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을 쌓아 간다는 것은 결국 끊임 없는 개념의 분류과정이라고 일찍이간파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에 수긍한다. 이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속성으로서 범주화 능력을 강조한 것이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806012
201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식을 쌓아 간다는 것은 결국 끊임 없는 개념의 분류과정이라고 일찍이간파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에 수긍한다. 이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속성으로서 범주화 능력을 강조한 것이다. ...
지식을 쌓아 간다는 것은 결국 끊임 없는 개념의 분류과정이라고 일찍이간파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에 수긍한다. 이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속성으로서 범주화 능력을 강조한 것이다. 범주적 개념화는 언어를 통해서 매개된다. 인간은 개념의 어휘망을 정신사전 mentales Lexikon 형태로 내재화하여 지니고 있다. 인간의 이러한 어휘화된 개념 분류체계를 컴퓨터가 읽고 이해할수 있게 구축한 기계가독용 사전 maschinenlesbares Lexikon이 바로 정보기술분야에서 회자되는 소위 온톨로지1)에 다름 아니다. 온톨로지는 인공지능의 논리적 추론, 언어 이해, 개념 및 사물의 분류와 같은 능력을 개발하는데 필수적인 인프라 자원이라는 점에서 시멘틱 웹으로 대변되는 빅데이터 시대의 지능형 정보기술의 핵심에 속한다. 본 연구에서는 나름대로의 분류체계 형식에 기반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의 e-카탈로그2)의 언어학적 분석을 시도한다. 일반 소비자를 상대로, 특히 독일어로 서비스되고 있는 e-카탈로그를 대상으로 한다. 소비자의 상식에 부합하여 목표하는 상품에로 안내를 담당하는 e-카탈로그의 분류체계가 어떠한 체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얼마만큼 온톨로지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출처: RISS,
http://www.riss.kr/link?id=A103414785>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중간산출물이다. 해당 연구는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독일어 e-카탈로그를 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중간산출물이다.
해당 연구는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독일어 e-카탈로그를 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자료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출판한 학술논문의 프리프린트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d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die im deutschen Sprachraum auf Deutsch verfassten e-Kataloge unter linguistischem Gesichtspunkt analysiert. Besonders am Beispiel von ‘Fußballschuhen’ (eine Art ‘Sportschuhe’) wird veranschaulicht, inwieweit...
In d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die im deutschen Sprachraum auf Deutsch verfassten e-Kataloge unter linguistischem Gesichtspunkt analysiert. Besonders am Beispiel von ‘Fußballschuhen’ (eine Art ‘Sportschuhe’) wird veranschaulicht, inwieweit sie in Bezug auf Taxonomie und Beschreibung der Instanzen eine Parallelität zur Ontologie aufweisen. Teile von exemplarisch ausgewählten e-Katalogen zeigen, dass die Nomenklatur von Klassifizierungsklassen anders als in der Ontologie unsystematisch ist: die Klassenbezeichnungen sollten nicht lexikalisch, sondern als eine Menge von Merkmalen (Attributen) aufgefasst werden, die sich durch den (Mehrfach-) Vererbungsmechanismus ergibt. Die Instanzen, die in e-Katalogen selbstverständlich zu Waren gehören, hält man für Mengen von Merkmalen, von denen eine bestimmte Zahl zur Klassifizierung benutzt wird. In manchen Fällen gibt es keine Hierarchie unter den Merkmalen, woraus sich mehrere unterschiedliche Klassifizierungsmöglichkeiten ergeben: Tatsächlich finden sich von e-Katalog zu e-Katalog verschiedene Taxonomien. Wenn man sich aber an eine axiomatische Operation wie in der Ontologie anlehnt, wonach ein Knoten ‘Waren’ (und weiter darüber ‘Artefakt’) als Top-Knoten angenommen wird, können eine Reihe von Inferenzen entlang der Klassifizierungszweige erfolgreich stattfinden. Die Transitivität in der Inferenz erfolgt wie in der Ontologie. In diesem Sinne zeigt sich die Parallelität des e-Kataloges zur Ontologie, die die Möglichkeit des e-Kataloges zu einer (Domänen-)Ontologie erhöht. Nach optimistischer Auffassung lassen sich e-Kataloge, die mit dem Wachstum des e-Kommerzes drastisch zunehmen, als eine Art distributionelle Wissensressource für die intelligente Informationsverarbeitung auf integrierte Weise gebrauchen, was zu einer nicht-trivialen Herausforderung wegen ihrer nicht-standardisierten Verschiedenheit führt.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학술논문의 프리프린트로, 발행된 학술논문의 서지정보는 RISS(http://www.riss.kr/link?id=A103414785)를 참고하여 기재함.
본 자료는 학술논문의 프리프린트로, 발행된 학술논문의 서지정보는 RISS(http://www.riss.kr/link?id=A103414785)를 참고하여 기재함.
국문 초록 (Abstract)
1. 서론 2. 독일어 e-카탈로그의 소개 및 분석 2.1. 독일어 견본 e-카탈로그의 구성 2.2. e-카탈로그의 분류체계 분석 3. 온톨로지적 관점에서 본 e-카탈로그의 특징 3.1. 구조상의 특징 3....
1. 서론
2. 독일어 e-카탈로그의 소개 및 분석
2.1. 독일어 견본 e-카탈로그의 구성
2.2. e-카탈로그의 분류체계 분석
3. 온톨로지적 관점에서 본 e-카탈로그의 특징
3.1. 구조상의 특징
3.2. 속성 관점에서 본 일반 온톨로지와 e-카탈로그의 관계
3.3. e-카탈로그의 추론체계
4. 이론적 함의
5. 맺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