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로 선형 및 노면 안전성 분석 모형 개발: RoSAS, 1차년도(연구)  :  (Road Alignments and Friction Analysis Model for Road Safety : RAFAM-Ro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316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port presents research on the project, "Road Alignments & Friction Analysis Model for Road Safety(RAFAM-RoS)", which is scheduled to be completed by 2007. The project goals were to establish an evaluation method on the safety of the specifi...

      This report presents research on the project, "Road Alignments & Friction Analysis Model for Road Safety(RAFAM-RoS)", which is scheduled to be completed by 2007. The project goals were to establish an evaluation method on the safety of the specified 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보고서는 2007년도 완료를 목표로 총 5차년도에 걸쳐 수행될 계획으로 있는 “도로 선형 및 노면 안전성 평가모형 개발”의 1차년도 연구에 관한 것이다. 연구 목표는 ‘도로 설계 일관성(Road Design Consistency)'에 근거하여 특정 도로의 안전을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도로 설계 일관성은 도로 기하구조가 운전자의 기대에 부합되는 정도로서 정의되며 도로시설의 부적합한 설계나 운영으로 인해 파생되는 운전자의 실수를 줄이
      번역하기

      본 보고서는 2007년도 완료를 목표로 총 5차년도에 걸쳐 수행될 계획으로 있는 “도로 선형 및 노면 안전성 평가모형 개발”의 1차년도 연구에 관한 것이다. 연구 목표는 ‘도로 설계 일관성(R...

      본 보고서는 2007년도 완료를 목표로 총 5차년도에 걸쳐 수행될 계획으로 있는 “도로 선형 및 노면 안전성 평가모형 개발”의 1차년도 연구에 관한 것이다. 연구 목표는 ‘도로 설계 일관성(Road Design Consistency)'에 근거하여 특정 도로의 안전을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도로 설계 일관성은 도로 기하구조가 운전자의 기대에 부합되는 정도로서 정의되며 도로시설의 부적합한 설계나 운영으로 인해 파생되는 운전자의 실수를 줄이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1. 연구 배경
      • 1.2. 연구 목표
      • 1.3. 연구 내용 및 범위
      • 1.4. 연구 방법
      • 1. 서론
      • 1.1. 연구 배경
      • 1.2. 연구 목표
      • 1.3. 연구 내용 및 범위
      • 1.4. 연구 방법
      • 1.5. 기대 효과
      • 2. 문헌고찰
      • 2.1. 도로 선형과 안전
      • 2.2. 도로 선형 설계의 일관성
      • 2.2.1. 설계속도 기반 도로 설계의 한계
      • 2.2.2. 주행속도 기반의 도로 설계
      • 2.2.3. 주행속도 프로파일 모형
      • 3. 평면곡선부 주행속도 예측모형 모형 개발
      • 3.1. 자료 수집
      • 3.1.1. 지점 선정
      • 3.1.2. 기하구조 자료
      • 3.1.3. 속도 자료
      • 3.1.4. 자료 정리
      • 3.1.5. 자료 분석
      • 3.2. 평면곡선부 주행속도 예측모형 개발
      • 3.2.1. 왕복 2차로
      • 3.2.2. 왕복 4차로
      • 3.2.3. 결과 분석
      • 4. 직선부 희망속도 산정
      • 4.1. 자료 수집
      • 4.1.1. 왕복 2차로
      • 4.1.2. 왕복 4차로
      • 4.2. 분석 결과
      • 4.2.1. 왕복 2차로
      • 4.2.2. 왕복 4차로
      • 5. 평면곡선 진입, 진출부 가속도 산정
      • 5.1.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 5.2. 결과 분석
      • 5.2.1. 왕복 2차로
      • 5.2.2. 왕복 4차로
      • 5.3. 종합
      • 6. 주행속도 프로파일 모형의 활용방안
      • 6.1. 주행속도 프로파일의 실무적용 방안
      • 6.2. 도로 안전성 평가기준 실무적용 및 검토
      • 7. 도로 선형 안전성 평가를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 개발
      • 7.1. 개별차량 주행행태 분석을 통한 도로 선형 안전성 평가방안
      • 7.1.1. 조사방법
      • 7.1.2. 분석결과
      • 7.2. 운전자의 시각적 특성을 이용한 선형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 7.2.1. 기존 연구 고찰
      • 7.2.2. 운전자의 주시점 분포 특성을 활용한 도로 선형 안전성 평가방안
      • 8. 결론 및 향후 연구
      • 8.1. 결론
      • 8.2. 향후연구
      • 8.2.1. 1차년도 연구 보완 사항
      • 8.2.2. 향후 연구 수행 방향
      • 참고문헌
      • 부록 1. 주행속도 프로파일 작성 예
      • 부록 2. 주행속도 조사대상지점 자료
      • 부록 3. 도로 선형 조건별 교통사고 통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