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학급 특수교사의 전환교육계획 실행수준 = Execution level of Transition Education Plan of Teachers of Special Classes in junior high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185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ecution level of transition education plan of teachers of special classes in middle school by detailed analysis on the execution level of transition education which is precondition to perform effective transition education. For the purpose, selected 160 classes from general middle school, 160 classes from high school, 160 classes from middle course and 160 classes from high school course of special school to perform t-test and F test after surveying preparation level and execution level for the transition education.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paration level and execution leve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xecution level of teachers in special classes is more than average and the preparation level is higher than the execution level. Also, there is high correlation between preparation level and execution level.
      Secon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teachers, teachers of special classes in high school showed higher preparation level than male teachers, professional teachers, teachers with lots of experience of training and class teachers in general middle school and teachers of special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 showed higher execution level than male teachers, professional teachers and class teachers in general middle schoo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ecution level of transition education plan of teachers of special classes in middle school by detailed analysis on the execution level of transition education which is precondition to perform eff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ecution level of transition education plan of teachers of special classes in middle school by detailed analysis on the execution level of transition education which is precondition to perform effective transition education. For the purpose, selected 160 classes from general middle school, 160 classes from high school, 160 classes from middle course and 160 classes from high school course of special school to perform t-test and F test after surveying preparation level and execution level for the transition education.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paration level and execution leve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xecution level of teachers in special classes is more than average and the preparation level is higher than the execution level. Also, there is high correlation between preparation level and execution level.
      Secon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teachers, teachers of special classes in high school showed higher preparation level than male teachers, professional teachers, teachers with lots of experience of training and class teachers in general middle school and teachers of special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 showed higher execution level than male teachers, professional teachers and class teachers in general middle scho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전환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전제가 되는 전환교육계획에 대한 중등부 특수학급 교사의 실행수준을 성별, 경력, 자격, 급별, 연수경험, 최종학력 별로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중등부 특수학급 교사들의 전환교육계획 실행수준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전국 일반학교 중학교 특수학급 160학급, 고등학교 특수학급 160학급, 특수학교 중학교 160학급, 고등학교 160학급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전환교육계획 실천사항에 대한 준비도와 수행도를 조사 후 t검증 및 F검증을 실시하고, 준비도와 수행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담임교사들의 전환교육계획 실천사항에 대한 수행도는 보통이상의 수준이고, 준비도는 수행도에 비해 높다. 또한 준비도와 수행도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 둘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남교사, 직업교사, 연수경험이 많은 교사, 일반중학교 담임교사에 비해 특수학교 고등학교 담임교사의 준비도 수준이 높고, 남교사, 직업교사, 일반중학교 담임교사에 비해 특수학교 중학교와 고등학교 담임교사의 수행도 수준이 높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전환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전제가 되는 전환교육계획에 대한 중등부 특수학급 교사의 실행수준을 성별, 경력, 자격, 급별, 연수경험, 최종학력 별로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이 연구는 전환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전제가 되는 전환교육계획에 대한 중등부 특수학급 교사의 실행수준을 성별, 경력, 자격, 급별, 연수경험, 최종학력 별로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중등부 특수학급 교사들의 전환교육계획 실행수준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전국 일반학교 중학교 특수학급 160학급, 고등학교 특수학급 160학급, 특수학교 중학교 160학급, 고등학교 160학급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전환교육계획 실천사항에 대한 준비도와 수행도를 조사 후 t검증 및 F검증을 실시하고, 준비도와 수행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담임교사들의 전환교육계획 실천사항에 대한 수행도는 보통이상의 수준이고, 준비도는 수행도에 비해 높다. 또한 준비도와 수행도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 둘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남교사, 직업교사, 연수경험이 많은 교사, 일반중학교 담임교사에 비해 특수학교 고등학교 담임교사의 준비도 수준이 높고, 남교사, 직업교사, 일반중학교 담임교사에 비해 특수학교 중학교와 고등학교 담임교사의 수행도 수준이 높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희찬, "한국 장애학생 전환교육의 실제와 과제" 179-197, 2000

      2 박정식, "특수학교 전환교육 실행수준과 촉진방안"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3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백서" 2010

      4 윤태성, "충남 중등 특수학급 전환교육 실태 및 개선방향"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8

      5 조인수, "지적장애학생 전환교육의 이슈와 실행과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36, 2012

      6 손연경, "지적장애학교 개별화전환교육계획 실행실태"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김희영,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전환교육 인식과 실행실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8 김주영, "중등 특수학급 운영 개선 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01

      9 조분래,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환교육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기준 개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10 이은정, "정서·행동장애아동과 자폐성장애아동의 전환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1 박희찬, "한국 장애학생 전환교육의 실제와 과제" 179-197, 2000

      2 박정식, "특수학교 전환교육 실행수준과 촉진방안"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3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백서" 2010

      4 윤태성, "충남 중등 특수학급 전환교육 실태 및 개선방향"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8

      5 조인수, "지적장애학생 전환교육의 이슈와 실행과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36, 2012

      6 손연경, "지적장애학교 개별화전환교육계획 실행실태"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김희영,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전환교육 인식과 실행실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8 김주영, "중등 특수학급 운영 개선 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01

      9 조분래,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환교육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기준 개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10 이은정, "정서·행동장애아동과 자폐성장애아동의 전환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11 송정선, "전환사정 실천사항에 대한 교사인식수준과 기준개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8

      12 조인수, "전환사정"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9

      13 박석돈, "전환교육의 계획 및 실시에 관한 고찰" 22 (22): 27-38, 2004

      14 유애란, "전환교육에 필요한 교사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9 : 99-109, 1999

      15 조인수, "전환교육 실행과정에 따른 실천적 과제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97-122, 2011

      16 조인수, "전환교육"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5

      17 박미화, "전환 교육 모형 개발을 위한 지체 부자유 학교 교사 지각 및 요구 수준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18 이태훈, "시각장애학교 교사와 학생, 전문가의 전환교육에 대한 인식수준과 촉진방안"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19 조인수, "독특한 교육적 지원요구학생을 위한 개별화 전환교육계획 실행방략"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89-121, 2010

      20 박용원, "고등부 특수학급교사의 전환교육과정 및 실행에 관한 인식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1 박은희, "결과중심전환교육 최상의 실천사항에 대한 교사의 인식 수준과 실행과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22 Benitez, D. T., "Transition service and delivery: a multi-state stud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transition competencies" University of Kansas 2005

      23 Sitlington, P. L.,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earson Education Inc 2006

      24 Sitlington, P. L.,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llyn & Bacon 2000

      25 Nuehring, M. L., "Transition as a vehicle: Moving from high school to an adult vocational service procider" 14 (14): 23-35, 2003

      26 deFur, S. H., "Transition and School-Based Services: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for enhancing the Transition Process" PRO-ED 1990

      27 Shogren, K., "Transition Planning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utism, or Other Disabilities: Data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Transition Study-2" 50 : 16-30, 2012

      28 Miller, R. J., "Transition Assessment Planning Transition and IEP Development for Youth with Mild to Moderate Disabilities" Pearson Education, Inc. 2007

      29 Ryan, O. K., "Tip for transition" (Now) : 60-68, 2010

      30 Wolfe, P. S., "Regular and special educators’ perceptions of transition competencies" 21 (21): 87-106, 1998

      31 Kraemer, B., "Quality of life for young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during transition" 41 : 250-262, 2003

      32 Baker, V. C., "Preparing transition specialists: Competencies from thirteen program" Arkansas Univ., Little Rock.: Office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ve Services 1998

      33 Miller, R. J., "Perparing for adult life: Teaching students their right and responsibilities" 1 (1): 12-, 1994

      34 Powers, K., "Mandates and effective transition planning practices reflected in ITPs" 28 : 47-59, 2005

      35 Cronin, M. E., "Life skills instruction for all students with special need: A practical guide for integrating real-life content into the curriculum" Pro-Ed 1993

      36 Wehman, P., "Life beyond the classroom: Transition strategies for young people with disablities" Paul Brookes 2004

      37 Wehman, P., "Life beyond the classroom" Paul H. Brookes 1996

      38 Cater, E., "Job performance of transition-age youth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69 : 449-465, 2003

      39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of 2004"

      40 Wehman, P., "Individual transition plans: The teacher's curriculum guide for helping youth with special needs" Pro-Ed 1995

      41 Steere, D., "Generic practices to enhance transition to adult life for students with diverse disabilities" 10 : 143-153, 1996

      42 Wehman, P., "Developing transition plans" Pro-Ed 1998

      43 deFur, S. H., "Competencies needed for transition specialist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vocation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62 : 38-51, 1995

      44 Rojewski, J., "Career assessment for adolescents with mild disabilities: Critical concerns for transition planning" 25 : 73-95, 2002

      45 Sitlington, P. L., "Assess for success: Handbook on transition assessment"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1996

      46 Grigal, M., "An evaluation of transition component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63 : 357-372,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