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계시 의존적 만남과 생명의 성경해석’을 위한 소고(小考): 요한일서 1:1-4, 베드로후서 1:19-21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ermeneutics of Koinonia with the Life of the Word as God’s Reve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94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risis of the church today is none other than that of the pulpit, and the crisis of the pulpit is mainly caused by that of the Bible interpretation. This article presumes that the preaching that makes the church alive must originate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that makes the preaching filled with the life of the Word first. 1 John 1:1-4 demonstrates, analogically, both preaching and interpreting of the Bible can be understood as two different yet consecutive forms and stages of the same Word-encounter and κοινωνια. The preaching context can be understood thus as an extended stage of the interpreter’s κοινωνια with the Word of life.
      Furthermore, the process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may not be capitalized by merely acquiring‘certain biblical concepts. ’Rather, the very process of interpreting the text should be that of‘encountering and experiencing the life of the Word’(vv.1-2). Similarly, the preaching cannot be a mechanical ‘application’ of the biblical concept or theory for life. Rather, both interpreting and preaching should be understood as ‘response’ to the text either interpreted or preached. It is in fact the life of the Word that is encountered and shared both by the interpreter and the preacher by means of their κοινωνια with the Word(esp. vv.3-4).
      The ‘hermeneutics of encounter and κοινωνια ’as suggested in this article lays its foundation on the text that teaches the Scriptures as God’s own revelation in 2 Pet. 19-20. Concerning the interpreting the Scriptures as God’s own revelation, the text suggests first that the Word of God is ‘the light’(v.19) as the interpreter interprets the text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n the text becomes the subject as well as the object of interpretation while the interpreter becomes object of interpretation as well as the subject of it. It is thus truly a process of encounter and κοινωνια. Second, the essence and the climax of the vision in the light of the Word is Jesus Christ himself, ‘the light-bringing star’(v.19; cf. Num 24:16; Rev 22:17). Lastly, the critical part of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text is to wait until(v.19) its meaning reveals itself to the interpreter subjectively and eschatologically as well.
      One of the integral parts of the ‘hermeneutics of encounter and κοινωνια’ must be the ‘divine character’ of the interpreter. Lacking the participation and growth of the interpreter himself in the divine character,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Scriptures can not and should not be complete. This is why 2 Peter presents the biblical method of biblical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as the key defense against the false teachers in his days. In addition, this also becomes the same reason for the churches in today fighting a fierce fight against the failing preachers who are empty without the life of the living Word.
      번역하기

      The crisis of the church today is none other than that of the pulpit, and the crisis of the pulpit is mainly caused by that of the Bible interpretation. This article presumes that the preaching that makes the church alive must originate from the inter...

      The crisis of the church today is none other than that of the pulpit, and the crisis of the pulpit is mainly caused by that of the Bible interpretation. This article presumes that the preaching that makes the church alive must originate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that makes the preaching filled with the life of the Word first. 1 John 1:1-4 demonstrates, analogically, both preaching and interpreting of the Bible can be understood as two different yet consecutive forms and stages of the same Word-encounter and κοινωνια. The preaching context can be understood thus as an extended stage of the interpreter’s κοινωνια with the Word of life.
      Furthermore, the process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may not be capitalized by merely acquiring‘certain biblical concepts. ’Rather, the very process of interpreting the text should be that of‘encountering and experiencing the life of the Word’(vv.1-2). Similarly, the preaching cannot be a mechanical ‘application’ of the biblical concept or theory for life. Rather, both interpreting and preaching should be understood as ‘response’ to the text either interpreted or preached. It is in fact the life of the Word that is encountered and shared both by the interpreter and the preacher by means of their κοινωνια with the Word(esp. vv.3-4).
      The ‘hermeneutics of encounter and κοινωνια ’as suggested in this article lays its foundation on the text that teaches the Scriptures as God’s own revelation in 2 Pet. 19-20. Concerning the interpreting the Scriptures as God’s own revelation, the text suggests first that the Word of God is ‘the light’(v.19) as the interpreter interprets the text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n the text becomes the subject as well as the object of interpretation while the interpreter becomes object of interpretation as well as the subject of it. It is thus truly a process of encounter and κοινωνια. Second, the essence and the climax of the vision in the light of the Word is Jesus Christ himself, ‘the light-bringing star’(v.19; cf. Num 24:16; Rev 22:17). Lastly, the critical part of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text is to wait until(v.19) its meaning reveals itself to the interpreter subjectively and eschatologically as well.
      One of the integral parts of the ‘hermeneutics of encounter and κοινωνια’ must be the ‘divine character’ of the interpreter. Lacking the participation and growth of the interpreter himself in the divine character,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Scriptures can not and should not be complete. This is why 2 Peter presents the biblical method of biblical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as the key defense against the false teachers in his days. In addition, this also becomes the same reason for the churches in today fighting a fierce fight against the failing preachers who are empty without the life of the living Wor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교회의 위기는 설교의 위기이고, 설교의 위기는 성경 해석의 위기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교회를 살리는 생명력 있는 설교는 생명력 있는 성경해석에서 비롯되어야 함을 전제한다. 어떻게 생명력 있는 성경해석이 생명력 있는 설교의 근거가 될 수 있는가? 요한일서 1장 1-4절은 유비적으로, ‘전달’로서의 설교나 ‘말씀의 생명을 경험’하는 것으로서의 성경해석이, 모두 ‘만남과 사귐’의 다른 형태들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해석의 단계에서 말씀의 생명을 만나고 사귄 해석자가, 설교의 단계에서 역시 청중과 그 말씀의 생명을 만나고 사귀게 하는 일은 오히려 자연스런 ‘코이노니아’(koinwni,a)의 확장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성경해석은 단지 ‘주지주의적’(主知主義的)으로 본문을, 역사적, 문법적, 문학적으로 분석하여 어떤 ‘성경적 개념’(a biblical concept)을 얻어내는 과정이 아니라, 이러한 지성적 분석을 포함하면서도 본질적으로는 말씀의 생명(life of the Word)과의 만남과 사귐의 과정이어야 하는 것이다. 유사하게, 설교는 해석을 통해 찾아낸 ‘성경적 개념’을 성령께서 해석자와 청중에게 ‘적용’하는 과정이라기보다, 해석의 단계에서부터 해석자가 성령을 통하여 그 말씀의 생명에‘응답’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어떤 이론이 있고 그 이론을 실천에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말씀의 생명을 경험하고 이에 응답하면서 자연스럽게 나눔으로 이어지는 과정인 것이다.
      이러한 ‘만남과 사귐의 해석학’은, 성경을 하나님의 계시로 받아들이는 성경적인 해석학을 가르치는 베드로후서 1:19-20에서 더욱 확실한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첫째, 성경을 계시로 받아들인다면, 성경 해석에 있어서 말씀이 ‘빛’이고 해석자가 ‘어둠’이라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이렇게 할 때, 해석의 주체인 해석자는 주체이면서 동시에 해석의 대상이 된다. 동시에 해석에 있어서 말씀은 객체이면서 사실상의 주체이다. 둘째, 말씀이 빛이고 해석자가 어둠이라면, 그 빛의 절정은 ‘새벽 별’인 예수 그리스도이며, 해석자는 말씀의 생명이신 예수 그리스도에게 확연히 이를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셋째로 그 해석학적 기다림 속에서 해석자 자신이 말씀의 빛과 생명에 의해 신적 성품에 참여하게 되기 때문이다.
      베드로후서는 이러한 ‘계시 의존적 만남과 생명의 해석학’을 거짓교사들의 거짓 가르침을 이겨낼 수 있는 성경적 해법으로 제시한다. 오늘날 생명력을 잃어가는 강단을 위해서, 해석자 자신이 해석의 과정을 통해 말씀의 빛과 생명에 의해 자신의 전인격이 신적 성품에 참여하여 변화되는 일이 필요하다. 이렇게 될 때 그의 설교 또한, 청중을 계시의 빛 아래 세워 말씀의 생명을 만나고 경험하게 하는 사귐의 사건이 되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교회의 위기는 설교의 위기이고, 설교의 위기는 성경 해석의 위기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교회를 살리는 생명력 있는 설교는 생명력 있는 성경해석에서 비롯되어야 함을 전제한다. 어떻게 ...

      교회의 위기는 설교의 위기이고, 설교의 위기는 성경 해석의 위기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교회를 살리는 생명력 있는 설교는 생명력 있는 성경해석에서 비롯되어야 함을 전제한다. 어떻게 생명력 있는 성경해석이 생명력 있는 설교의 근거가 될 수 있는가? 요한일서 1장 1-4절은 유비적으로, ‘전달’로서의 설교나 ‘말씀의 생명을 경험’하는 것으로서의 성경해석이, 모두 ‘만남과 사귐’의 다른 형태들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해석의 단계에서 말씀의 생명을 만나고 사귄 해석자가, 설교의 단계에서 역시 청중과 그 말씀의 생명을 만나고 사귀게 하는 일은 오히려 자연스런 ‘코이노니아’(koinwni,a)의 확장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성경해석은 단지 ‘주지주의적’(主知主義的)으로 본문을, 역사적, 문법적, 문학적으로 분석하여 어떤 ‘성경적 개념’(a biblical concept)을 얻어내는 과정이 아니라, 이러한 지성적 분석을 포함하면서도 본질적으로는 말씀의 생명(life of the Word)과의 만남과 사귐의 과정이어야 하는 것이다. 유사하게, 설교는 해석을 통해 찾아낸 ‘성경적 개념’을 성령께서 해석자와 청중에게 ‘적용’하는 과정이라기보다, 해석의 단계에서부터 해석자가 성령을 통하여 그 말씀의 생명에‘응답’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어떤 이론이 있고 그 이론을 실천에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말씀의 생명을 경험하고 이에 응답하면서 자연스럽게 나눔으로 이어지는 과정인 것이다.
      이러한 ‘만남과 사귐의 해석학’은, 성경을 하나님의 계시로 받아들이는 성경적인 해석학을 가르치는 베드로후서 1:19-20에서 더욱 확실한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첫째, 성경을 계시로 받아들인다면, 성경 해석에 있어서 말씀이 ‘빛’이고 해석자가 ‘어둠’이라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이렇게 할 때, 해석의 주체인 해석자는 주체이면서 동시에 해석의 대상이 된다. 동시에 해석에 있어서 말씀은 객체이면서 사실상의 주체이다. 둘째, 말씀이 빛이고 해석자가 어둠이라면, 그 빛의 절정은 ‘새벽 별’인 예수 그리스도이며, 해석자는 말씀의 생명이신 예수 그리스도에게 확연히 이를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셋째로 그 해석학적 기다림 속에서 해석자 자신이 말씀의 빛과 생명에 의해 신적 성품에 참여하게 되기 때문이다.
      베드로후서는 이러한 ‘계시 의존적 만남과 생명의 해석학’을 거짓교사들의 거짓 가르침을 이겨낼 수 있는 성경적 해법으로 제시한다. 오늘날 생명력을 잃어가는 강단을 위해서, 해석자 자신이 해석의 과정을 통해 말씀의 빛과 생명에 의해 자신의 전인격이 신적 성품에 참여하여 변화되는 일이 필요하다. 이렇게 될 때 그의 설교 또한, 청중을 계시의 빛 아래 세워 말씀의 생명을 만나고 경험하게 하는 사귐의 사건이 되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민, "해석학적 설교학" 대한기독교서회 2007

      2 Brown, Raymond E, "요한서신" 기독교문서선교회 2017

      3 Bauckham, Richard J, "예수와 그 목격자들" 새물결플러스 2015

      4 Maier, Gerhard, "역사 비평학의 종말" 여수룬 1986

      5 박찬호, "신학에서 기도의 위치에 대한 고찰" 개혁주의생명신학회 14 : 39-61, 2016

      6 채영삼, "신학(神學)과 ‘신적 성품(性品)’: 베드로후서 1:1-11에 따른 신학의 의미" 한국복음주의신학회 62 : 253-296, 2012

      7 Vos, Geerhardus, "성경신학" CLC 2000

      8 Newbigin, Lesslie,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IVP 1998

      9 채영삼, "공동서신의 신학" 이레서원 2017

      10 이홍찬, "개혁주의 설교학: 성경신학적 설교의 원리와 실제" 한국학술정보 2007

      1 이성민, "해석학적 설교학" 대한기독교서회 2007

      2 Brown, Raymond E, "요한서신" 기독교문서선교회 2017

      3 Bauckham, Richard J, "예수와 그 목격자들" 새물결플러스 2015

      4 Maier, Gerhard, "역사 비평학의 종말" 여수룬 1986

      5 박찬호, "신학에서 기도의 위치에 대한 고찰" 개혁주의생명신학회 14 : 39-61, 2016

      6 채영삼, "신학(神學)과 ‘신적 성품(性品)’: 베드로후서 1:1-11에 따른 신학의 의미" 한국복음주의신학회 62 : 253-296, 2012

      7 Vos, Geerhardus, "성경신학" CLC 2000

      8 Newbigin, Lesslie,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IVP 1998

      9 채영삼, "공동서신의 신학" 이레서원 2017

      10 이홍찬, "개혁주의 설교학: 성경신학적 설교의 원리와 실제" 한국학술정보 2007

      11 장종현, "개혁주의 생명신학" 백석대학교대학원 2019

      12 이우제, "강해와 설교: 현대 설교의 한계를 극복하는 Sidney G reidanus의‘구속사적 강해설교’의 대안점과 보완점 모색을 중심으로" 19-41, 2018

      13 김덕수, "강해설교 중심 학교로의 전환을 위한 합의적 모색을 위하여" 40-49, 2017

      14 채영삼, "‘너희 마음에 떠오르기까지’: 베드로후서 1:19에 나타난 ‘기다림’의 해석학(解釋學)"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10 (10): 689-730, 2011

      15 Harvey Robert, "Towner. 2 Peter & Jude" IVP Press 2009

      16 Strecker, Georg, "The Johannine Letters" Fortress Press 1996

      17 Bock, Darrell L, "Luke: 9:51-24:53. BECNT" Baker Academic 1996

      18 Bauckham, Richard J, "Jude, 2 Peter" Word 1983

      19 Green, Gene L, "Jude and 2 Peter" Baker Academie 2008

      20 Andreas J. Köstenberg, "John. BECNT" Baker Academic 2004

      21 Callan, Terrance, "A Note on 2 Peter 1:19-20" 25 (25): 143-150, 2006

      22 Yarbrough, Robert W, "1-3 John. BECNT" Baker Academic 2008

      23 Smalley, Stephen, "1, 2, 3 John. WBC 51" Word 1984

      24 Donaldson, Lewis R, "1 & II Peter and Jude" Westminster John Knox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