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교회 사회복지를 위한 근간으로서 누가의 '나눔' 모티프에 대한 연구 = The Lukan 'Sharing' motif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for christian church's social welfa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438024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강남대학교 실천신학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강남대학교 실천신학대학원 , 복지선교 , 2011. 2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72 p. ; 26cm

      • 소장기관
        • 강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sis that local churches have to perform social responsibilities in the local community to fulfill their reason of existence, which is of salvation.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Biblical teachings and its actual requests on sharing found in the Old and New Testaments to verify that sharing in general social welfare had already been initiated in Biblical times. In the third chapter, the sharing motif is discussed as the roots of social welfare of the Church, with emphasis on the Gospel of Luke.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achings of Jesus on sharing, the issue of wealth and poverty, one of the major topics of Luke, is discussed, followed by Jesus’ view of property and the meaning of wealth and poverty in the Gospel of Luke. Finally, the true meaning of sharing proclaimed in the Gospel of Luke is discussed. The fourth chapter suggests why the modern Church shall practice social welfare by sharing and discusses how each individual and the Church shall practice sharing in everyday life and through Church activities.
      The Gospel of Luke denote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of practicing social welfare: that the true meaning of sharing is not just about material aid but comes from the love of life and soul. Jesus’ teachings on sharing are clear. Jesus is negative about wealth and property, but he clearly emphasizes that one can be a true neighbor of the local community and his true disciple when one renounces their wealth and shares it with the poor.
      In this study, ‘sharing’ is God’s command that all local churches shall practice and the expression of neighborly love. Also, the Church’s social welfare in the local community is the ministry of faith and the ministry of the Holy Spirit. Sharing is God’s will that is constantly demanded from those who follow Jesus Christ.
      번역하기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sis that local churches have to perform social responsibilities in the local community to fulfill their reason of existence, which is of salvation.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Biblical teachings and its actual requ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sis that local churches have to perform social responsibilities in the local community to fulfill their reason of existence, which is of salvation.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Biblical teachings and its actual requests on sharing found in the Old and New Testaments to verify that sharing in general social welfare had already been initiated in Biblical times. In the third chapter, the sharing motif is discussed as the roots of social welfare of the Church, with emphasis on the Gospel of Luke.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achings of Jesus on sharing, the issue of wealth and poverty, one of the major topics of Luke, is discussed, followed by Jesus’ view of property and the meaning of wealth and poverty in the Gospel of Luke. Finally, the true meaning of sharing proclaimed in the Gospel of Luke is discussed. The fourth chapter suggests why the modern Church shall practice social welfare by sharing and discusses how each individual and the Church shall practice sharing in everyday life and through Church activities.
      The Gospel of Luke denote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of practicing social welfare: that the true meaning of sharing is not just about material aid but comes from the love of life and soul. Jesus’ teachings on sharing are clear. Jesus is negative about wealth and property, but he clearly emphasizes that one can be a true neighbor of the local community and his true disciple when one renounces their wealth and shares it with the poor.
      In this study, ‘sharing’ is God’s command that all local churches shall practice and the expression of neighborly love. Also, the Church’s social welfare in the local community is the ministry of faith and the ministry of the Holy Spirit. Sharing is God’s will that is constantly demanded from those who follow Jesus Chris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회의 존재 이유인 영혼구원을 위해 지역교회가 지역사회에서 사회적인 책임을 완수해야 한다는 사실을 전제로 시작하였다. 2장에서는 일반 사회복지의 나눔의 시작이 이미 기독교에서 실행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서 구약과 신약을 중심으로 나눔에 대한 전반적인 가르침과 실제적인 요구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교회사회복지의 근간이 되는 나눔에 대하여 누가복음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특히 나눔에 관한 예수의 가르침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누가의 중요한 관심 주제인 부와 가난에 관한 문제를 먼저 고찰하고, 가난과 부의 척도가 되는 재물에 대한 예수의 재물관, 누가신학에서의 빈부의 의미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누가복음에서 가르치고 있는 진정한 나눔이 무엇인지 다루었다. 4장에서는 나눔의 삶을 통한 현대교회의 사회복지실천의 당위성을 제시하고 개인과 교회가 일상적인 삶과 교회생활을 통한 나눔의 삶의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을 다루었다.
      누가복음은 사회복지실천의 가장 중요한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그것은 물질적인 원조뿐만 아니라 생명, 영혼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질 때 진정한 나눔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나눔에 대한 예수의 가르침은 분명하다. 부와 재물에 대한 예수의 견해는 부정적이지만, 자신의 재물을 포기하고 가난한 자들과 나눔이 이루어질 때 지역사회에서 진정한 이웃으로, 예수의 참된 제자가 된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강조하셨다.
      본 연구에서 ‘나눔’은 모든 지역교회들이 실천해야 할 하나님의 명령인 동시에 이웃사랑의 표현이며, 교회의 지역사회복지는 믿음의 사역이며 동시에 성령의 사역이다. 이것은 예수를 따르는 자들에게 끊임없이 요구되는 하나님의 마음이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회의 존재 이유인 영혼구원을 위해 지역교회가 지역사회에서 사회적인 책임을 완수해야 한다는 사실을 전제로 시작하였다. 2장에서는 일반 사회복지의 나눔의 시작이 이미 기...

      본 연구는 교회의 존재 이유인 영혼구원을 위해 지역교회가 지역사회에서 사회적인 책임을 완수해야 한다는 사실을 전제로 시작하였다. 2장에서는 일반 사회복지의 나눔의 시작이 이미 기독교에서 실행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서 구약과 신약을 중심으로 나눔에 대한 전반적인 가르침과 실제적인 요구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교회사회복지의 근간이 되는 나눔에 대하여 누가복음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특히 나눔에 관한 예수의 가르침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누가의 중요한 관심 주제인 부와 가난에 관한 문제를 먼저 고찰하고, 가난과 부의 척도가 되는 재물에 대한 예수의 재물관, 누가신학에서의 빈부의 의미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누가복음에서 가르치고 있는 진정한 나눔이 무엇인지 다루었다. 4장에서는 나눔의 삶을 통한 현대교회의 사회복지실천의 당위성을 제시하고 개인과 교회가 일상적인 삶과 교회생활을 통한 나눔의 삶의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을 다루었다.
      누가복음은 사회복지실천의 가장 중요한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그것은 물질적인 원조뿐만 아니라 생명, 영혼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질 때 진정한 나눔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나눔에 대한 예수의 가르침은 분명하다. 부와 재물에 대한 예수의 견해는 부정적이지만, 자신의 재물을 포기하고 가난한 자들과 나눔이 이루어질 때 지역사회에서 진정한 이웃으로, 예수의 참된 제자가 된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강조하셨다.
      본 연구에서 ‘나눔’은 모든 지역교회들이 실천해야 할 하나님의 명령인 동시에 이웃사랑의 표현이며, 교회의 지역사회복지는 믿음의 사역이며 동시에 성령의 사역이다. 이것은 예수를 따르는 자들에게 끊임없이 요구되는 하나님의 마음이기 때문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6
      • 3. 연구의 한계 8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6
      • 3. 연구의 한계 8
      • Ⅱ. ‘나눔’에 대한 성서적 이해 9
      • 1. 구약에 나타난 ‘나눔’ 9
      • 1) 계약 법전에서의 ‘나눔’ 11
      • 2) 신명기 법전에서의 ‘나눔’ 13
      • 3) 성결 법전에서의 ‘나눔’ 17
      • 2. 신약의 교회사회복지 18
      • 1) 예수의 가르침에 나타난 교회사회복지 18
      • 2) 사도행전에 나타난 교회사회복지 20
      • Ⅲ. 누가복음의 ‘나눔’에 대한 성서신학적 연구 24
      • 1. 누가 공동체의 ‘나눔’에 대한 삶의 자리 24
      • 1) 정치적 상황 24
      • 2) 종교ㆍ사회적 상황 25
      • 3) 누가공동체의 구성 26
      • 2. 누가복음에 나타난 부와 가난에 관한 문제 28
      • 1) 누가신학에서의 ‘재물’의 의미 30
      • 2) 누가복음에 나타난 예수의 재물관 33
      • 3) 누가신학에서의 ‘빈부(貧富)’의 의미 35
      • 3. 누가복음의 ‘나눔’에 대한 가르침 42
      • 1) 하나님 나라에서 ‘가난한 자들’의 인생역전 45
      • 2) 하나님 나라에서 ‘가난한 자들’에 대한 희년선포 47
      • 3) 누가공동체의 ‘나눔-전적인 포기’에 대한 언급들 48
      • Ⅳ. ‘나눔의 삶’을 통한 현대교회의 복지실천 51
      • 1. 교회사회복지의 교회사적 모형 51
      • 2. 지역교회의 선교의 본질을 실천하는 사회복지 54
      • 3. 이웃됨을 위한 교회사회복지 실천 59
      • 4. 예수의 제자로의 교회사회복지실천 60
      • Ⅴ. 결론 및 제언 62
      • 참고문헌 66
      • Abstract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