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이이(李珥, 1536〜1584)가 각종 저작들에서 개진한 시 교육론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이에게 시는 글 가운데 정수(精秀)이면서 성정(性情)의 바름에 귀결하고 성리학이 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17484
청주시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학위논문(박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교육철학및교육사전공 , 2015. 2
2015
한국어
370.1 판사항(22)
충청북도
ⅴ, 181 p.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김경용
참고문헌 : p.p.169-17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이이(李珥, 1536〜1584)가 각종 저작들에서 개진한 시 교육론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이에게 시는 글 가운데 정수(精秀)이면서 성정(性情)의 바름에 귀결하고 성리학이 궁...
이 연구는 이이(李珥, 1536〜1584)가 각종 저작들에서 개진한 시 교육론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이에게 시는 글 가운데 정수(精秀)이면서 성정(性情)의 바름에 귀결하고 성리학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도(道)를 드러내고 밝히는 의리(義理)의 글이라는 점에서 성리학 공부에 일조(一助)하는 학습의 대상이었다.
유학에서 학문의 기초는 글에 있었다. 유학에서 글은 『주역』이나 『예기』, 『문심조룡』에서 개념화하고 있듯이 도를 구현하는 것이었다. 글 가운데 시는 유학에서 학문을 촉진하는 매개로 작용했고 시 학습은 학문 증진을 위한 교육 방법으로 기능했다. 이는 『논어』 「태백(泰伯)」편의 ‘시(詩)에서 흥기(興起)한다’라는 언명에서 확인된다. 시는 사람에게 흥취를 일으키고 감동을 주므로 학습자는 시를 매개로 하여 학문의 세계로 들어가기 쉽다. 유학에서는 시가 지닌 교육적 효능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시 학습을 실효성 있는 교육 방법의 하나로 활용하였다. 학습의 촉매로서 시가 발휘하는 흥기 작용은 유학에서 주목한 시 학습의 교육적 의의에 해당하며 시 학습을 교육적으로 정당화하는 근거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이이가 활동하던 조선의 16세기는 건국 당시의 개혁 정신과 진취적 기상이 약해지면서 국가 운영에서 근본적인 쇄신과 전환을 요구하던 시대였다. 이이는 16세기 조선이 직면한 문제의 근본 원인이 국가 지도 원리인 문치주의(文治主義) 정책에 있다고 인식하고, 문치(文治)의 근본으로서 글의 본원인 도(道)의 회복에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이이는 당대에 만연한 글의 폐단을 혁파하기 위하여 문도일치(文道一致)의 원리를 구현하는 글의 이상으로서 성현지문(聖賢之文)을 해결책으로 제시하고 교육을 통한 글의 본원 회복을 강조하였다. 당대의 문폐(文弊) 현상을 근본적으로 바로잡고 글과 도의 바람직한 관계 설정을 위한 이이의 탐구는 『성학집요』에서 문이형도(文以形道) 이론의 주창으로 심화된다. 문이형도란 형상이 없는 도를 형상이 있는 글로 표현한다는 것으로 글의 존재 가치를 뚜렷하게 확립한 문도이론이다. 이이가 이상적인 글의 표준으로 설정한 ‘선명(善鳴)’이라는 술어도 문이형도의 원리를 실현하기 위한 개념인 것이다.
16세기 조선에서는 성리학적 이념이 국가와 사회를 이끌고 갔고 문학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시는 문학 가운데 주종(主宗)으로서 성리학의 이치에 통섭되고 융합하면서 궁리의 대상이 되었다. 시에 대한 이이의 기본적인 관점은 시가 경술(經術)에서 출발하여 마음의 자득(自得)으로 이루어지는 의리의 글이라는 언명(言明)에 잘 나타나 있다. 이이가 시의 토대를 경술에 두고 시를 의리지문(義理之文)이라고 인식한 것은 시를 기예적(技藝的) 관점이나 유미적 차원에서 보지 않고 성리학적 관점에서 학습의 대상으로 이해한 것이다.
시 교육의 방법에 대한 이이의 모색은 「인물세고서(人物世稾序)」에서 비롯된다. 이이는 역대 조상들의 시문집(詩文集)인 『인물세고』의 서문에서 시를 심중(心中)에서 발현된 글 가운데 가장 알차고 빼어난 것으로 규정하고 시의 발생론적 기원과 시 교육의 공능(功能)에 대해 설명하고 시 교육의 방법에 대한 소견을 피력한다. 특히, 집안 선조들이 남긴 시를 모은 책인 세고(世稾) 편찬의 의의에 대해 언급하면서 조상이나 부모가 남긴 시문(詩文)을 학습하면 후손들은 조상과 부모를 공경하고 사모하는 마음을 절감하게 되어 효심을 깊게 할 수 있다고 하였다. 가정교육이나 문중교육 등 가학(家學)을 위한 학습 자료로 역대 조상들이 남긴 시를 가르치고 배우는 것은 적실한 시 교육의 방법으로서 학습의 효력이 있다는 것이다. 이이가 서간인 「여송이암(與宋頤菴)」이나 「여이경로(與李景魯)」에서 일관되게 논의하고 있는 것은 시란 도를 추구하는 학문의 온축을 통해 자연스럽게 발현되는 것이지 기예나 재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이는 글과 도가 일치한다는 문도일치의 관점에서 성현의 글을 시의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시가 문사(文詞) 가운데 가장 정제(精製)되고 우수하다는 것과 성현의 글이 시의 표준이 된다는 인식은 교육 방법으로서 시 학습을 위한 이론적 탐구로 나아갔던 것이다.
글의 정수로서 시에 대한 추구와 성리학 공부에 기여하는 학습의 일환으로서 시 교육 방법에 대한 모색은 시 교육의 원리에 대한 탐구로 발전하여 마침내 시 학습 교재인 『정언묘선(精言妙選)』의 편찬에 이르게 된다. 『정언묘선』에서 이이는 학문하는 사람들 가운데 시를 배우고자 하는 이들을 위하여 성정의 바름을 노래하고 도를 밝히는 시 교육의 원리를 정립하고 시 교육의 원리를 구체화할 수 있는 시 교육의 방법과 자료를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정언묘선』은 시 교육의 원리를 압축하여 총론적으로 제시한 「정언묘선서(精言妙選序)」가 제일 앞에 배치되어 있고, 시 교육의 방법을 각론적으로 안내하는 「정언묘선총서(精言妙選總敍)」가 이어지며 마지막으로 시 교육 자료집으로서 「원자집(元字集)」 외 7권의 시집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 교육의 방법에 대한 모색과 시 교육의 원리에 대한 탐구의 과정을 통해 이이가 얻은 깨달음은 의리(義理)를 궁구하는 글로서 시의 본령은 결국 시의 근본문헌인 『시경』 삼백편의 정신에 있다는 것이었다.
시 학습 지침서로서 『정언묘선』에 딸린 8권의 시집은 「정언묘선서」에서 밝힌 시 교육의 원리와 「정언묘선총서」에서 제시한 시 교육의 방법에 근거하여 엄선한 시 작품들로 이루어져 있다. 제1시집 「원자집」을 비롯한 7권의 시집은 역대 시의 명편들 가운데 가장 정묘하고 모범이 되는 작품들을 정선한 것이다. 선정한 작품 가운데 특히 『시경』 삼백편과 상통하는 어조와 주제가 담겨있는 시구에는 손수 권점을 찍어 시 학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도록 고려했다는 점에서 8권의 시집은 시 교육 자료로서 문헌적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이에게 시 학습은 기송사장(記誦詞章)의 공부가 아니라 성정(性情)을 음영(吟詠)함으로써 성리학 공부가 지향하는 덕목인 정심(正心)을 보존하고 함양하며 삶을 되돌아보고 살핀다는 존양(存養)과 성찰(省察)을 위한 교육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이이는 시 교육이 본질적으로 추구하는 궁극적 가치가 성리학적인 덕성의 고취에 있다고 함으로써 시 학습의 교육적 의미가 성리학 공부에 일조하는 수기의 일환임을 분명히 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이이에게 시 학습은 성리학이 추구하는 도를 밝히고 드러낸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미가 있는 것이다. 시 학습은 운율이 있는 언어로 도를 밝히고자 하는 명도운어(明道韻語)의 공부이자 시로써 도를 드러내는 문이형도(文以形道)의 방편으로 도를 탐구하는 인문구도(因文求道)의 교육이 되는 것이다. 이것은 도를 밝히고 드러내는 의리지문으로서 시에 대한 학습을 교육적으로 정당화하는 것이다.
이이에게 시 학습은 성정의 바름을 목표로 하는 수기의 일환으로서 존양과 성찰을 위한 교육이면서 성리학이 추구하는 도를 밝히고 드러내는 방편이 되는 것이다. 이이가 정립한 시 교육론은 성리학 이론에 토대를 둔 것으로 성리학 공부의 요체가 내장되어 있다는 점에서 유학 교육의 이론과 실제와 연관되는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Mills, Sara, "담론", 인간사랑, 인간사랑, 2001
2 조남현, "역해", 시경 혜원출판사, 1998
3 임수무, "공부론", 예문서원, 2007
4 최동호, "文心雕龍", 민음사, 1994
5 기태완, "精言妙選", 보고사, 1999
6 권오돈, "新譯 예기", 홍신문화사, 1982
7 왕소, "退溪 詩學", 중문출판사, 1997
8 황애숙, "시와 철학", 한국학술정보(주), 2010
9 김용옥, "중용한글역주", 통나무, 2011
10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지식산업사, 1983
1 Mills, Sara, "담론", 인간사랑, 인간사랑, 2001
2 조남현, "역해", 시경 혜원출판사, 1998
3 임수무, "공부론", 예문서원, 2007
4 최동호, "文心雕龍", 민음사, 1994
5 기태완, "精言妙選", 보고사, 1999
6 권오돈, "新譯 예기", 홍신문화사, 1982
7 왕소, "退溪 詩學", 중문출판사, 1997
8 황애숙, "시와 철학", 한국학술정보(주), 2010
9 김용옥, "중용한글역주", 통나무, 2011
10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지식산업사, 1983
11 주진보, "今譯 文心雕龍", 외국어교학연구출판사 & 연변인민출판사, 2007
12 기세춘, "성리학개론 상", 바이북스, 2007
13 유종호, "시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5
14 유성선 , "율곡 심론 연구",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5 황준연, "이이 철학 연구", 전남대학교출판부, 전남대출판부, 1989
16 장세후, "朱熹 詩 譯註1, 2", 이회문화사, 2004
17 안대회, "『궁극의 시학』", 문학동네, 2013
18 구인환, "『문학 교육론』", 삼지원, 삼지원, 1988
19 한형조, "왜 동양철학인가", 문학동네, 2009
20 금장태, "유학사상의 이해", 집문당, 집문당, 1996
21 남상호, "육경과 공자인학", 예문서원, 2003
22 李文遠, "율곡의 교육사상", 율곡학회, 박영사, 1994
23 문효, "조선의 글쟁이들", 왕의 서재, 2009
24 김용옥, "논어한글역주1,2,3", 통나무, 2009
25 이종호, "율곡-인간과 사상", 지식산업사, 1994
26 이종건, "조선전기한시비평", 새문사, 새문사, 1992
27 정요일, "『한문학의 논리』", (주)일조각, 2009
28 공자, "대학학기한글 역주", 통나무, 통나무, 2009
29 이홍우, "성리학의 교육이론", 성경재, 誠敬齋, 2000
30 윤사순, "寒暄堂의 선비 精神", 현암사, 1985
31 신창호, "대학의 교육론 산책", 내일을 여는 책, 2001
32 배종현, "율곡의 학문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8
33 조동일, "한국문학사상사시론", 지식산업사, 1978
34 김영호, "논어의 종합적 고찰Ⅰ", 도서출판 심산문화, null
35 정옥자, "시대가 선비를 부른다", 효형출판, 효형출판, 1998
36 이경재, "율곡의 교육사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2
37 이계환, "율곡의 교육사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38 손석구, "율곡의 철학사상 연구", 형설출판사, 1987
39 이영경, "栗谷의 道學思想 硏究",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40 이민홍, "增補 士林派文學의 硏究", 도서출판 月印, 2000
41 김동인, "세주완역 논어집주대전1", 한울아카데미, 2009
42 김동인, "세주완역 논어집주대전2", 한울아카데미, 2010
43 김동인, "세주완역 논어집주대전3", 한울아카데미, 2011
44 김동인, "세주완역 논어집주대전4", 한울아카데미, 2013
45 박희병, "유교와 한국문학의 장르", 돌베개, 2008
46 이두찬, "율곡 사회윤리사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47 정항교, "율곡이이의 시문학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48 원형갑, "栗谷과 동양의 시학정신", 한성대학교논문집 12(1). pp.183-222, 1988
49 박경신, "율곡 이이의 시문학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06
50 소광희, "인간에 대한 철학적 성찰", 문예, 문예출판사, 2005
51 홍학희, "栗谷 李珥의 詩文學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00
52 유한구, 이홍우, "교육의 동양적 전통 Ⅰ,Ⅱ", 誠敬齋, 2000
53 황의동, "율곡사상의 체계적 이해1,2", 서광사, 1998
54 장숙필, "「율곡 이이의 성학 연구」",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出版部,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1992
55 김근, "漢詩의 비밀-시경과 초사편", 소나무, 2008
56 최도영, "율곡 대동사상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1992
57 우영철, "율곡 이이의 교육사상 연구", 관동대학교,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58 함용식, "율곡 이이의 교육사상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6
59 김용재, "율곡 이이의 문학사상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4
60 신연우, "이황 시의 깊이와 아름다움", 지식산업사, 지식산업사, 2006
61 정출헌, "한국 한문학 연구의 새지평", 소명출판, 2005
62 김익수, "21세기 새문화 창조와 율곡학", 수덕문화사, 2001
63 손영식, "「성리학의 형이상학 시론」", 울산대학교출판부, 2007
64 손인수, "『율곡사상의 현대적 공간』", 다문, 다문, 1996
65 유연석, "『율곡 이이의 인성론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66 김갑기,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새문사, 새문사, 2007
67 홍우의 , "율곡의 문학론과 道學詩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1997
68 정병연, "율곡의 인성교육론. 율곡학보 16집", 율곡학회. pp.135-178, 2000
69 최문형, "율곡의 주기론적 문학관과 시세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4
70 이채문, "先秦諸家의 시경 인용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00
71 박연호, "조선전기 사대부 교양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 학위논문, 1993
72 정항재, "지각설에 입각한 이이 철학의 해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1
73 김미나, "문심조룡 동양고전문예학의 집대성", (주)살림출판사, 2005
74 도광순, "율곡의 교육목적론, 교육철학 제4집", 교육철학회. pp. 49-59, 1980
75 김경용, "과거제도와 한국 근대교육의 재인식", 교육과학사, 2003
76 조남국, "율곡의 삶과 철학 그리고 경제. 윤리", 교육과학사, 1997
77 김경호, "『율곡 이이의 심성론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1
78 고혜선, "율곡 이이 심성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79 국제어문학회, "고전 문학담당층과 문학의식의 제문제", 보고사, 도서출판 보고사, 2004
80 손인수, "율곡사상의 이해-교육사상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사, 1995
81 박종배, "조선전기 유학교육에서의 문학의 지위", 교육사학 연구 6-7집 1 호. pp.69-96, 1996
82 이영환, "논어 의 시 교육론. 한국교육사학 . 34(3)", 한국교육사학 회. pp.59-86, 2012
83 나윤숙, "율곡 氣重視的 인간관과 矯氣質의 意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84 김경룡, "조선시대 과거제도의 교육적 성격 연구",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998
85 한미정, "율곡 입지론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86 최승순, "율곡의 문학관. 율곡학연구총서 논문편5", 사단법인 율곡학회, 2007
87 황의동, "율곡의 이기론. 율곡학연구총서 논문편2", 사단법인 율곡학회. pp. 129-130, 2007
88 김병국, "정언묘선서에 보이는 이정(移情)의 연구", 한국시가연구 . 제 23집. pp.149-177, 2007
89 이병찬, "韓國의 詩經論 硏究 - 國風論을 中心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90 민경삼, "주희의 문학론 연구-주자어류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4
91 손인수, "율곡 敎育思想의 立志와 誠論, 人文科學 32", 연세대 인문학 연구소. pp.435-463, 1974
92 임형택, "16세기 사림파의 문학의식. 한국학논집 제3집", 계명대학교 한국 학연구소. pp.543-556, 1975
93 배강현, "율곡의 교육사상의 실학적 성격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94 김병국, "율곡의 문학관. 21세기 새 문화 창조와 율곡학", 한국사상문화 학회. pp. 111-164, 2001
95 박의수, "율곡 李珥의 敎育思想. 韓國思想과 文化 제7집", 한국사상문화학 회. pp.213-244, 2000
96 황금중, "율곡의 工夫論과 聖學輯要. 한국교육사학 24(1)", 한국교육사학 회. pp.303-356, 2002
97 정재철, "정언묘선의 풍격 연구. 韓國漢文學硏究 제28집", 한국한문학회. pp. 63-94, 2001
98 김동인, "당송대 진사과에서 추구된 문학적 교양의 성격",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99 이대성, "율곡의 ‘입지’와 ‘誠’ 사상의 교육적 의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1997
100 임형택, "우리 고전을 찾아서-한국의 사상과 문화의 뿌리", 한길사, 한길사, 2007
101 이달우, "율곡의 敎育的 人間像, 敎育學 硏究 제30집 제2호", 한국교육학 회. pp.1-15, 1992
102 황의동, "율곡 도덕교육론의 철학적 기초. 儒學 硏究 제2집",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pp. 207-249, 1994
103 이종호, "유교의 문학관과 미의식. 율곡학연구총서 논문편5", 사단법인 율곡학회, 2007
104 최승순, "율곡의 문학관. 율곡학연구총서-자료편 율곡전서1", 원영출판사, 2007
105 김남형, "정언묘선의 문헌적 검토. 율곡학연구총서 논문편 5", 사단법인 율 곡학회, 2007
106 방진하, "오우크쇼트의 자유교육론 : '시적 대화'로서의 교육",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07 윤길원, "성학집요 에 나타난 이이의 교육방법론에 대한 연구", 한국 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08 한기언, "율곡 이이의 교육이념. 율곡학연구총서 논문편7 교육", 사단법 인 율곡학회, 2007
109 이경한, "율곡 수기론의 철학적 규명,-明善 誠身論을 중심으로", 성균 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10 박종배, "유학교육의 이상에 비추어 본 교과로서의 문학의 의미", 서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111 김주수, "율곡 이이의 시문학 연구 : 산수 전원 문학을 중심으로",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한국 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12 안병학, "문학의 본질, 효용, 그리고 글쓰기. 조선 유학의 개념들", 예문서 원, 2002
113 김병국, "정언묘선의 文獻的 檢討와 栗谷의 詩觀. 書誌學報 제15집", 韓國書誌學會. pp.41-76, 1995
114 길진숙, "이이의 속악 인식과 고산구곡가. 율곡학연구총서 논문편5", 사 단법인 율곡학회, 2007
115 김승호, "韓國 敎育哲學에 있어서의 二而一思想에 대한 역사적 연구", 한 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116 이영환, "논어 에 수용된 시경 시의 교육적 해석. 한국교육사학 . 35(4)", 한국교육사학회. pp.155-189, 2013
117 정현희, "율곡의 인성교육론에 의한 미술지도가 아동인성에 미친 영향",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18 정덕희, "율곡의 人間形成 理論 : 誠意正心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 20", 한국교육학회 교육사연구회. pp.145-163, 1998
119 김풍기, "정언묘선에 나타난 율곡의 심미이상. 율곡학연구총서 논문편 5", 사단법인 율곡학회, 2007
120 김풍기, "율곡 문학론에 있어서의 평정과 긴장. 율곡학연구총서 논문편 5", 사단법인 율곡학회, 2007
121 김태환, "율곡의 미적 인식에 대한 고찰: 移情과 興 興象의 문제. 배달 말 제28-1호", 배달말학회. pp.189-208, 2001
122 최동국, "조선조 중엽의 時調와 淡의 美 : 退溪와 栗谷의 評語를 중심으로. 時調學論叢", 韓國時調學會. 제18집. pp.5-18, 2002
123 김경호, "학교모범에 나타난 율곡의 교육사상-교육이념과 내용을 중심으로, 율곡사상연구 제6집", 율곡학회, 2003
124 조동일, "16세기 사림파의 문학사상-서경덕 이황 이이의 경우를 중심으로. 율곡학연구총서 논문편5", 사단법인 율곡학회, 2007
125 최준하, "김시습전의 분석을 통해 살펴본 율곡문학과 율곡사상의 현대적 의 의. 율곡학연구총서 논문편5", 사단법인 율곡학회, 2007
126 정요일, "퇴계의 도산십이곡발과 율곡의 정언묘선서에 나타난 시가관 - 모 시서, 시집전서 등 역대 유가의 문학론과 관련하여", 서강인문논총 11집. pp.117-179,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