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개혁주의생명신학 신학회복운동에 대한 소고 = A Movement of Theological Resto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seeks to study a Movement of Theological Resto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in the perspective of church history. The representative examples are three Reformers (Luther, Zwingli, Calvin, John Wesley, and Rev. Yong Jo Ha). Reformed Life Theology claims to be a pastoral program and theological alternative that can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overcoming the deficiencies of Protestant liberalism and modern Pentecostalism. This is done by the new biblical understanding of life, which is determined by the action of the Holy Spirit. Reformed Life theology as a spiritual theology of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the Pentecostal context of Korea aim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Bible and earnestly seek the help of the Holy Spirit. It follows that true theology is a practical guide to the new life rather than abstract science, which is realized through Bible study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spiritual experience. By focusing on the pneumatological dimension of Reformed biblical hermeneutics, Bible study in its close connection with the spiritual experience of the Holy Spirit is the most important theological task, which at the same time implies a rejection of speculative academic theology. In this respect, it is not an attempt to create a new theological system, but the desire to found a Bible-centered Pentecostal movement.
      번역하기

      This article seeks to study a Movement of Theological Resto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in the perspective of church history. The representative examples are three Reformers (Luther, Zwingli, Calvin, John Wesley, and Rev. Yong Jo Ha). Reformed Lif...

      This article seeks to study a Movement of Theological Resto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in the perspective of church history. The representative examples are three Reformers (Luther, Zwingli, Calvin, John Wesley, and Rev. Yong Jo Ha). Reformed Life Theology claims to be a pastoral program and theological alternative that can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overcoming the deficiencies of Protestant liberalism and modern Pentecostalism. This is done by the new biblical understanding of life, which is determined by the action of the Holy Spirit. Reformed Life theology as a spiritual theology of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the Pentecostal context of Korea aim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Bible and earnestly seek the help of the Holy Spirit. It follows that true theology is a practical guide to the new life rather than abstract science, which is realized through Bible study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spiritual experience. By focusing on the pneumatological dimension of Reformed biblical hermeneutics, Bible study in its close connection with the spiritual experience of the Holy Spirit is the most important theological task, which at the same time implies a rejection of speculative academic theology. In this respect, it is not an attempt to create a new theological system, but the desire to found a Bible-centered Pentecostal mov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교회사적 전망 속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연구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이를 위한 대표적인 실례로서 세 명의 종교개혁자들(루터, 츠빙글리, 칼빈, 존 웨슬리, 하용조 목사)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한국교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목회적 프로그램과 신학적 대안으로 등장한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자유주의신학의 극복과 성령운동의 성숙을 위하여 결정적으로 기여를 하고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성령론과 성경관을 핵심개념으로 강조하면서, 새로운‘생명’이해를 시도하고 있으며, 이는 성령의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성령운동의 콘텍스트 속에서 구상, 실천된 장로교회의 영적 부흥신학으로서, 성령의 도우심을 구하며, 성경의 핵심적 의미를 포괄적으로 파악하는 신학으로서, 참된 신학은 추상적 학문이 아니라, 참된 생명으로 인도하는 복음이라고 이해한다. 이는 영적인 체험과 밀접하게 관련된 성경연구를 통하여 실현될 수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종교개혁적 성경해석학의 성령론적 차원에 집중함으로써, 사변화된 학문적 신학을 거부한다.
      이와 같은 전제 위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새로운 신학적 체계가 아니라, 성경중심적 성령운동의 신학적 정당성을 부여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교회사적 전망 속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연구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이를 위한 대표적인 실례로서 세 명의 종교개혁자들(루터, 츠빙글리, 칼빈, 존 웨슬리, 하용조 목사)에 대하...

      본 논문은 교회사적 전망 속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연구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이를 위한 대표적인 실례로서 세 명의 종교개혁자들(루터, 츠빙글리, 칼빈, 존 웨슬리, 하용조 목사)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한국교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목회적 프로그램과 신학적 대안으로 등장한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자유주의신학의 극복과 성령운동의 성숙을 위하여 결정적으로 기여를 하고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성령론과 성경관을 핵심개념으로 강조하면서, 새로운‘생명’이해를 시도하고 있으며, 이는 성령의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성령운동의 콘텍스트 속에서 구상, 실천된 장로교회의 영적 부흥신학으로서, 성령의 도우심을 구하며, 성경의 핵심적 의미를 포괄적으로 파악하는 신학으로서, 참된 신학은 추상적 학문이 아니라, 참된 생명으로 인도하는 복음이라고 이해한다. 이는 영적인 체험과 밀접하게 관련된 성경연구를 통하여 실현될 수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종교개혁적 성경해석학의 성령론적 차원에 집중함으로써, 사변화된 학문적 신학을 거부한다.
      이와 같은 전제 위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새로운 신학적 체계가 아니라, 성경중심적 성령운동의 신학적 정당성을 부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존 웨슬리, "존 웨슬리, 나의 삶이 되다" 신앙과 지성사 2011

      2 장종현, "세상을 살리는 교회" 기독교연합신문사 2016

      3 하용조, "사도행전적 교회를 꿈꾼다" 두란노서원 2007

      4 장종현, "교회를 살리는 신학" 기독교연합신문사 2014

      5 민경배, "개혁주의생명신학과 기도성령운동" 백석정신아카데미 2019

      6 Martin Luther, "Martin Luther Werke, Kritische Gesamtausgabe, Weimarer Ausgabe, Bd. 18" Hermann Böhlaus Nachfolger 1908

      7 Johannes Calvin, "JOHANNIS CALVINI OPERA SELECTA" 1957

      8 Huldrych Zwingli, "Huldreich Zwinglis Sämtliche Werke" Verlag von M. Heinsius Nachfolger 1914

      9 Huldrych Zwingli, "Huldreich Zwinglis Sämtliche Werke" Verlag von C.A.Schwetschke und Sohn 1905

      1 존 웨슬리, "존 웨슬리, 나의 삶이 되다" 신앙과 지성사 2011

      2 장종현, "세상을 살리는 교회" 기독교연합신문사 2016

      3 하용조, "사도행전적 교회를 꿈꾼다" 두란노서원 2007

      4 장종현, "교회를 살리는 신학" 기독교연합신문사 2014

      5 민경배, "개혁주의생명신학과 기도성령운동" 백석정신아카데미 2019

      6 Martin Luther, "Martin Luther Werke, Kritische Gesamtausgabe, Weimarer Ausgabe, Bd. 18" Hermann Böhlaus Nachfolger 1908

      7 Johannes Calvin, "JOHANNIS CALVINI OPERA SELECTA" 1957

      8 Huldrych Zwingli, "Huldreich Zwinglis Sämtliche Werke" Verlag von M. Heinsius Nachfolger 1914

      9 Huldrych Zwingli, "Huldreich Zwinglis Sämtliche Werke" Verlag von C.A.Schwetschke und Sohn 19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