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호와 억압, 다문화주의의 두 얼굴 -다문화소설에 나타난 민족공동체의 역설- = Protection and Suppression, Ambilaterality of Multiculturalism - Paradox of National Community that Appeared to Multicultural Novel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756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다문화주의의 전세계적 확산과 함께 한국 사회도 다문화사회로 진입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다문화주의를 들여다보면, 그들을 포용하는 한편 그 이면에는 그들을 완전하게 우리 공동체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차별하고 억압하는 모순된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의 모순된 다문화주의 속에서 고통 받는 이주민들은 우리 사회에서 철저하게 소외된 타자였다. 사회를 반영하는 시대적 산물인 문학은 이러한 현실에 반응하였고 소외된 타자들의 부각이라는 후기구조주의의 요청에 맞닿아 이들을 끊임없이 조명하기 시작하였다. 소외된 이주민을 형상화한 다문화 소설은 이와 같은 요청에 대한 응답의 일환이며 그 연구 성과 또한 점차 거두고 있는 시점이다. 본고의 문제의식은 민족공동체가 갖는 모순에서 비롯된다. 우리의 ‘민족’ 개념은 식민지 역사의 특수성으로 인해 ‘자민족중심주의’ 또는 ‘민족순혈주의’를 표방하게 되었다. 민족의 우월성을 바탕으로 한 민족국가의 논리는 제국주의의 논리와 유사하며 왜곡된 다문화주의를 야기시켰다. 다문화주의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은 순혈주의에 바탕을 둔 민족적ㆍ문화적 우월성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상은 다문화소설 「물 한 모금」, 「쁘이거나 쯔이거나」, 「아홉개의 푸른쏘냐」, 「코끼리」, 「이미테이션」에서 발견할 수 있다. 문학적 형상화의 세밀하고도 다각적인 검토를 위해 남성 이주민ㆍ여성 이주민ㆍ다문화 2세의 세 가지 시선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소설 속에 형상화된 다문화주의는 제국주의와 다를 바 없는 신(新)신분질서와 민족 경계 짓기 양상이 두드러짐을 확인 할 수 있다. 남성 이주민에게는 노동력 착취와 제도적 보호의 부재가, 여성 이주민에게는 성적 착취의 문제와 공동체유입 유보가, 다문화 2세에게는 문화우월주의와 이중 정체성으로 인한 방황이 드러난다. 우리의 다문화주의가 ‘사회적 통합’을 표방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일방적 동화’에 가까운 또 다른 방식의 ‘지배’와 ‘억압’이 자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번역하기

      다문화주의의 전세계적 확산과 함께 한국 사회도 다문화사회로 진입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다문화주의를 들여다보면, 그들을 포용하는 한편 그 이면에는 그들을 완전하게 우리 공동체로 받...

      다문화주의의 전세계적 확산과 함께 한국 사회도 다문화사회로 진입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다문화주의를 들여다보면, 그들을 포용하는 한편 그 이면에는 그들을 완전하게 우리 공동체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차별하고 억압하는 모순된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의 모순된 다문화주의 속에서 고통 받는 이주민들은 우리 사회에서 철저하게 소외된 타자였다. 사회를 반영하는 시대적 산물인 문학은 이러한 현실에 반응하였고 소외된 타자들의 부각이라는 후기구조주의의 요청에 맞닿아 이들을 끊임없이 조명하기 시작하였다. 소외된 이주민을 형상화한 다문화 소설은 이와 같은 요청에 대한 응답의 일환이며 그 연구 성과 또한 점차 거두고 있는 시점이다. 본고의 문제의식은 민족공동체가 갖는 모순에서 비롯된다. 우리의 ‘민족’ 개념은 식민지 역사의 특수성으로 인해 ‘자민족중심주의’ 또는 ‘민족순혈주의’를 표방하게 되었다. 민족의 우월성을 바탕으로 한 민족국가의 논리는 제국주의의 논리와 유사하며 왜곡된 다문화주의를 야기시켰다. 다문화주의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은 순혈주의에 바탕을 둔 민족적ㆍ문화적 우월성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상은 다문화소설 「물 한 모금」, 「쁘이거나 쯔이거나」, 「아홉개의 푸른쏘냐」, 「코끼리」, 「이미테이션」에서 발견할 수 있다. 문학적 형상화의 세밀하고도 다각적인 검토를 위해 남성 이주민ㆍ여성 이주민ㆍ다문화 2세의 세 가지 시선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소설 속에 형상화된 다문화주의는 제국주의와 다를 바 없는 신(新)신분질서와 민족 경계 짓기 양상이 두드러짐을 확인 할 수 있다. 남성 이주민에게는 노동력 착취와 제도적 보호의 부재가, 여성 이주민에게는 성적 착취의 문제와 공동체유입 유보가, 다문화 2세에게는 문화우월주의와 이중 정체성으로 인한 방황이 드러난다. 우리의 다문화주의가 ‘사회적 통합’을 표방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일방적 동화’에 가까운 또 다른 방식의 ‘지배’와 ‘억압’이 자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multaneously with the global spread of multiculturalism, Korean society was also entering the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multiculturalism of Korea society has discriminated against them. And they were not fully accepted in our society, to show the contradictory figure of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This phenomenon is shown not only through the policies that were carried out advocating multiculturalism, can be found in the society. They have been marginalized in our society. It is thoroughly marginalized in society of settlers of suffering in multiculturalism. Literature reflects this reality. Multicultural novel is a part of the response to such a request and the research is also a trends of gradually increasing. The focus of this study started with the contradictions of the national community. Our nation concept is rooted in colonial rule. So it claim to advocated a ethnocentric or geodraphical repatriation. The logic of national state based on ethnocentric is analogous to a imperialism. As a result contradiction of multiculturalism has occurred. To the Our view of multiculturalism is ethnocentric and cultural superiority the based on geodraphical repatriation. In such a context, five novels were considered the contradiction of multiculturalism. There is a divided into three focus, because it is for profound study. Multiculturalism as it expressed in the novel is analogous to a imperialism. Also it is expressed in new order of social status and define a boundary. The male emigrant was squeezed out their labor under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female emigrant for forced labor and sexual exploitation find expression in novels. The multicultural children and youth often face problems such as bullying, identity confusion. We seek social cohesion, but on the other side of the coin, korea society ruled the multicultural and oppressed emigrant.
      번역하기

      Simultaneously with the global spread of multiculturalism, Korean society was also entering the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multiculturalism of Korea society has discriminated against them. And they were not fully accepted in our society, to show...

      Simultaneously with the global spread of multiculturalism, Korean society was also entering the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multiculturalism of Korea society has discriminated against them. And they were not fully accepted in our society, to show the contradictory figure of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This phenomenon is shown not only through the policies that were carried out advocating multiculturalism, can be found in the society. They have been marginalized in our society. It is thoroughly marginalized in society of settlers of suffering in multiculturalism. Literature reflects this reality. Multicultural novel is a part of the response to such a request and the research is also a trends of gradually increasing. The focus of this study started with the contradictions of the national community. Our nation concept is rooted in colonial rule. So it claim to advocated a ethnocentric or geodraphical repatriation. The logic of national state based on ethnocentric is analogous to a imperialism. As a result contradiction of multiculturalism has occurred. To the Our view of multiculturalism is ethnocentric and cultural superiority the based on geodraphical repatriation. In such a context, five novels were considered the contradiction of multiculturalism. There is a divided into three focus, because it is for profound study. Multiculturalism as it expressed in the novel is analogous to a imperialism. Also it is expressed in new order of social status and define a boundary. The male emigrant was squeezed out their labor under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female emigrant for forced labor and sexual exploitation find expression in novels. The multicultural children and youth often face problems such as bullying, identity confusion. We seek social cohesion, but on the other side of the coin, korea society ruled the multicultural and oppressed emigra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성태,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 2012" 현대문학 2011

      2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3 이제봉, "한국의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199-215, 2012

      4 박종대, "한국 다문화정책의 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8 (28): 35-63, 2014

      5 이혜경, "틈새:이혜경 소설집" 창비 2006

      6 민가영,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본 다문화 교육" 한국문화사회학회 9 (9): 101-131, 2010

      7 Hannah Arendt, "전체주의의 기원" 한길그레이트북스 2014

      8 김재영, "올해의 문제 소설 2005" 푸른사상 2005

      9 Edward Said,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1991

      10 Benedict Anderson, "상상의 공동체" 나남출판사 2002

      1 전성태,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 2012" 현대문학 2011

      2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3 이제봉, "한국의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199-215, 2012

      4 박종대, "한국 다문화정책의 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8 (28): 35-63, 2014

      5 이혜경, "틈새:이혜경 소설집" 창비 2006

      6 민가영,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본 다문화 교육" 한국문화사회학회 9 (9): 101-131, 2010

      7 Hannah Arendt, "전체주의의 기원" 한길그레이트북스 2014

      8 김재영, "올해의 문제 소설 2005" 푸른사상 2005

      9 Edward Said,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1991

      10 Benedict Anderson, "상상의 공동체" 나남출판사 2002

      11 김형중,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문학과 지성사 2013

      12 백가흠, "백가흠 소설집" 문학과 지성사 2011

      13 김재용, "민족주의와 탈식민주의를 넘어서" 인문과학연구소 (48) : 19-38, 2005

      14 김성곤, "문화와 제국주의" 도서출판 창 1995

      15 유재홍, "문학의 정치" 인간사랑 2011

      16 강창동, "단일민족사관의 사회사적 형성과 다문화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사회학회 20 (20): 1-25, 2010

      17 박용희, "다민족ㆍ다인종 국가의 역사인식" 동북아역사재단 2009

      18 문재원, "다문화주의 담론의 재구성에 대한 고찰" 인문학연구소 33 (33): 161-187, 2014

      19 조명기, "다문화소설에 나타난 국가ㆍ자본의 폭력과 윤리 효과 그리고 로컬의 위상『이슬람 정육점』과 『나의 이복형제들』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59) : 323-353, 2014

      20 김지혜, "다문화 소설에 나타난 이중적 환대와 교육의 문제" 한국문학교육학회 (44) : 245-275, 2014

      21 Jacques Ranciere, "감성의 분할" 도서출판 b 2008

      22 윤영옥, "21세기 다문화 소설에 나타난 국민 개념의 재구성과 탈식민성"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6 (16): 367-397, 2012

      23 김재영, "2000년대 소설" 민족문학연구소 2007

      24 전승주, "1920년대 민족주의 문학과 민족담론" 민족문학사학회 24 : 32-67,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879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