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冷鵬飛, "진한제국경제사" 태학사 2019
2 도현철, "조선 건국 과정에서 역사 기록의 상이한 평가와 해석" 역사학회 (248) : 45-78, 2020
3 이익주, "이색의 삶과 생각" 일조각 2006
4 박종기, "이색의 당대사(當代史) 인식과 인간관 - 묘지명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66) : 337-362, 2007
5 도현철, "이곡의 개혁론과 유교문명론" 지식산업사 2021
6 신은제, "원종충렬왕대 전민변정사업의 성격" 한국중세사학회 (21) : 73-110, 2006
7 도현철, "목은 이색의 정치사상 연구" 혜안 2011
8 이성무, "대은 변안렬의 생애와 업적" 지식산업사 2013
9 이익주, "공민왕대 개혁의 추이와 신흥유신의 성장" 15 : 1995
10 신은제, "공민왕 즉위초 정국의 동향과 전민변정" 한국중세사학회 (29) : 371-400, 2010
1 冷鵬飛, "진한제국경제사" 태학사 2019
2 도현철, "조선 건국 과정에서 역사 기록의 상이한 평가와 해석" 역사학회 (248) : 45-78, 2020
3 이익주, "이색의 삶과 생각" 일조각 2006
4 박종기, "이색의 당대사(當代史) 인식과 인간관 - 묘지명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66) : 337-362, 2007
5 도현철, "이곡의 개혁론과 유교문명론" 지식산업사 2021
6 신은제, "원종충렬왕대 전민변정사업의 성격" 한국중세사학회 (21) : 73-110, 2006
7 도현철, "목은 이색의 정치사상 연구" 혜안 2011
8 이성무, "대은 변안렬의 생애와 업적" 지식산업사 2013
9 이익주, "공민왕대 개혁의 추이와 신흥유신의 성장" 15 : 1995
10 신은제, "공민왕 즉위초 정국의 동향과 전민변정" 한국중세사학회 (29) : 371-400, 2010
11 김기섭, "고려시기 토지소유론의 비판적 계승과 ‘佃戶’의 실체" 한국중세사학회 (55) : 397-449, 2018
12 박종진, "고려시기 재정운영과 조세제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3 홍영의, "고려말 정치사 연구" 혜안 2005
14 김기섭, "고려말 사전구폐론자의 전시과인식과 그 한계" 127 : 1990
15 김기섭, "고려말 鄭道傳의 토지문제 인식과 전제개혁론" 부산경남사학회 (101) : 213-245, 2016
16 이익주, "고려 우왕대 이색의 정치적 위상에 대한 연구" 한국역사연구회 (68) : 155-187, 2008
17 이익주, "고려 말 정도전의 정치세력 형성 과정 연구" 국학연구원 (134) : 79-114, 2006
18 김기섭, "고려 녹과전제의 시행과 분급방식의 변화" 효원사학회 60 : 123-162, 2021
19 朴京安, "麗末 儒者들의 田制改革論에 대하여" 85 : 1994
20 都賢喆, "高麗末 士大夫의 政治思想硏究" 一潮閣 1999
21 李景植, "高麗時期土地制度硏究" 지식산업사 2012
22 朴京安, "高麗後期土地制度硏究" 혜안 1996
23 "高麗史節要"
24 "高麗史"
25 安秉佑, "高麗前期의 財政構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26 李景植, "韓國中世土地制度史-高麗"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27 김인호, "金祉의 「周官六翼」 편찬과 그 성격" 40 : 2001
28 金炯秀, "策問을 통해본 李齊賢의 現實認識" 13 : 2002
29 "稼亭集"
30 "益齋亂藁"
31 朴京安, "甲寅柱案考" 66 : 1990
32 "牧隱集"
33 申千湜, "牧隱 이색의 學問과 學脈" 一潮閣 1998
34 李佑成, "牧隱 李穡의 生涯와 思想" 一潮閣 1996
35 이숙경, "李齊賢 勢力의 形成과 그 役割" 64 : 1989
36 李景植, "朝鮮前期土地制度硏究" 일조각 1986
37 오일순, "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 민음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