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남, 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운동화와 기능성 신발 착용 시 심폐기능 및 혈중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기능성 신발 착용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여 걷기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937788
서울 :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 생활스포츠학과 , 2010. 2
2010
한국어
서울
ix, 60 p. : 삽도 ; 26 cm.
국문초록: p. viii-ix
Abstract: p. 59-60
지도교수: 남상남
참고문헌: p. 52-5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남, 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운동화와 기능성 신발 착용 시 심폐기능 및 혈중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기능성 신발 착용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여 걷기운...
본 연구는 남, 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운동화와 기능성 신발 착용 시 심폐기능 및 혈중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기능성 신발 착용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여 걷기운동 처방 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남자 대학생의 심폐기능 측정 결과 산소섭취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그 외 심박수, 호흡교환률, 분당환기량, 에너지 소비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여자 대학생의 심폐기능 측정 결과 산소섭취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그 외 심박수, 호흡교환률, 분당환기량, 에너지 소비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혈중지질 성분 측정 결과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에서 남, 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위의 결론과 선행연구들의 사례를 비추어 볼 때 심폐기능과 혈중지질 성분의 개선 또는 변화는 최소한 4주 또는 그 이상 장기간의 규칙적인 트레이닝을 거쳐야 개선의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회성 트레이닝을 통해 결과를 도출했기 때문에 그 수치에 대한 타당성을 논하기 어렵고, 일반 신발과 기능성 신발 착용 시 심폐기능과 혈중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타당성 있는 결과를 제시하려면 규칙적이고 장기간의 트레이닝 기간을 거친 발전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