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까지 5차례 실시된 중등학교 환경과 교사 임용시험의 경우 2차례(2000학년도 및 2001학년도)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주관하고, 이후의 3차례(2002학년도, 2003학년도 및 2004학년도)는 한국교육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까지 5차례 실시된 중등학교 환경과 교사 임용시험의 경우 2차례(2000학년도 및 2001학년도)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주관하고, 이후의 3차례(2002학년도, 2003학년도 및 2004학년도)는 한국교육과...
현재까지 5차례 실시된 중등학교 환경과 교사 임용시험의 경우 2차례(2000학년도 및 2001학년도)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주관하고, 이후의 3차례(2002학년도, 2003학년도 및 2004학년도)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주관함으로써 출제원칙과 출제진 구성 및 출제경향이 심하게 변화함으로서 교원양성대학교의 환경교육과 및 관련 교직과정의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혼선을 빚은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환경과 교사 임용시험의 표준화 방안과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 신뢰성 및 현실적합성을 검증받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통해 환경과 교사 임용과 직결되는 중등학교 교원정책의 문제와 원인 및 대책을 분석하였다.
둘째, 문헌연구와 조사연구 및 전문가 협의회와 워크숍 등을 통해서 환경 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을 정리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중등학교 환경과 교사 임용시험에서 평가해야 할 능력의 범주와 요소를 추출하였다.
셋째, 중등학교 환경과 교사양성대학교의 교육과정과 제7차 환경과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여 중등학교 환경과 교사 임용시험 문제 출제의 원칙을 설정하였다.
넷째, 1999년도부터 2003년도에 걸쳐 5차례(1999년 12월, 2000년 12월, 2001년12월, 2002년 12월, 2003년 12월) 시행된 중등학교 환경과 교사 임용시험의 모집 규모와 응시 현황 및 합격 현황, 시험 문제의 출제 원칙과 준거 및 문항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다섯째, 이상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하여 중등학교 환경과 교사임용시험의 표준화 방안과 발전 방안을 개발하였고, 환경교육과 교수, 교사교육 전문가, 환경교육 전문가, 중등학교 환경과 교사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자문단으로부터 표준화 방안과 발전 방안의 타당성과 신뢰성 및 현실 적합성을 검증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 중등학교 환경과 교사임용시험의 표준화 방안과 발전 방안이 제시됨으로써 중등학교 환경과 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의 표준화 및 질 제고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환경교육의 전문성을 갖춘 질적으로 우수한 교사를 타당하고 신뢰롭게 선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