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료기관의 일반병동, 성인 중환자실, 신생아 중환자실의 간호등급 변화 = Changes in Nurse Staffing Grades in General Wards and Adult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979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stributions of nurse staffing grades and to report changes in staffing grades in general wards and adult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ICUs) by hospital type and location. Methods: Data collected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were analyzed. Nurse staffing was categorized from grades 1 to 6 or 7 for general wards, 1 to 9 for adult ICUs, and 1 to 4 for neonatal ICUs based on the nurse-to-bed ratio. Results: The staffing grade for the general wards improved during 2008 -2016 in 69.8% of the tertiary hospitals, 58.5% of the general hospitals, and 31.7% of the non-general hospitals. The adult ICUs at tertiary hospitals exhibited a greater improvement in staffing grades (48.8%) than did those of general hospitals (44.2%) during 2008-2015. Tertiary hospitals in non-capital regions showed a greater improvement than those in the capital region. The majority of neonatal ICUs (67.1%) had no change in the staffing grade during 2008-2015. Conclusion: Improvements in nurse staffing differed by hospital type and location. Government policies to improve nurse staffing in non-tertiary hospitals and those in non-capital regions are required to reduce variations in nurse staffing.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stributions of nurse staffing grades and to report changes in staffing grades in general wards and adult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ICUs) by hospital type and location. Methods: Data collected from the...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stributions of nurse staffing grades and to report changes in staffing grades in general wards and adult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ICUs) by hospital type and location. Methods: Data collected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were analyzed. Nurse staffing was categorized from grades 1 to 6 or 7 for general wards, 1 to 9 for adult ICUs, and 1 to 4 for neonatal ICUs based on the nurse-to-bed ratio. Results: The staffing grade for the general wards improved during 2008 -2016 in 69.8% of the tertiary hospitals, 58.5% of the general hospitals, and 31.7% of the non-general hospitals. The adult ICUs at tertiary hospitals exhibited a greater improvement in staffing grades (48.8%) than did those of general hospitals (44.2%) during 2008-2015. Tertiary hospitals in non-capital regions showed a greater improvement than those in the capital region. The majority of neonatal ICUs (67.1%) had no change in the staffing grade during 2008-2015. Conclusion: Improvements in nurse staffing differed by hospital type and location. Government policies to improve nurse staffing in non-tertiary hospitals and those in non-capital regions are required to reduce variations in nurse staff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일반병동, 성인 중환자실,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등급을 의료기관 종별, 지역별로 구분하여 그 분포를 탐색하고, 간호등급 변화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구득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간호등급은 병상수 대 간호사수의 비를 바탕으로, 일반 병동은 1등급 내지 6등급 또는 7등급, 성인 중환자실은 1등급 내지 9등급, 신생아 중환자실은 1등급 내지 4등급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일반병동의 간호등급은 2008년과 2016년 사이에 상급종합병원의 69.8%, 종합병원의 58.5%, 병원의 31.7%에서 향상되었다. 성인 중환자실의 경우 2008년과 2015년 사이에 간호등급이 향상된 기관은 상급종합병원이(48.8%) 종합병원(44.2%)보다 많았다. 결론: 간호등급 향상 여부는 의료기관 종별,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간호등급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상급종합병원 이외의 의료기관과 비수도권 지역 의료기관의 간호등급 향상을 위한 정책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일반병동, 성인 중환자실,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등급을 의료기관 종별, 지역별로 구분하여 그 분포를 탐색하고, 간호등급 변화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목적: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일반병동, 성인 중환자실,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등급을 의료기관 종별, 지역별로 구분하여 그 분포를 탐색하고, 간호등급 변화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구득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간호등급은 병상수 대 간호사수의 비를 바탕으로, 일반 병동은 1등급 내지 6등급 또는 7등급, 성인 중환자실은 1등급 내지 9등급, 신생아 중환자실은 1등급 내지 4등급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일반병동의 간호등급은 2008년과 2016년 사이에 상급종합병원의 69.8%, 종합병원의 58.5%, 병원의 31.7%에서 향상되었다. 성인 중환자실의 경우 2008년과 2015년 사이에 간호등급이 향상된 기관은 상급종합병원이(48.8%) 종합병원(44.2%)보다 많았다. 결론: 간호등급 향상 여부는 의료기관 종별,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간호등급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상급종합병원 이외의 의료기관과 비수도권 지역 의료기관의 간호등급 향상을 위한 정책이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성현, "입원환자 간호관리료 차등제 도입이후 간호사 확보수준의 변화" 간호행정학회 14 (14): 167-175, 2008

      2 박정옥, "일개 대학병원의 간호관리료 등급변화에 따른 간호사의 간호활동시간 비교" 병원간호사회 16 (16): 95-105, 2010

      3 조성현, "의료법에 의거한 의료기관 종별 간호사 정원기준 충족률 추이 분석" 간호행정학회 22 (22): 209-219, 2016

      4 김윤미, "의료기관 특성에 따른 간호등급 변화 추이: 2008~2010년" 병원간호사회 16 (16): 99-109, 2010

      5 김윤미, "의료기관 간호사 확보수준이 수술환자의 사망, 폐렴, 패혈증, 요로감염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42 (42): 719-729, 2012

      6 최현민,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간호등급 상승 요인 분석" 한국보건행정학회 25 (25): 40-52, 2015

      7 윤순길, "병원 간호등급에 따른 간호수행 정도" 한국병원경영학회 15 (15): 1-16, 2010

      8 조수진, "간호관리료차등제 등급별 입원 환자의 건강 결과" 한국보건행정학회 21 (21): 195-212, 2011

      9 Shin YS, "The study for improving differentiated inpatient nursing fees by staffing grade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Affairs 2015

      10 Cho SH, "The effects of nurse staffing on adverse events, morbidity, mortality, and medical costs" 52 (52): 71-79, 2003

      1 조성현, "입원환자 간호관리료 차등제 도입이후 간호사 확보수준의 변화" 간호행정학회 14 (14): 167-175, 2008

      2 박정옥, "일개 대학병원의 간호관리료 등급변화에 따른 간호사의 간호활동시간 비교" 병원간호사회 16 (16): 95-105, 2010

      3 조성현, "의료법에 의거한 의료기관 종별 간호사 정원기준 충족률 추이 분석" 간호행정학회 22 (22): 209-219, 2016

      4 김윤미, "의료기관 특성에 따른 간호등급 변화 추이: 2008~2010년" 병원간호사회 16 (16): 99-109, 2010

      5 김윤미, "의료기관 간호사 확보수준이 수술환자의 사망, 폐렴, 패혈증, 요로감염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42 (42): 719-729, 2012

      6 최현민,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간호등급 상승 요인 분석" 한국보건행정학회 25 (25): 40-52, 2015

      7 윤순길, "병원 간호등급에 따른 간호수행 정도" 한국병원경영학회 15 (15): 1-16, 2010

      8 조수진, "간호관리료차등제 등급별 입원 환자의 건강 결과" 한국보건행정학회 21 (21): 195-212, 2011

      9 Shin YS, "The study for improving differentiated inpatient nursing fees by staffing grade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Affairs 2015

      10 Cho SH, "The effects of nurse staffing on adverse events, morbidity, mortality, and medical costs" 52 (52): 71-79, 2003

      11 Hugonnet S, "The effect of workload on infection risk in critically ill patients" 35 (35): 76-81, 2007

      12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ealth data"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13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edical service ac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5 Statistics Korea, "Medical care institutions" Statistics Korea

      16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Medical Service Act"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17 Aiken LH, "Hospital nurse staffing and patientmortality, nurse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288 (288): 1987-1993, 2002

      18 조성현, "Geographical Imbalances: Migration Patterns of New Graduate Nurses and Factors Related to Working in Non-Metropolitan Hospitals" 한국간호과학회 42 (42): 1019-1026, 2012

      19 Cho SH, "Bed-to-nurse ratios, provision of basic nursing care, and in-hospital and 30-day mortality among acute stroke patients admitted to an intensive care unit: cross-sectional analysis of survey and administrative data" 46 (46): 1092-1101,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4-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Clinical Nursing Research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3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임상간호사회 -> 병원간호사회
      영문명 : 미등록 -> Hospital Nurses Association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등록 한글명 : 임상간호연구
      외국어명 : Clinical Nursing Research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4 1.23 1.94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