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로에스가 철학적 저술들에서 내세의 부정을 결론으로 도출하는데 반해 종교적 저술들에서는 내세의 존재를 긍정함으로 인해 생기는 입장의 모호성에 주안점을 두는 이 글은 내세의 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27307
이재경 (연세대학교)
2012
Korean
아베로에스 ; 이슬람철학 ; 종교철학 ; 내세 ; 영혼의 불사성 ; Averroes ; Islamic Philosophy ; Philosophy of Religion ; afterlife ; the immortality of soul.
KCI등재
학술저널
63-81(19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아베로에스가 철학적 저술들에서 내세의 부정을 결론으로 도출하는데 반해 종교적 저술들에서는 내세의 존재를 긍정함으로 인해 생기는 입장의 모호성에 주안점을 두는 이 글은 내세의 문...
아베로에스가 철학적 저술들에서 내세의 부정을 결론으로 도출하는데 반해 종교적 저술들에서는 내세의 존재를 긍정함으로 인해 생기는 입장의 모호성에 주안점을 두는 이 글은 내세의 문제에 대한 그의 입장이 종교의 진리와 철학의 진리가 서로 모순되지 않고 동시에 타당할 수 있다는 이중진리론으로 평가할 수 있는지 여부와 그의 진위가 무엇인지에 대해 검토한다. 내세에 대한 아베로에스의 논의를 분석해 보면, 인간의 개별적 영혼이 죽음 이후에도 분리되어 존재할 수 있다는 근거가 확보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그가 내세의 존재를 인정한다는 것은 모든 인간에게 필요한 영혼의 종적 보존 또는 인간의 종적 보존을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더욱이, 아베로에스에게 내세의 교리는 인류로 하여금 덕스러운 행위를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덕스러운 사회를 만들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정치적 기술로서의 종교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다. 이런 종교관에 비추어 볼 때, 아베로에스가 내세의 존재를 인정한 것을 두고 그를 이중진리론자라고 해석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반종교적이라고도 말할 수 없다는 것이 필자의 해석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verroes draws the denial of the afterlife as a demonstrated conclusion in his philosophical works while the existence of the afterlife is a religious doctrine that must be affirmed in the dialectical religious works. I wish to deal with whether or no...
Averroes draws the denial of the afterlife as a demonstrated conclusion in his philosophical works while the existence of the afterlife is a religious doctrine that must be affirmed in the dialectical religious works. I wish to deal with whether or not his position might be considered as a double-truth theory, according to which two contradictory propositions, one taught by religion and one taught by philosophy, could both be true at the same time, and what he really means. Averroes does not allow for any possibility that the existence of personal immortality may be established. This leads me to infer that what he means by his affirmation of the afterlife is the existence of a future life for the human species. Averroes also maintains that religion is a necessary political arts for bringing the community to virtuous action. It is my contention that his affirmation of the afterlife does not involve an acceptance of the double-truth theory or an anti-religious attitud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율, "철학의 진리와 신앙의 진리" 한국중세철학회 (17) : 272-327, 2011
2 이재경, "중세 이슬람철학의 합리주의 흐름" 새한철학회 3 (3): 295-316, 2003
3 이재경, "아비첸나의 영혼 불멸성과 개체화의 문제" 철학연구소 21 : 121-148, 2010
4 서병창, "신앙과 이성의 관계와 이중진리론 -시제와 토마스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철학회 (17) : 145-183, 2011
5 이경재, "시제 브라방과 13세기 지성단일성 논쟁" 한국중세철학회 (17) : 113-144, 2011
6 손은실, "보에티우스 다치아의 『최고선에 관하여』 -13세기의 신학적 행복론과 철학적 행복론의 충돌?-" 철학사상연구소 (41) : 307-345, 2011
7 이재경, "보에티우스 다치아와 이중진리" 범한철학회 58 (58): 55-77, 2010
8 Averroes, "결정적 논고" 책세상 2005
9 Al-Ghazālī, "The Incoherence of the Philosophers, A parallel English-Arabic text" Brigham Young Univ. Press 2002
10 Wippel, John F., "The Condemnations of 1270 and 1277 at Paris" 9 : 1977
1 김율, "철학의 진리와 신앙의 진리" 한국중세철학회 (17) : 272-327, 2011
2 이재경, "중세 이슬람철학의 합리주의 흐름" 새한철학회 3 (3): 295-316, 2003
3 이재경, "아비첸나의 영혼 불멸성과 개체화의 문제" 철학연구소 21 : 121-148, 2010
4 서병창, "신앙과 이성의 관계와 이중진리론 -시제와 토마스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철학회 (17) : 145-183, 2011
5 이경재, "시제 브라방과 13세기 지성단일성 논쟁" 한국중세철학회 (17) : 113-144, 2011
6 손은실, "보에티우스 다치아의 『최고선에 관하여』 -13세기의 신학적 행복론과 철학적 행복론의 충돌?-" 철학사상연구소 (41) : 307-345, 2011
7 이재경, "보에티우스 다치아와 이중진리" 범한철학회 58 (58): 55-77, 2010
8 Averroes, "결정적 논고" 책세상 2005
9 Al-Ghazālī, "The Incoherence of the Philosophers, A parallel English-Arabic text" Brigham Young Univ. Press 2002
10 Wippel, John F., "The Condemnations of 1270 and 1277 at Paris" 9 : 1977
11 Averroes, "Tahafut al-Tahafut(The Incoherence of the Incoherence)" E-text Edition 2012
12 Marmura, Michael E., "Some Remarks on Averroes's Statements on the Soul, In Averroes and the Enlightmenment" Prometheus Books 1996
13 Black, Deborah, "Psychology: Soul and Intellect, In The Cambridge Companion to Arabic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4 Taylor, Richard C., "Personal Immortality in Averroes’ Mature Philosophical Psychology" 9 : 1998
15 Averroes, "On the Harmony of Religion and Philosophy" Luzac 1961
16 Averroes, "Long Commentary on the De anima of Aristotle" Yale University Press 2009
17 Averroes, "Faith and Reason in Islam: Averroes’ Exposition of Religious Arguments" Oneworld 2001
18 Averroes, "Decisive Treatise and Epistle Dedicatory" Brigham Young University Press 2002
19 Denifle, Heinrich, "Chartularium Universitatis parisiensis, 4 vols" Delalain 1897
20 Averroes, "Averrois Cordubensis commentarium magnum in Aristotelis De anima libros" Medieval Academy 1953
21 Averroes, "Averroes’ Tahafut al-Tahafut(The Incoherence of the Incoherence), 2 vols" Luzac 1984
22 Taylor, Richard C., "Averroes: Religious Dialectic and Aristotelian Philosophical Thought, In The Cambridge Companion to Arabic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3 Mohammed, Ovey N., "Averroes, Aristotle, and the Qur’an on Immortality" 33 : 1993
24 Taylor, Richard C., "Averroes on the Ontology of the Human Soul" 102 : 2012
25 Renan, Ernest, "Averroes et l’Averroïsme, 9th ed" Calman-Lévy 1925
26 Ivry, Alfred, "Averroes and the West: The First Encounter/Nonencounter, In A Straight Path: Studies in Philosophy and Culture in Honor of Arthur Hyman" Catholic Univ. of America Press 1988
27 Leaman, Oliver, "Averroes and his Philosophy" Clarendon Press 1988
28 Zedler, Beatrice H., "Averroes and Immortality" 28 : 1954
29 Hyman, Arthur, "Aristotle’s Theory of the Intellect and Its Interpretation by Averroes, In Studies in Aristotl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1981
30 Davidson. Herbert A., "Alfarabi, Avicenna, and Averroes on Intellect: Their Cosmologies, Theories of the Active Intellect, and Theories of Human Intellect"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중세 이슬람 세계에서의 철학과 종교 간의 갈등 ― 이슬람 신플라톤 철학과 전통적 창조관 간의 충돌
8-9세기 이슬람 철학의 칼라암(Kalām) 개념에 대한 비판적 탐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53 | 1.021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