field. In addition, from the very beginning the paradigm of "Cold War" leads to the illusion that the forces of the opposing camps are equal, and furthermore, the two sides of the Cold War confrontation are all bad. Cold War narratives such as this one in the era of the "post-cold war" initially made us forget that socialist ideology was linked to democratic aspirations from below to overcome capitalism, and dismissed the history associated with it as a past that should be sorted out, or even wiped it out below historical indicators. In this regard, this paper notes the theory of Northern Relations Research, which was raised by Sunho Hong in 1989, and argues that the hegemonic paradigms "Cold War" and "Post-Cold War" paradigm itself need to be interrogated and deconstructed by raising the concept and category of “the North”. Here, the “North” means north of South Korea, referring to communist countries including North Korea, China, Mongolia, the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The north was a chain of socialist ideologies and practices, and a relational construct built through mutual solidarity. Given that it is a chain of socialist ideologies and practices, the northern category also extends to revolutions and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in South Korea and Japan, Taiwan, Vietnam and Southeast Asia. In this regard, I propose Northern Studies of East Asia.
      번역하기

      As the era of the so-called "post-cold war" has come, historicalization of the "cold war" era, which has already become a past, has been carried out, and research on global cold war history has been active recently. Noting the regional diversity of th...

      As the era of the so-called "post-cold war" has come, historicalization of the "cold war" era, which has already become a past, has been carried out, and research on global cold war history has been active recently. Noting the regional diversity of the Cold War and behavioral subjectivity of the periphery, they are trying to make a "local transformation" of research paradigm and they are trying to seek a "cultural transition" by emphasizing the deep impact the Cold War has had on individuals' daily and cultural strata. However, the historical premise of "The Cold War is over" and the valuation premise of "The Cold War should be over" are implicitly prefixed to discourse in almost every field. In addition, from the very beginning the paradigm of "Cold War" leads to the illusion that the forces of the opposing camps are equal, and furthermore, the two sides of the Cold War confrontation are all bad. Cold War narratives such as this one in the era of the "post-cold war" initially made us forget that socialist ideology was linked to democratic aspirations from below to overcome capitalism, and dismissed the history associated with it as a past that should be sorted out, or even wiped it out below historical indicators. In this regard, this paper notes the theory of Northern Relations Research, which was raised by Sunho Hong in 1989, and argues that the hegemonic paradigms "Cold War" and "Post-Cold War" paradigm itself need to be interrogated and deconstructed by raising the concept and category of “the North”. Here, the “North” means north of South Korea, referring to communist countries including North Korea, China, Mongolia, the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The north was a chain of socialist ideologies and practices, and a relational construct built through mutual solidarity. Given that it is a chain of socialist ideologies and practices, the northern category also extends to revolutions and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in South Korea and Japan, Taiwan, Vietnam and Southeast Asia. In this regard, I propose Northern Studies of East Asi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牛大勇, "冷戰與中國的周邊關係" 世界知識出版社 2004

      2 박종철, "한국전쟁 이후 북한 재건을 위한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의 원조에 대한 검토" 중동유럽한국학회 15 : 2014

      3 이해성, "폴란드에 남겨진 북한 전쟁고아의 자취를 찾아서" 중동유럽한국학회 15 : 2014

      4 이병한, "신냉전사: 중국현대사의 새 영역 ― 비평과 전망 ―" 중국근현대사학회 (53) : 221-248, 2012

      5 조한범, "비교사회주의 연구방법론의 활성화를 제안하며" 서울대 국제학연구소 13 (13): 2004

      6 조병선, "북방정책의 실상과 전망" 열음사 1989

      7 홍순호, "북방관계연구의 방법론적 시론" 한국정치외교사학회 6 : 1990

      8 권헌익, "또 하나의 냉전" 민음사 2013

      9 베른트 슈퇴버, "냉전이란 무엇인가" 역사비평사 2008

      10 백원담, "냉전연구의 문화적 지역적 전환 문제"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75) : 93-144, 2015

      1 牛大勇, "冷戰與中國的周邊關係" 世界知識出版社 2004

      2 박종철, "한국전쟁 이후 북한 재건을 위한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의 원조에 대한 검토" 중동유럽한국학회 15 : 2014

      3 이해성, "폴란드에 남겨진 북한 전쟁고아의 자취를 찾아서" 중동유럽한국학회 15 : 2014

      4 이병한, "신냉전사: 중국현대사의 새 영역 ― 비평과 전망 ―" 중국근현대사학회 (53) : 221-248, 2012

      5 조한범, "비교사회주의 연구방법론의 활성화를 제안하며" 서울대 국제학연구소 13 (13): 2004

      6 조병선, "북방정책의 실상과 전망" 열음사 1989

      7 홍순호, "북방관계연구의 방법론적 시론" 한국정치외교사학회 6 : 1990

      8 권헌익, "또 하나의 냉전" 민음사 2013

      9 베른트 슈퇴버, "냉전이란 무엇인가" 역사비평사 2008

      10 백원담, "냉전연구의 문화적 지역적 전환 문제"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75) : 93-144, 2015

      11 김태우, "냉전 초기 사회주의진영 내부의 전쟁·평화 담론의 충돌과 북한의 한국전쟁 인식 변화" 한국역사연구회 (83) : 371-411, 2012

      12 청카이, "‘냉전’ 아시아의 탄생: 신중국과 한국전쟁" 문화과학사 2013

      13 손춘일, "[연구노트] 한국전쟁 발발 후 북한난민에 대한 중국정부의 정책" 세종연구소 21 (21): 161-190,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8-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DAEDONG MUNHWA YEON'GU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6-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Institute of Eastern Studies ->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5 1.77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