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EU에서의 교토메커니즘의 이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985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온실가스의 의무감축과 교토메커니즘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교토의정서가 EU의 주도적인 노력으로 발효되었다는 점과 EU가 교토의정서에 따른 1차 의무이행 기간 이전인 2005년 배출권거래제를 시작한 것은 EU가 기후변화정책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EU는 교토의정서에 따른 1차 의무이행 기간 이후에도 기후보호 대책을 지속적으로 강구하면서 온실가스감축조치를 강화시켜 나가고 있다. 이미 2020년까지 1990년 대비 30-40%의 온실가스감축 목표를 수립하였는데 다른 국가들이 상응한 조치를 취할 경우 이 목표치를 상향조정할 계획이기도 하다.
      교토의정서는 감축목표를 달성하는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시장에 기초한 신축성 메커니즘을 도입하였는데, 배출권거래제도, 청정개발체제, 공동이행제도 등 세 가지 국제협력 수단을 교토메커니즘이라고 한다.
      본 논문은 교토메커니즘의 이행의 모범이 되고 있는 EU의 배출권거래제도, 개발체제, 공동이행제도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EU의 배출권거래제도의 내용과 개정지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번역하기

      온실가스의 의무감축과 교토메커니즘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교토의정서가 EU의 주도적인 노력으로 발효되었다는 점과 EU가 교토의정서에 따른 1차 의무이행 기간 이전인 2005년 배출권거래제...

      온실가스의 의무감축과 교토메커니즘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교토의정서가 EU의 주도적인 노력으로 발효되었다는 점과 EU가 교토의정서에 따른 1차 의무이행 기간 이전인 2005년 배출권거래제를 시작한 것은 EU가 기후변화정책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EU는 교토의정서에 따른 1차 의무이행 기간 이후에도 기후보호 대책을 지속적으로 강구하면서 온실가스감축조치를 강화시켜 나가고 있다. 이미 2020년까지 1990년 대비 30-40%의 온실가스감축 목표를 수립하였는데 다른 국가들이 상응한 조치를 취할 경우 이 목표치를 상향조정할 계획이기도 하다.
      교토의정서는 감축목표를 달성하는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시장에 기초한 신축성 메커니즘을 도입하였는데, 배출권거래제도, 청정개발체제, 공동이행제도 등 세 가지 국제협력 수단을 교토메커니즘이라고 한다.
      본 논문은 교토메커니즘의 이행의 모범이 되고 있는 EU의 배출권거래제도, 개발체제, 공동이행제도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EU의 배출권거래제도의 내용과 개정지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U played a key role in ratification of the Kyoto Protocol. And the entering into force of the EU's emissions trading system in 2005 even before the first commitment period of Kyoto Protocol illustrates the significant role played by the EU in terms of climate change policy.
      EU has been continuously strengthening measures for further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even after the first commitment period of Kyoto Protocol was over. EU already have set a goal of 30-40% reduction in greenhouse gas emissions by 2020 compared with 1990 levels in case other countries should take similar measures.
      Under the Kyoto Protocol, Parties may use the following three market-based mechanism to lower the overall costs of achieving emission targets: Emissions Trading Syste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and Joint Implementation.
      This article analyses the implementation of Kyoto Mechanism In Europe, and focuses on the EU-ETS and amending Directives.
      번역하기

      EU played a key role in ratification of the Kyoto Protocol. And the entering into force of the EU's emissions trading system in 2005 even before the first commitment period of Kyoto Protocol illustrates the significant role played by the EU in terms o...

      EU played a key role in ratification of the Kyoto Protocol. And the entering into force of the EU's emissions trading system in 2005 even before the first commitment period of Kyoto Protocol illustrates the significant role played by the EU in terms of climate change policy.
      EU has been continuously strengthening measures for further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even after the first commitment period of Kyoto Protocol was over. EU already have set a goal of 30-40% reduction in greenhouse gas emissions by 2020 compared with 1990 levels in case other countries should take similar measures.
      Under the Kyoto Protocol, Parties may use the following three market-based mechanism to lower the overall costs of achieving emission targets: Emissions Trading Syste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and Joint Implementation.
      This article analyses the implementation of Kyoto Mechanism In Europe, and focuses on the EU-ETS and amending Directiv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EU와 교토의정서
      • Ⅱ. EU의 온실가스감축목표
      • Ⅲ. EU의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 Ⅳ. 공동이행제도 및 청정개발체제
      • Ⅴ. 맺으며
      • Ⅰ. EU와 교토의정서
      • Ⅱ. EU의 온실가스감축목표
      • Ⅲ. EU의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 Ⅳ. 공동이행제도 및 청정개발체제
      • Ⅴ. 맺으며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유럽연합의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개발 동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5

      2 박선희, "유럽연합과 교토의정서: 교토의정서의 비준과 이행 과정속에서 보여준 유럽연합의 역할과 위상변화 중심으로" 한국유럽학회 26 (26): 217-244, 2008

      3 이연상, "쉽게 풀어보는 기후변화협약" 한울 36-37, 2008

      4 조지프 S.나이, "소프트 파워" 세종연구원 33-, 2004

      5 李鍾永, "독일 온실가스배출권거래법의 제정배경과 체계" 중앙법학회 10 (10): 395-428, 2008

      6 소병천, "기후변화 대응 국제논의의 쟁점 및 국제법적 함의" 서울국제법연구원 16 (16): 1-27, 2009

      7 심영규, "국제법 상 국가의 기후변화 방지의무에 관한 고찰 -국제관습법 상 ‘No-harm Rule’을 중심으로-" 한양법학회 21 (21): 107-135, 2010

      8 윤종수,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 구축 방향. in: 기후변화와 법의 지배" 박영사 281-283, 2010

      9 최철영, "氣候變化 協約과 교토 議定書: 協商의 爭點과 向後 展望" 법무부 (43) : 75-104, 2002

      10 최경진, "排出權의 法的 性質" 한국비교사법학회 17 (17): 415-456, 2010

      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유럽연합의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개발 동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5

      2 박선희, "유럽연합과 교토의정서: 교토의정서의 비준과 이행 과정속에서 보여준 유럽연합의 역할과 위상변화 중심으로" 한국유럽학회 26 (26): 217-244, 2008

      3 이연상, "쉽게 풀어보는 기후변화협약" 한울 36-37, 2008

      4 조지프 S.나이, "소프트 파워" 세종연구원 33-, 2004

      5 李鍾永, "독일 온실가스배출권거래법의 제정배경과 체계" 중앙법학회 10 (10): 395-428, 2008

      6 소병천, "기후변화 대응 국제논의의 쟁점 및 국제법적 함의" 서울국제법연구원 16 (16): 1-27, 2009

      7 심영규, "국제법 상 국가의 기후변화 방지의무에 관한 고찰 -국제관습법 상 ‘No-harm Rule’을 중심으로-" 한양법학회 21 (21): 107-135, 2010

      8 윤종수,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 구축 방향. in: 기후변화와 법의 지배" 박영사 281-283, 2010

      9 최철영, "氣候變化 協約과 교토 議定書: 協商의 爭點과 向後 展望" 법무부 (43) : 75-104, 2002

      10 최경진, "排出權의 法的 性質" 한국비교사법학회 17 (17): 415-456, 2010

      11 "http://cdm.unfccc.int/Statistics/Registration/RegisteredProjAnnex1PartiesPieChart.html"

      12 "http://cdm.unfccc.int/Statistics/Registration/NumOfRegisteredProjByHostPartiesPieChart.html"

      13 Marisa Martin, "Trade Law Implications of Restricting Participation in the European Union Emissions Trading Scheme" 19 : 440-, 2007

      14 David B.Hunter, "Lessons Learned from the European Union's Climate Policy" 27 : 577-580, 2009

      15 박명섭, "EU의 탄소배출권거래 제도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학회 12 (12): 297-324, 2008

      16 임성진, "EU의 기후변화정책과 정책결정과정의 특성: 배출권거래제와 한국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4 (14): 289-308, 2009

      17 황형준, "EU 및 영국의 배출권거래제도. in: 기후변화와 법의 지배" 박영사 117-,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국제경제법학회 -> (사)한국국제경제법학회
      영문명 : International Economic Law Association of Korea ->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Economic Law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0.91 1.37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