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전,충청권 타올 산업 연계의 공간적 특성과 정책적 함의 = Spatial Features of the Linkages Developed in the Towel Industry in the Daejeon and Chungcheong Regions and their Implications on Government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884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gglomeration process of the towel industry in the Daejeon and Chungcheong regions, which are located in the mid-western part of South Korea, focusing in particular on industrial restructuring. Moreover, it aimed to identify the spatial features of the towel industry by analyzing the subcontracting linkages and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of such linkages on government policy. The towel industry in the Daejeon and Chungcheong regions began to grow from the end of the Korean War when textile technicians from North Korea settled down in this area, spreading their techniques and know-how within the region. Liter, in the 1980s, the industry underwent restructuring when companies within the region strengthened their linkages through corporate specializ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social division of labor. Accordingly, the industrial linkages and linkage spaces,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should all be considered to develop and implement policies for the regions of the towel industry.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gglomeration process of the towel industry in the Daejeon and Chungcheong regions, which are located in the mid-western part of South Korea, focusing in particular on industrial restructuring. Moreover, it aimed to identi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gglomeration process of the towel industry in the Daejeon and Chungcheong regions, which are located in the mid-western part of South Korea, focusing in particular on industrial restructuring. Moreover, it aimed to identify the spatial features of the towel industry by analyzing the subcontracting linkages and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of such linkages on government policy. The towel industry in the Daejeon and Chungcheong regions began to grow from the end of the Korean War when textile technicians from North Korea settled down in this area, spreading their techniques and know-how within the region. Liter, in the 1980s, the industry underwent restructuring when companies within the region strengthened their linkages through corporate specializ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social division of labor. Accordingly, the industrial linkages and linkage spaces,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should all be considered to develop and implement policies for the regions of the towel indust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대전타올패브릭RIS사업단, "홍보 리플렛"

      2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 2008

      3 조성욱, "한국 자동차 부품 공업의 연계패턴에 관한 연구" 18 : 67-93, 1987

      4 이인영, "타올 공업의 현황과 전망" 대한방직협회 306 : 25-32, 1982

      5 이인영, "타올 공업의 현황과 당면과제" 대한방직협회 334 : 18-26, 1987

      6 한국타올공업협동조합, "조합원실태조사보고서" 1990

      7 이덕안, "전남공업의 기업형태에 따른 특성과 연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6

      8 이정욱, "소규모 제조기업 집적지의 형성과정과 지역적 연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 영등포구 문래동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6

      9 김난주, "소규모 인쇄업체의 지리적 집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4

      10 박래현, "서울시 제화산업의 공간적 집적 특성 및 혁신 환경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5

      1 대전타올패브릭RIS사업단, "홍보 리플렛"

      2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 2008

      3 조성욱, "한국 자동차 부품 공업의 연계패턴에 관한 연구" 18 : 67-93, 1987

      4 이인영, "타올 공업의 현황과 전망" 대한방직협회 306 : 25-32, 1982

      5 이인영, "타올 공업의 현황과 당면과제" 대한방직협회 334 : 18-26, 1987

      6 한국타올공업협동조합, "조합원실태조사보고서" 1990

      7 이덕안, "전남공업의 기업형태에 따른 특성과 연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6

      8 이정욱, "소규모 제조기업 집적지의 형성과정과 지역적 연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 영등포구 문래동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6

      9 김난주, "소규모 인쇄업체의 지리적 집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4

      10 박래현, "서울시 제화산업의 공간적 집적 특성 및 혁신 환경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5

      11 한상진, "산업재구조화에 따른 수도권 지방노동시장의 변화" 4 : 299-336, 1994

      12 임대환, "부천시 금형산업의 공간적 연계와 노동시장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13 신창호, "도심소기업의집단재정비를위한 제도개선방안의 모색" 10 : 101-130, 1998

      14 한미타올주식회사, "대전지역 타올 산업의 현황과 전망" 2010

      15 대전광역시, "대전경제중장기발전시행계획" 1996

      16 조대우, "대전 지역 산업경쟁력 분석, 한국의 국제경쟁력과 10대 도시의 지역경쟁력 연구 총서" 산업정책연구원 215-330, 1999

      17 강현수, "대도시 도시형 소규모 제조업체의 입지 특성 및 육성·정비 방안에 관한 연구" 10 : 59-100, 1998

      18 이희상, "대구시 우산·양산 제조업의 생산체계와 공간적 특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1997

      19 정금희, "대구 안경테 산업의 생산체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0 이철우, "대구 섬유산업의 재구조화와 생산체계의 공간분화" 35 (35): 207-225, 2000

      21 전성제, "남대문 액세서리산업 집적지의 업체 간 네트워크와 그 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22 전미영, "군산공업단지의 공업구조와 지역연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2

      23 통계청, "광업제조업통계조사보고서" 1996

      24 Holmes, J, "The organization and locational structure of production subcontracting, in Production, work, territory" George Allen and Unwin 80-106, 1986

      25 Hayter, R, "The Dynamics of Industrial Location" John Wiley & Sons 1997

      26 Watanabe, S, "Subcontracting, industrialisation and employment creation" 104 : 51-76, 1971

      27 Marshall, J. N, "Ownership, organization and industrial linkage: A case study in the northern region of england" 13 : 531-557, 1979

      28 Taylor, M, "Organizational growth, spatial interaction and location decision-making" 7 : 387-400, 1975

      29 김선배, "OECD 국가의 지역발전정책 동향과 사례" 산업연구원 2003

      30 Morris, J. L, "New technologies, flexible work practices, and regional sociospatial differentiation: some observations from the United Kingdom" 6 : 301-320, 1988

      31 Lever, W, "Manufacturing linkages and the search for suppliers and markets, in Spatial perspectives on industrial organization and decision making" John Willey & Sons 309-333, 1974

      32 Marshall, M, "Long Waves of Regional Development" Macmillan 1987

      33 Healey, M, "Location and Change: Perspectives on Economic Ge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34 Taylor, M, "Linkage change and organizational growth: The case of the West Midlands ironfoundry industry" 54 (54): 314-336, 1978

      35 Peck, J, "Labor & agglomeration: control & flexibility in the local labor market" 68 (68): 325-347, 1992

      36 Scott, A. J, "Industrial organization and the logic of intra-metropolitan location, III: A case study of the women's dress industry in the Greater Los Angeles Region" 60 (60): 3-27, 1984

      37 Scott, A. J, "Industrial organization and the logic of intra-metropolitan location, II: A case study of the printed circuits industry in the Greater Los Angeles Region" 59 (59): 343-367, 1983

      38 Scott, A. J, "Industrial organization and the logic of intra-metropolitan location, I: Theoretical consideration" 59 (59): 233-250, 1983

      39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Industrial Policy in OECD Countries: Annual Review" OECD 1994

      40 Scott, A. J, "Flexible production systems and regional development: the rise of new industrial spaces in North America and western Europe" 12 (12): 171-186, 1988

      41 강현수, "80년대 후반 한국 자본주의의 변화와 서울의 산업 재구조화, in 서울연구" 한울 아카데미 57-88, 1993

      42 통계청, "2006·2008, 광업제조업통계조사보고서" 2006

      43 대전충남연감편찬위원회, "1989·1992, 대전충남연감" 1989

      44 한국타올공업협동조합, "1978~2009, 사업보고서" 19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319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