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현종의 지방제도 개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forms of Local Institution by the King Hyeonjong in K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754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고려 현종 3년의 75도 안무사 개혁의 내용과 특성을 밝히고 현종 9년의 주부군현의 개편과 주속관계 정비의 목표를 분석한다. 둘째, 현종 3년의 개혁과 현종 9년의 지방제도 개편 간의 연계성을 규명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종의 지방제도 개혁이 5도 양계의형성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 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현종 3년의 75도 개혁은 12주 절도사군대 체제를 75개 주읍의 주현군 체제로 전환하는 군사적 목표를 지닌 개혁이었다. 절도사를 폐지하고 그 권력을 안무사와 안찰사에게 분산시켜 감찰하는 한편 일반적 군·민정을 75처의 수령이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지방통치체제를 구축한 것이다. 이러한 주현군 체제로의 개혁은 왕의 군대를 주현단위에까지 배치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주민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려는 것이었다. 현종 9년의 주부군현 개편과 주속관계의 정비는 현종 3년의 75도 주현군체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변경의 양계지역에 방어사와 진장을 증치하고 주현군을 집중적으로 배치하여 군 관리체계를 경기이남 5도와 달리함으로써 국방을 강화하였다. 반대로 경기이남 5도에는 주현군을 줄이는 한편 주군현의 주속관계를 명확히 하여 주현군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7주 안무사를 폐지하는 대신 8목을 두어 민정적 대민행정을 강화하였다. 따라서 현종 3년의 75도 개혁과 현종 9년의 주부군현개혁은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며 5도와 양계를 구분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했다고 본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고려 현종 3년의 75도 안무사 개혁의 내용과 특성을 밝히고 현종 9년의 주부군현의 개편과 주속관계 정비의 목표를 분석한다. 둘째, 현종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고려 현종 3년의 75도 안무사 개혁의 내용과 특성을 밝히고 현종 9년의 주부군현의 개편과 주속관계 정비의 목표를 분석한다. 둘째, 현종 3년의 개혁과 현종 9년의 지방제도 개편 간의 연계성을 규명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종의 지방제도 개혁이 5도 양계의형성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 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현종 3년의 75도 개혁은 12주 절도사군대 체제를 75개 주읍의 주현군 체제로 전환하는 군사적 목표를 지닌 개혁이었다. 절도사를 폐지하고 그 권력을 안무사와 안찰사에게 분산시켜 감찰하는 한편 일반적 군·민정을 75처의 수령이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지방통치체제를 구축한 것이다. 이러한 주현군 체제로의 개혁은 왕의 군대를 주현단위에까지 배치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주민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려는 것이었다. 현종 9년의 주부군현 개편과 주속관계의 정비는 현종 3년의 75도 주현군체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변경의 양계지역에 방어사와 진장을 증치하고 주현군을 집중적으로 배치하여 군 관리체계를 경기이남 5도와 달리함으로써 국방을 강화하였다. 반대로 경기이남 5도에는 주현군을 줄이는 한편 주군현의 주속관계를 명확히 하여 주현군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7주 안무사를 폐지하는 대신 8목을 두어 민정적 대민행정을 강화하였다. 따라서 현종 3년의 75도 개혁과 현종 9년의 주부군현개혁은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며 5도와 양계를 구분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했다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the reforms which had implemented in the 3<sup>rd</sup> and 9<sup>th</sup> year of king Hyeonjong in Koryeo dynasty. The second one is to explain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reorganizations of local institution and finally is to find out the impact of reforms on the establishment of 5 Do 2 Gye system. The 75-Do reform in the 3<sup>rd</sup> year of king Hyeonjong was to change the 12 army troupes of Jeoldosa for the 75 town guards in the whole country. It was the reform of the military system. The post of Jeoldosa was abolished and his authorities were divided into Anchalsa and Anmusa who inspect the 75 town officials whose responsibility were to manage generally local affairs and town guard. In effect the governing power of the king was reinforced by establishing the military forces in major towns of the country. The reorganization of local institution in the 9<sup>th</sup> year was to solve the problems which derived from the 75-Do system. The town guard force were allocated intensively on the border area, so called 2 Gye to strengthen the national defence and established the commanding system which was deferent from that of 5 Do - the southern area of the capital Gyeongy. King Hyeonjong had cut down the number of the central towns in southern 5 Do area and had clearly establish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ntral and subordinated towns to effectively manage the town guards and people under the supervision of 8 Moks. So it was clear that the reorganization of the local institution in the 9<sup>th</sup> year of king Hyeonjong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reform of 75 Do system which had implemented in the 3<sup>rd</sup> year of him and the establishment of 5 Do 2 Gye.
      번역하기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the reforms which had implemented in the 3<sup>rd</sup> and 9<sup>th</sup> year of king Hyeonjong in Koryeo dynasty. The second one is to explain th...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the reforms which had implemented in the 3<sup>rd</sup> and 9<sup>th</sup> year of king Hyeonjong in Koryeo dynasty. The second one is to explain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reorganizations of local institution and finally is to find out the impact of reforms on the establishment of 5 Do 2 Gye system. The 75-Do reform in the 3<sup>rd</sup> year of king Hyeonjong was to change the 12 army troupes of Jeoldosa for the 75 town guards in the whole country. It was the reform of the military system. The post of Jeoldosa was abolished and his authorities were divided into Anchalsa and Anmusa who inspect the 75 town officials whose responsibility were to manage generally local affairs and town guard. In effect the governing power of the king was reinforced by establishing the military forces in major towns of the country. The reorganization of local institution in the 9<sup>th</sup> year was to solve the problems which derived from the 75-Do system. The town guard force were allocated intensively on the border area, so called 2 Gye to strengthen the national defence and established the commanding system which was deferent from that of 5 Do - the southern area of the capital Gyeongy. King Hyeonjong had cut down the number of the central towns in southern 5 Do area and had clearly establish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ntral and subordinated towns to effectively manage the town guards and people under the supervision of 8 Moks. So it was clear that the reorganization of the local institution in the 9<sup>th</sup> year of king Hyeonjong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reform of 75 Do system which had implemented in the 3<sup>rd</sup> year of him and the establishment of 5 Do 2 Gy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백, "「한국사」 중세편" 을유문화사 1974

      2 최봉수, "한・중 광역지방행정제도의 역사적 비교연구" 한국행정사학회 (29) : 251-278, 2011

      3 내무부, "한국지방행정사" 내무부 1965

      4 하현강, "한국중세사연구" 일조각 1988

      5 백남운, "조선봉건시대경제사" 개조사 1937

      6 최봉수, "도제의 기원에 관한 연구 - 고려 성종의 12목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69-91, 2011

      7 김갑동, "나말여초의 호족과 사회변동연구" 고려대학교출판부 1990

      8 변태섭, "고려초기의 지방제도" 57 : 25-42, 1987

      9 하현강, "고려지방제도의 일 연구(상)" 13 : 1-51, 1962

      10 하현강, "고려지방제도의 연구" 한국연구원 1977

      1 이기백, "「한국사」 중세편" 을유문화사 1974

      2 최봉수, "한・중 광역지방행정제도의 역사적 비교연구" 한국행정사학회 (29) : 251-278, 2011

      3 내무부, "한국지방행정사" 내무부 1965

      4 하현강, "한국중세사연구" 일조각 1988

      5 백남운, "조선봉건시대경제사" 개조사 1937

      6 최봉수, "도제의 기원에 관한 연구 - 고려 성종의 12목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69-91, 2011

      7 김갑동, "나말여초의 호족과 사회변동연구" 고려대학교출판부 1990

      8 변태섭, "고려초기의 지방제도" 57 : 25-42, 1987

      9 하현강, "고려지방제도의 일 연구(상)" 13 : 1-51, 1962

      10 하현강, "고려지방제도의 연구" 한국연구원 1977

      11 변태섭, "고려정치제도사연구" 일조각 1977

      12 구산우, "고려전기 향촌지배체제연구" 혜안 2003

      13 신재영, "고려사절요" 동국문화사 1970

      14 김갑동, "고려사의 제문제" 261-296, 1986

      15 연세대 동방학연구소, "고려사" 경인문화사 1976

      16 이기백, "고려병제사연구" 일조각 1968

      17 김갑동, "고려 현종대의 지방제도 개혁" 260-279, 1995

      18 구산우, "고려 태조대의 지방제도 개편양상" 22 : 1998

      19 김일우, "고려 태조대 지방지배질서의 형성과 국가지배" 52 : 1996

      20 최정환, "고려 지방제도의 정비와 도제" 19 : 93-117, 1996

      21 최봉수, "고려 성종 10도제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회 (32) : 1-28, 2013

      22 윤경진, "고려 군현제의 구조와 운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23 최봉수, "고려 75도제의 성립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회 (37) : 1-33, 2015

      24 商文立, "中國歷代地方政治制度" 正中書局 1995

      25 曾資生, "中國政治制度史" 上海書店 1992

      26 蔭法魯, "中國古代文化史" 北京大出版社 1990

      27 李世愉, "中國古代官制槪論"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9

      28 "Bai du 百科"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ssociation for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행정사학회 -> 한국행정사학지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43 0.55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