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977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edia literacy. For this purpose, 258 pre-school teachers enroll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universities were targeted. The research tool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the test tool developed by Jihye Kwon (2017) and Seonah Kim (2021)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The derived contents were analyzed using the PASW18.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of preschool teachers was high while the awareness of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itself was low. Second, pre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media literacy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average of pre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media literacy. As a sub-factor,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ocial communication using media, media usage ethics, understanding of media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using media. When viewed by grade level, media literacy comprehens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by grade level.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and media use ethic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academic year.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ducation to improve media literacy compet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who can more actively respond to the future socie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edia literacy. For this purpose, 258 pre-school teachers enroll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universities were targeted. The 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edia literacy. For this purpose, 258 pre-school teachers enroll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universities were targeted. The research tool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the test tool developed by Jihye Kwon (2017) and Seonah Kim (2021)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The derived contents were analyzed using the PASW18.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of preschool teachers was high while the awareness of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itself was low. Second, pre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media literacy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average of pre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media literacy. As a sub-factor,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ocial communication using media, media usage ethics, understanding of media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using media. When viewed by grade level, media literacy comprehens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by grade level.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and media use ethic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academic year.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ducation to improve media literacy compet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who can more actively respond to the future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 258명을 대상으로 권지혜(2017)와 김선아(2021)가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개발한 검사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도출된 내용은 PASW 18.0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예비유아교사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 자체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요소별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 비판적 이해에 대한 인식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미디어를 활용한 사화적 의사소통, 미디어 활용 윤리, 미디어의 특성 이해, 미디어를 활용한 표현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미디어의 비판적 이해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미디어를 활용한 사회적 의사소통, 미디어 활용 윤리, 미디어의 특성 이해, 미디어를 활용한 표현 순으로 나타났다. 학년별로 살펴보면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이해정도는 학년간 유의미한 인식차이를 보였다. 특히, 미디어의 비판적 이해와 미디어 활용 윤리는 활용 윤리의 경우 학년 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 사회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예비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증진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 258명을 대상으로 권지혜(2017)와 김...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 258명을 대상으로 권지혜(2017)와 김선아(2021)가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개발한 검사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도출된 내용은 PASW 18.0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예비유아교사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 자체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요소별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 비판적 이해에 대한 인식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미디어를 활용한 사화적 의사소통, 미디어 활용 윤리, 미디어의 특성 이해, 미디어를 활용한 표현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미디어의 비판적 이해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미디어를 활용한 사회적 의사소통, 미디어 활용 윤리, 미디어의 특성 이해, 미디어를 활용한 표현 순으로 나타났다. 학년별로 살펴보면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이해정도는 학년간 유의미한 인식차이를 보였다. 특히, 미디어의 비판적 이해와 미디어 활용 윤리는 활용 윤리의 경우 학년 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 사회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예비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증진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현선, "현장 교강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인식 조사"

      2 교육부, "학교 미디어교육 내실화 지원 계획"

      3 조미헌, "초등 예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인식 실태" 교육연구원 7 (7): 179-203, 2022

      4 변숙자, "초⋅중⋅고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수행 양상 및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49-167, 2021

      5 교육부,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자료"

      6 현은자 ; 강은진, "유치원 교사들의 미디어에 대한 인식 및 미디어 교육 현황"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1) : 1-22, 2005

      7 이혜선 ; 조재희 ; 이재은 ; 정선임, "유아의 부모와 교사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하여 서로 어떻게 인식할까? :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소와 미디어 리터러시 전문가의 참여 인식에 관한 상호지향성 모델" 한국언론학회 66 (66): 268-303, 2022

      8 유영의 ; 이성주 ; 장은정 ; 양선희,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인식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1 (21): 121-141, 2022

      9 이지은,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실태 및 요구 조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10 김도헌, "유아교사 초등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 실태 및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비교"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1 정현선, "현장 교강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인식 조사"

      2 교육부, "학교 미디어교육 내실화 지원 계획"

      3 조미헌, "초등 예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인식 실태" 교육연구원 7 (7): 179-203, 2022

      4 변숙자, "초⋅중⋅고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수행 양상 및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49-167, 2021

      5 교육부,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자료"

      6 현은자 ; 강은진, "유치원 교사들의 미디어에 대한 인식 및 미디어 교육 현황"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1) : 1-22, 2005

      7 이혜선 ; 조재희 ; 이재은 ; 정선임, "유아의 부모와 교사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하여 서로 어떻게 인식할까? :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소와 미디어 리터러시 전문가의 참여 인식에 관한 상호지향성 모델" 한국언론학회 66 (66): 268-303, 2022

      8 유영의 ; 이성주 ; 장은정 ; 양선희,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인식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1 (21): 121-141, 2022

      9 이지은,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실태 및 요구 조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10 김도헌, "유아교사 초등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 실태 및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비교"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11 현은자 ; 강은진,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교육의 효과에 대한 질적 고찰"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211-232, 2006

      12 조은진,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태 및 인식 조사" 25 : 95-108, 2018

      13 김낙흥 ; 방효국,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인식 및 실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205-227, 2018

      14 장희선 ; 안영진, "예비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사효능감이 인공지능기술 활용 학습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583-604, 2019

      15 이정원, "영유아의 미디어 이용 적정화를 위한 정책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21

      16 진민정, "미디어 리터러시의 융합적 접근" 한국언론진흥재단 2020

      17 권지혜,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18 김여라,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해외사례 및 시사점" NARS 2019

      19 김도헌, "국내 미디어·디지털·정보·ICT 리터러시의 연구동향 분석" 교육연구소 26 (26): 93-119, 2020

      20 김아미, "교원 및 예비교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역량 강화 방안 연구" 한국연구재단 2020

      21 박석규,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0 (10): 65-90, 2004

      22 이은정 ; 이재신, "교사들의 스마트 교육 수용과 유아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 탐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3 (23): 64-83, 2016

      23 EAVI, "Testing and Refining Criteria to Assess Media literacy Levels in Europe" European Association for Viewers Interests (EAVI) 2011

      24 교육부, "2022년도 교육정보화 시행계획 수립"

      25 김영주, "2020 어린이 미디어 이용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20

      26 한국언론진흥재단, "2020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20

      27 정현선, "2020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 방안" 교육부,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