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 ‘사산비명’의 유통과 호남사상계의 동향 = The Distribution of 'Sasanbimye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Trends of Honam Thought Related to I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095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Honam Buddhist community extracted CHOI Chi-won's epitaphs from his literary collection and woven them into ‘Sasanbimyeong’. This was not irrelevant to the tendency to build pagoda monuments everywhere to emphas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disciples along with monks who entered the temple while placing importance on the world of Buddhism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owever, the Hwaeom(Huayan sutra) Buddhist community devoted their heart to the compilation and dissemination of ‘Sasanbimyeong’ centered on Hwaeomsa Temple, which succeeded Haeinsa Temple's buddhist doctrine.
      Most of the interpretations and footnotes of ‘Sasanbimyeong’ tended to arrange the epitaph of Jingam and Jijeung with Nanghye in front. However, depending on when the epitaphs were completed, Monk Seokjeon Jeongho used to list Monk Jingam, Monk Nanghye, and Monk Jijeung.
      The interpretation and footnotes of the ‘Sasanbimyeong’ were generally given to Monk Junggwan Haean, Monk Mongam Kiyoung, Confucian scholar Hong Gyeong-mo, Monk Beomhae Gakan, and Monk Seokjeon Jeongho.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Monk Junggwan Haean stayed at Hwaeomsa Temple and established himself as the Great master of the Hwaeom. At that time, Monk Byeokam Gakseong was involved in various works on Hwaeomsa Temple. Naturally, the Hwaeom Buddhist community in the Honam region tended to value the ‘Sasanbimyeong’ chosen by Monk Junggwan Haean, and the ‘Sasanbimyeo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onam Buddhist community, focusing on Hwaeomsa Temple, Jinggwangsa Temple.
      Since then, the Buddhist Monk Baekpa Geungseon has passed it down to the center of Guamsa Temple in Sunchang. Naturally, Monk Seokjeon Jeongho wanted to continue the Honam Buddhist tradition by inherit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Sasanbimyeong’ and a footnote.
      번역하기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Honam Buddhist community extracted CHOI Chi-won's epitaphs from his literary collection and woven them into ‘Sasanbimyeong’. This was not irrelevant to the tendency to build pagoda monuments everywhere to emphasize ...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Honam Buddhist community extracted CHOI Chi-won's epitaphs from his literary collection and woven them into ‘Sasanbimyeong’. This was not irrelevant to the tendency to build pagoda monuments everywhere to emphas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disciples along with monks who entered the temple while placing importance on the world of Buddhism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owever, the Hwaeom(Huayan sutra) Buddhist community devoted their heart to the compilation and dissemination of ‘Sasanbimyeong’ centered on Hwaeomsa Temple, which succeeded Haeinsa Temple's buddhist doctrine.
      Most of the interpretations and footnotes of ‘Sasanbimyeong’ tended to arrange the epitaph of Jingam and Jijeung with Nanghye in front. However, depending on when the epitaphs were completed, Monk Seokjeon Jeongho used to list Monk Jingam, Monk Nanghye, and Monk Jijeung.
      The interpretation and footnotes of the ‘Sasanbimyeong’ were generally given to Monk Junggwan Haean, Monk Mongam Kiyoung, Confucian scholar Hong Gyeong-mo, Monk Beomhae Gakan, and Monk Seokjeon Jeongho.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Monk Junggwan Haean stayed at Hwaeomsa Temple and established himself as the Great master of the Hwaeom. At that time, Monk Byeokam Gakseong was involved in various works on Hwaeomsa Temple. Naturally, the Hwaeom Buddhist community in the Honam region tended to value the ‘Sasanbimyeong’ chosen by Monk Junggwan Haean, and the ‘Sasanbimyeo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onam Buddhist community, focusing on Hwaeomsa Temple, Jinggwangsa Temple.
      Since then, the Buddhist Monk Baekpa Geungseon has passed it down to the center of Guamsa Temple in Sunchang. Naturally, Monk Seokjeon Jeongho wanted to continue the Honam Buddhist tradition by inherit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Sasanbimyeong’ and a footno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후기 호남 불교계는 최치원이 찬술한 비명을 그의 문집에서 발췌하여 ‘사산비명’으로 엮었다. ‘사산비명’의 주해본은 주로 낭혜의 비명을 제일 앞에 두고 진감의 비명과 지증의 비명을 배열하였다. 하지만 근래에 이르러 석전정호는 비명의 찬술 시기에 따라 진감, 낭혜, 지증의 비명을 순서대로 엮기도 하였다.
      ‘사산비명’의 주해본은 중관해안, 몽암기영, 홍경모, 범해각안, 석전정호 등이 만들었다. 임란 이후 중관해안은 화엄사에 주석하면서 대화엄종주로 자리하였는데, 당시 벽암각성은 화엄사와 연고를 가지고 활동하였다. 자연히 호남의 화엄불교계에서는 중관해안이 가려 뽑은 ‘사산비명’을 중시하는 경향을 가졌고, ‘사산비명’은 화엄사뿐만 아니라 대흥사, 징광사, 송광사, 선암사 등을 중심으로 호남 불교계에도 제법 영향을 미쳤다. 특히 백파긍선이 머문 순창 구암사를 중심으로도 계승되었고, 석전정호가 ‘사산비명’ 주해본을 대체로 계승하며 호남 불교계의 전통을 이어나가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조선 후기 호남 불교계는 최치원이 찬술한 비명을 그의 문집에서 발췌하여 ‘사산비명’으로 엮었다. ‘사산비명’의 주해본은 주로 낭혜의 비명을 제일 앞에 두고 진감의 비명과 지증의 ...

      조선 후기 호남 불교계는 최치원이 찬술한 비명을 그의 문집에서 발췌하여 ‘사산비명’으로 엮었다. ‘사산비명’의 주해본은 주로 낭혜의 비명을 제일 앞에 두고 진감의 비명과 지증의 비명을 배열하였다. 하지만 근래에 이르러 석전정호는 비명의 찬술 시기에 따라 진감, 낭혜, 지증의 비명을 순서대로 엮기도 하였다.
      ‘사산비명’의 주해본은 중관해안, 몽암기영, 홍경모, 범해각안, 석전정호 등이 만들었다. 임란 이후 중관해안은 화엄사에 주석하면서 대화엄종주로 자리하였는데, 당시 벽암각성은 화엄사와 연고를 가지고 활동하였다. 자연히 호남의 화엄불교계에서는 중관해안이 가려 뽑은 ‘사산비명’을 중시하는 경향을 가졌고, ‘사산비명’은 화엄사뿐만 아니라 대흥사, 징광사, 송광사, 선암사 등을 중심으로 호남 불교계에도 제법 영향을 미쳤다. 특히 백파긍선이 머문 순창 구암사를 중심으로도 계승되었고, 석전정호가 ‘사산비명’ 주해본을 대체로 계승하며 호남 불교계의 전통을 이어나가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郭丞勳, "최치원의 중국사 탐구와 사산비명 찬술" 韓國史學 2005

      2 張日圭, "최치원의 사회사상 연구" 신서원 2008

      3 劉永奉, "서산대사가 조선 중기 불교계에 불러 일으킨 ‘최치원 바람’" 12 : 2005

      4 "韓國金石全文"

      5 張日圭, "韓國史學史硏究, 于松趙東杰先生停年紀念論叢Ⅰ" 나남출판 1997

      6 "雪巖雜著"

      7 "詠月堂大師文集"

      8 崔英成, "註解 四山碑銘" 亞細亞文化社 1987

      9 "西域中華海東佛祖源流"

      10 "蒙庵大師文集"

      1 郭丞勳, "최치원의 중국사 탐구와 사산비명 찬술" 韓國史學 2005

      2 張日圭, "최치원의 사회사상 연구" 신서원 2008

      3 劉永奉, "서산대사가 조선 중기 불교계에 불러 일으킨 ‘최치원 바람’" 12 : 2005

      4 "韓國金石全文"

      5 張日圭, "韓國史學史硏究, 于松趙東杰先生停年紀念論叢Ⅰ" 나남출판 1997

      6 "雪巖雜著"

      7 "詠月堂大師文集"

      8 崔英成, "註解 四山碑銘" 亞細亞文化社 1987

      9 "西域中華海東佛祖源流"

      10 "蒙庵大師文集"

      11 "石顚文鈔"

      12 "海東金石苑"

      13 "樊巖集"

      14 "梅山集"

      15 "枕肱集"

      16 "東師列傳"

      17 "東國李相國集"

      18 "朝鮮金石總覽"

      19 淨光, "智證大師碑銘小考" 경서원 1987

      20 李佑成, "新羅四山碑銘" 亞細亞文化社 1995

      21 박남수, "新羅 崇福寺碑 板本의 갈래와 崔致遠의 割註" 신라사학회 (27) : 233-265, 2013

      22 尹善泰, "新羅 ‘崇福寺碑’의 復元-結・苫의 細註와 관련하여" 16 : 2000

      23 "新續高僧傳四集"

      24 "新唐書"

      25 金文基, "崔致遠의 四山碑銘 硏究-實態調査와 內容 및 文體分析을 中心으로" 15 : 1987

      26 최영성, "崔致遠 연구의 史的 系統과 호남 지방" 한국철학사연구회 (18) : 457-483, 2006

      27 趙仁成, "崔致遠 撰述 碑銘의 註釋에 대한 一考" 11 : 1994

      28 金知見, "四山碑銘 集註를 위한 研究" 韓國精神文化研究院 1994

      29 "五洲衍文長箋散稿"

      30 "中觀大師遺稿"

      31 "三國遺事"

      32 崔英成, "『譯註 崔致遠全集』 ① 四山碑銘" 아세아문화사 1998

      33 劉永奉, "「四山碑銘」 硏究"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