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 성장 신화의 서사적 변주 -최근 여성 성장소설에 대한 비판적 재고- = An Essay on the Narrative Variations of the Mythology about the Female 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828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ildungsroman is the narrative about the one's development of personality. A boy can obtain his social roles by initiation to the existing community. Then he undergoes a mythic chaotic disorder, but accomplishes the self-identity in the end. However, the cases of girls are quite different.
      In short, the women's developments cannot be achieved. The concept of self-identity or self-formation is originated from the patriarchal ideologies. And the Bildungsroman is applied to the formation of the hero only. The heroine is not a subject liable for her social status. Consequently, the female Bildungsroman essentially would not be possible.
      The novels considered to describe the theme of female developments may be corresponded to mythic narratives. Some contemporary Korean feminist novels could be understood as those instances. The mythology about female formations has been transformed to the variable narratives relative to the myths of anti-development.
      Nevertheless, the qualities of the outcomes may be unattainable to the quantities of those. The substantial reconsiderations would be required to the arguments on the female Bildungsroman.
      번역하기

      Bildungsroman is the narrative about the one's development of personality. A boy can obtain his social roles by initiation to the existing community. Then he undergoes a mythic chaotic disorder, but accomplishes the self-identity in the end. However, ...

      Bildungsroman is the narrative about the one's development of personality. A boy can obtain his social roles by initiation to the existing community. Then he undergoes a mythic chaotic disorder, but accomplishes the self-identity in the end. However, the cases of girls are quite different.
      In short, the women's developments cannot be achieved. The concept of self-identity or self-formation is originated from the patriarchal ideologies. And the Bildungsroman is applied to the formation of the hero only. The heroine is not a subject liable for her social status. Consequently, the female Bildungsroman essentially would not be possible.
      The novels considered to describe the theme of female developments may be corresponded to mythic narratives. Some contemporary Korean feminist novels could be understood as those instances. The mythology about female formations has been transformed to the variable narratives relative to the myths of anti-development.
      Nevertheless, the qualities of the outcomes may be unattainable to the quantities of those. The substantial reconsiderations would be required to the arguments on the female Bildungsrom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성장'이라는 신화
      • Ⅲ. 반성장의 신화
      • Ⅳ. 성애에 관한 환상, 또 하나의 신화
      • Ⅴ. 지평
      • Ⅰ. 서론
      • Ⅱ. '성장'이라는 신화
      • Ⅲ. 반성장의 신화
      • Ⅳ. 성애에 관한 환상, 또 하나의 신화
      • Ⅴ. 지평
      • 참 고 문 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소설의 유형" 솔 1997

      2 "한국 현대 성장소설 연구" 서울여대 대학원 2000

      3 "페미니즘과 우리 시대의 성담론" 새미 1998

      4 "페미니즘 문학비평" 프레스21 2000

      5 "페미니즘 문학 이론" 인간사랑 1998

      6 "제2의 성 (상/하)" 을유문화사 1999

      7 문학숙, "인문연구 제15집 2호 영남대 인문과학연구소" 1994

      8 "여성 성장소설의 방향성 고찰" 현대소설연구회 (3) : 1995.12.

      9 "여성 성장소설로 본 Persuasion" 영남대 인문과학연구소 제17집 (제17집): 1996.2

      10 "성장소설이란 무엇인가" 청예원 1999

      1 "현대소설의 유형" 솔 1997

      2 "한국 현대 성장소설 연구" 서울여대 대학원 2000

      3 "페미니즘과 우리 시대의 성담론" 새미 1998

      4 "페미니즘 문학비평" 프레스21 2000

      5 "페미니즘 문학 이론" 인간사랑 1998

      6 "제2의 성 (상/하)" 을유문화사 1999

      7 문학숙, "인문연구 제15집 2호 영남대 인문과학연구소" 1994

      8 "여성 성장소설의 방향성 고찰" 현대소설연구회 (3) : 1995.12.

      9 "여성 성장소설로 본 Persuasion" 영남대 인문과학연구소 제17집 (제17집): 1996.2

      10 "성장소설이란 무엇인가" 청예원 1999

      11 "성별화된 사회에서의 ‘성장’: 플로스 강의 물방앗간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 2002

      12 "Unbecoming Women; British Women Writers and the Novel of Development" 1994

      13 "Julia 외" 페미니즘과 문학 문예출판사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