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월광주가 제도화·사물화되어 가는 오늘날, 문학은 어떠한 방식으로 오월을 말할수 있을까. 이전까지 오월문학이 사건을 사실들로 복원하고 사건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오월을 공식 역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075605
2015
Korean
오월문학 ; 『백년여관』 ; 『소년이 온다』 ; 불가능성 ; "바깥" ; 문학의 윤리 ; May literature ; A Hundred Years Inn ; The Boy Is Coming ; impossibility ; "outside" ; ethics of literature
KCI등재
학술저널
5-31(27쪽)
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오월광주가 제도화·사물화되어 가는 오늘날, 문학은 어떠한 방식으로 오월을 말할수 있을까. 이전까지 오월문학이 사건을 사실들로 복원하고 사건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오월을 공식 역사�...
오월광주가 제도화·사물화되어 가는 오늘날, 문학은 어떠한 방식으로 오월을 말할수 있을까. 이전까지 오월문학이 사건을 사실들로 복원하고 사건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오월을 공식 역사에 기입하고자 했다면 이제는 다른 방향성이, 새로운 말하기 방식이 필요한 것이 아닐까. 이 글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 아래 임철우의 『백년여관』과 한강의 『소년이 온다』를 분석함으로써, 이전과는 다른 오월문학의 방향성과 형상화 방식을 짚어보고자 한다. 『백년여관』과 『소년이 온다』는 오월의 ‘공백’을 소설화하려는 시도들이다. 임철우는 오월의 제도화에 맞서 산-죽음의 공간을 구성하고 ‘중음’을 살아가는 자들의 목소리를 복원하고자 한다면, 한강은 오월의 사물화에 맞서 동호의 죽음과 살아남은 자들의 고통을 반복적으로 호명하며 이를 독자의 현재 속에 위치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이들의 글쓰기는 처음부터 불가능을 전제한 시도들이라고 할 수 있다. 공백을 지시하는 일이 언제나 실패로 귀결될 수밖에 없는 것처럼, 이들의 소설은 언어화할 수 없는 오월을 언어화하려는, 즉 실패할 것을 알면서 씌어진 글이다. 지금 다시 오월을 쓰려는 자들에게서 발견되는 윤리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이 불가능성 위에 서서 오월의 공백을 가리키려 한다는 점이다. ‘말할 수 없음’이라는 불가능을 기꺼이 떠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월을 말하려는 이러한 고통스러운 시도들에서 문학의 새로운 형식이 ‘사건’처럼 다시금 발명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when Gwangju of May is being institutionalized and reified, in what way can we talk about May? If May literature has tried to put May in official history by restoring facts and giving meanings to the incidents, does it not need now to have a dif...
Today when Gwangju of May is being institutionalized and reified, in what way can we talk about May? If May literature has tried to put May in official history by restoring facts and giving meanings to the incidents, does it not need now to have a different direction and a new way of telling? With this question in mind, this study attempted to discuss directions and configuration methods of May literature distinguished from those in the past by analyzing Cheol.woo Lim’s A Hundred Years Inn and Han Gang’s The Boy Is Coming. Baeknyeonyeogwan and Sonyeonyi Onda are attempts for novelizing the ‘blank space’ of May. While Cheol.woo Lim, standing agains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ay, tried to form a space of life.death and to restore the voices of those living ‘death,’ Han Gang, standing against the reification of May, tried to recall Dong.ho’s death and the survivors’ pains repeatedly and to place them in the readers’ present. Accordingly, their writings were trials with assuming impossibility from the beginning. Like pointing a blank space always has to end up with failure, these novels were written for verbalizing May, which cannot be verbalized. That is, they tried what they knew was impossible. If there is ethics found by those who try to write May again, it is standing on the impossibility and trying to point a blank space of May. A new form of literature is invented like an ‘incident’ from the painful attempts to embrace the impossibility of ‘unspeakable’ and, nevertheless, to try to tell May.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장집, "한국 민주주의와 광주항쟁의 세 가지 의미" 아세아문제연구소 50 (50): 144-171, 2007
2 정명중, "지속의 시간과 고통의 연대 - 임철우의 『백년여관』론 -" 한국작문학회 (12) : 109-141, 2011
3 한순미, "주변부의 역사 기억과 망각을 위한 제의 ―임철우의 소설에서 역사적 트라우마를 서사화하는 방식과 그 심층적 의미"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8) : 161-191, 2010
4 서영채, "죄의식과 1980년대적 주체의 탄생 -임철우의 『백년여관』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42) : 39-68, 2014
5 임철우, "절대공동체의 안과 밖" (봄) : 2014
6 Alain Badiou, "윤리학" 동문선 2001
7 김형중, "우리가 감당할 수 있을까?-트라우마와 문학" (가을) : 2014
8 최정운, "오월의 사회과학: 사회과학자의 시선으로 새롭게 재구성한 5월 광주의 삶과 진실" 오월의봄 2012
9 이숙, "예술가의 사회적 책무: 폭력의 기억과 인간의 본질 ― 한강의 『소년이 온다』를 중심으로(2014) ―" 현대문학이론학회 (60) : 439-462, 2015
10 Walter Benjamin,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폭력비판을 위하여/초현실주의" 도서출판 길 2008
1 최장집, "한국 민주주의와 광주항쟁의 세 가지 의미" 아세아문제연구소 50 (50): 144-171, 2007
2 정명중, "지속의 시간과 고통의 연대 - 임철우의 『백년여관』론 -" 한국작문학회 (12) : 109-141, 2011
3 한순미, "주변부의 역사 기억과 망각을 위한 제의 ―임철우의 소설에서 역사적 트라우마를 서사화하는 방식과 그 심층적 의미"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8) : 161-191, 2010
4 서영채, "죄의식과 1980년대적 주체의 탄생 -임철우의 『백년여관』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42) : 39-68, 2014
5 임철우, "절대공동체의 안과 밖" (봄) : 2014
6 Alain Badiou, "윤리학" 동문선 2001
7 김형중, "우리가 감당할 수 있을까?-트라우마와 문학" (가을) : 2014
8 최정운, "오월의 사회과학: 사회과학자의 시선으로 새롭게 재구성한 5월 광주의 삶과 진실" 오월의봄 2012
9 이숙, "예술가의 사회적 책무: 폭력의 기억과 인간의 본질 ― 한강의 『소년이 온다』를 중심으로(2014) ―" 현대문학이론학회 (60) : 439-462, 2015
10 Walter Benjamin,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폭력비판을 위하여/초현실주의" 도서출판 길 2008
11 이경재, "소년이 우리에게 오는 이유" (가을) : 2014
12 한강, "소년이 온다" 창작과비평 2014
13 김연수, "사랑이 아닌 다른 말로는 설명할 수 없는-작가조명 : 한강과의 대화" (가을) : 2014
14 임철우, "백년여관" 한겨레신문사 2004
15 박준상, "바깥에서 : 모리스 블랑쇼와 ‘그 누구’인가의 목소리" 그린비 2014
16 서영채, "문학의 윤리와 미학의 정치-한강의 『소년이 온다』와 성석제의 『투명인간』에 대하여" (가을) : 2014
17 Maurice Blanchot, "문학의 공간" 그린비 2010
18 Jean Luc Nancy, "무위의 공동체" 인간사랑 2010
19 서동수, "망각의 번역과 자기구원의 서사- 임철우의 『백년여관』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42) : 75-100, 2013
20 김영찬, "망각과 기억의 정치" 한국문화예술진흥원 (306) : 2005
21 김홍중, "마음의 부서짐과 통감의 해석학" 2015
22 김애란, "눈먼 자들의 국가" 문학동네 2014
23 이광호, "남은 자의 침묵-세월호 이후에도 문학은 가능한가" 문학과지성사 27 (27): 2014
24 임철우, "낙서의 길에 대하여" (봄) : 1998
25 한인섭, "국가폭력에 대한 법적 책임 및 피해회복: 5·18 민주화 운동의 법적해결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법학 연구소 43 (43): 2002
26 조연정, "‘광주’를 현재화하는 일 -권여선의 『레가토』(2012)와 한강의 『소년이 온다』(2014)를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0 (20): 101-138, 2014
27 김상봉, "[5.18연구]응답으로서의 역사-5.18을 생각함-" 5.18연구소 6 (6): 139-156, 2006
28 서용순, "5?18의 주체성과 후사건적 주체의 미래에 대한 소고" 5.18연구소 7 (7): 97-116, 2007
29 김형수, "5월문학총서4·평론" 문학들 2013
30 김재균, "5·18과 한국정치" 에코미디어 2010
보호와 억압, 다문화주의의 두 얼굴 -다문화소설에 나타난 민족공동체의 역설-
공동체의 목소리, 목소리의 공동체 -1980년대 황지우의 시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 | 0.879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