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후기 목은 이색의 토지문제 인식과 개혁방향 = Mokeun Lee Saek’s Awareness of Land Problem and his Direction of the Reform in the Late G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339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keun Lee Saek, a representative intellectual and Neo-Confucian scholar in the late Goryeo dynasty as a talented man who had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Yuan dynasty china like his father Lee Gok, understood the contradictions of the late Goryeo society more clearly than anyone else. Lee Saek’s diagnoses and solutions to the late Goryeo society could be found in his appeals to King Gongmin, addressed in the year 1352 and 1356. Lee Saek’s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land problems especially show his accurate problem recognition of problems faced by the late Goryeo society.
      Although reformations taken by King Chungsuk and King Chungmok made cadastre to restore the land system, the problem remained until King Gongmin. Progressing the reform by King Gongmin, Lee Saek tried to restore the principle of ‘One Land, One Owner’ based on the cadastre made in 1310.
      His awareness and solution of the land problem was a practical proposal to solve the problem of ‘one land, many owners’, pointed out as the gravest indictment in the Goryeo society at that time. The reasons for the failure, however, were likely due to the lack of political power to sustain force for reform by King Gongmin and the direction of the reform weighted towards the political end. The reforms during King Gongmin, despite their justification, could not achieve real results because of distortion of reform by its political end and because of external conditions such as the Red Turban and Japanese Raiders’ invasions of Goryeo.
      Lee Saek’s awareness of the land problem based on reality was a practical solution comparable to private land reformists such as Jeong Dojeon and Jo Jun. Even if evaluated concerning the success of the reform, his opinion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terms of feasibility. Lee Saek’s argument has limitations that could not keep up with the times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at that time, but should not be criticized as conservative reform to defend the vested interests with a consequential evaluation that ignores the reality of that time.
      번역하기

      Mokeun Lee Saek, a representative intellectual and Neo-Confucian scholar in the late Goryeo dynasty as a talented man who had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Yuan dynasty china like his father Lee Gok, understood the contradictions of the ...

      Mokeun Lee Saek, a representative intellectual and Neo-Confucian scholar in the late Goryeo dynasty as a talented man who had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Yuan dynasty china like his father Lee Gok, understood the contradictions of the late Goryeo society more clearly than anyone else. Lee Saek’s diagnoses and solutions to the late Goryeo society could be found in his appeals to King Gongmin, addressed in the year 1352 and 1356. Lee Saek’s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land problems especially show his accurate problem recognition of problems faced by the late Goryeo society.
      Although reformations taken by King Chungsuk and King Chungmok made cadastre to restore the land system, the problem remained until King Gongmin. Progressing the reform by King Gongmin, Lee Saek tried to restore the principle of ‘One Land, One Owner’ based on the cadastre made in 1310.
      His awareness and solution of the land problem was a practical proposal to solve the problem of ‘one land, many owners’, pointed out as the gravest indictment in the Goryeo society at that time. The reasons for the failure, however, were likely due to the lack of political power to sustain force for reform by King Gongmin and the direction of the reform weighted towards the political end. The reforms during King Gongmin, despite their justification, could not achieve real results because of distortion of reform by its political end and because of external conditions such as the Red Turban and Japanese Raiders’ invasions of Goryeo.
      Lee Saek’s awareness of the land problem based on reality was a practical solution comparable to private land reformists such as Jeong Dojeon and Jo Jun. Even if evaluated concerning the success of the reform, his opinion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terms of feasibility. Lee Saek’s argument has limitations that could not keep up with the times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at that time, but should not be criticized as conservative reform to defend the vested interests with a consequential evaluation that ignores the reality of that ti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은 이색은 고려 후기 대표적 지식인이자 성리학자였다. 이색은 아버지 이곡과 함께 원의 제과에 합격한 인재로서 고려 후기 사회의 모순에 대해 누구보다도 깊이 있게 이해하였다. 이색이 공민왕에게 올린 복중상서와 시정팔사의 상서는 이색의 고려후기 사회에 대한 진단과 해법이 담겨있는 내용으로 주목된다. 특히 토지 문제에 대한 이해와 인식은 고려후기 사회가 안고 있었던 문제점에 대한 이해와 진단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이색의 일관된 문제의식을 살필 수 있다.
      고려 후기는 충숙왕의 개혁과 충목왕대의 개혁을 통해 갑인주안의 작성과 이를 기반으로 한 토지제도의 복구에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공민왕대에 이르기까지에도 그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이에 공민왕의 개혁 과정에서 이색은 다시 갑인주안을 주목하면서 이를 기반으로 한 일전일주의 원칙을 복구하고자 하였다.
      이색의 토지 문제에 대한 인식과 해법은 당시 고려 사회의 가장 큰 폐단으로 지적되었던 일전다주의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 제안이었다. 그러나 그것이 실현되지 못한 이유는 공민왕대 개혁의 동력을 지속적으로 추동할 수 있는 정치력의 한계와 정치적 목적에 경도된 개혁의 방향으로 인해 개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공민왕대 진행된 여러 차례의 개혁은 개혁의 정당성에도 불구하고 개혁의 정치적 목적으로 인한 개혁의 왜곡, 홍건적의 침입, 왜구의 침입 등으로 인한 외적 조건에 의해 실질적 성과를 이룰 수 없었다.
      이색의 토지문제 인식은 현실에 기반을 둔 해법을 제시한 것으로 정도전, 조준 등 사전혁파론자의 개혁성에 비견되는 현실적 해법이라고 할 수 있다. 개혁의 성공 여부에 기초한 평가라 하더라도 실현 가능성에 의미를 둔다면 이색의 주장은 충분히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색의 주장은 당시 한국사의 전개 과정에서 볼 때 시대의 흐름에 따라가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기득권을 옹호하기 위한 보수적 개혁이라고 비판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것은 당시의 현실을 무시한 결과론적 평가라고 생각된다.
      번역하기

      목은 이색은 고려 후기 대표적 지식인이자 성리학자였다. 이색은 아버지 이곡과 함께 원의 제과에 합격한 인재로서 고려 후기 사회의 모순에 대해 누구보다도 깊이 있게 이해하였다. 이색이...

      목은 이색은 고려 후기 대표적 지식인이자 성리학자였다. 이색은 아버지 이곡과 함께 원의 제과에 합격한 인재로서 고려 후기 사회의 모순에 대해 누구보다도 깊이 있게 이해하였다. 이색이 공민왕에게 올린 복중상서와 시정팔사의 상서는 이색의 고려후기 사회에 대한 진단과 해법이 담겨있는 내용으로 주목된다. 특히 토지 문제에 대한 이해와 인식은 고려후기 사회가 안고 있었던 문제점에 대한 이해와 진단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이색의 일관된 문제의식을 살필 수 있다.
      고려 후기는 충숙왕의 개혁과 충목왕대의 개혁을 통해 갑인주안의 작성과 이를 기반으로 한 토지제도의 복구에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공민왕대에 이르기까지에도 그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이에 공민왕의 개혁 과정에서 이색은 다시 갑인주안을 주목하면서 이를 기반으로 한 일전일주의 원칙을 복구하고자 하였다.
      이색의 토지 문제에 대한 인식과 해법은 당시 고려 사회의 가장 큰 폐단으로 지적되었던 일전다주의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 제안이었다. 그러나 그것이 실현되지 못한 이유는 공민왕대 개혁의 동력을 지속적으로 추동할 수 있는 정치력의 한계와 정치적 목적에 경도된 개혁의 방향으로 인해 개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공민왕대 진행된 여러 차례의 개혁은 개혁의 정당성에도 불구하고 개혁의 정치적 목적으로 인한 개혁의 왜곡, 홍건적의 침입, 왜구의 침입 등으로 인한 외적 조건에 의해 실질적 성과를 이룰 수 없었다.
      이색의 토지문제 인식은 현실에 기반을 둔 해법을 제시한 것으로 정도전, 조준 등 사전혁파론자의 개혁성에 비견되는 현실적 해법이라고 할 수 있다. 개혁의 성공 여부에 기초한 평가라 하더라도 실현 가능성에 의미를 둔다면 이색의 주장은 충분히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색의 주장은 당시 한국사의 전개 과정에서 볼 때 시대의 흐름에 따라가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기득권을 옹호하기 위한 보수적 개혁이라고 비판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것은 당시의 현실을 무시한 결과론적 평가라고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冷鵬飛, "진한제국경제사" 태학사 2019

      2 도현철, "조선 건국 과정에서 역사 기록의 상이한 평가와 해석" 역사학회 (248) : 45-78, 2020

      3 이익주, "이색의 삶과 생각" 일조각 2006

      4 박종기, "이색의 당대사(當代史) 인식과 인간관 - 묘지명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66) : 337-362, 2007

      5 도현철, "이곡의 개혁론과 유교문명론" 지식산업사 2021

      6 신은제, "원종충렬왕대 전민변정사업의 성격" 한국중세사학회 (21) : 73-110, 2006

      7 도현철, "목은 이색의 정치사상 연구" 혜안 2011

      8 이성무, "대은 변안렬의 생애와 업적" 지식산업사 2013

      9 이익주, "공민왕대 개혁의 추이와 신흥유신의 성장" 15 : 1995

      10 신은제, "공민왕 즉위초 정국의 동향과 전민변정" 한국중세사학회 (29) : 371-400, 2010

      1 冷鵬飛, "진한제국경제사" 태학사 2019

      2 도현철, "조선 건국 과정에서 역사 기록의 상이한 평가와 해석" 역사학회 (248) : 45-78, 2020

      3 이익주, "이색의 삶과 생각" 일조각 2006

      4 박종기, "이색의 당대사(當代史) 인식과 인간관 - 묘지명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66) : 337-362, 2007

      5 도현철, "이곡의 개혁론과 유교문명론" 지식산업사 2021

      6 신은제, "원종충렬왕대 전민변정사업의 성격" 한국중세사학회 (21) : 73-110, 2006

      7 도현철, "목은 이색의 정치사상 연구" 혜안 2011

      8 이성무, "대은 변안렬의 생애와 업적" 지식산업사 2013

      9 이익주, "공민왕대 개혁의 추이와 신흥유신의 성장" 15 : 1995

      10 신은제, "공민왕 즉위초 정국의 동향과 전민변정" 한국중세사학회 (29) : 371-400, 2010

      11 김기섭, "고려시기 토지소유론의 비판적 계승과 ‘佃戶’의 실체" 한국중세사학회 (55) : 397-449, 2018

      12 박종진, "고려시기 재정운영과 조세제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3 홍영의, "고려말 정치사 연구" 혜안 2005

      14 김기섭, "고려말 사전구폐론자의 전시과인식과 그 한계" 127 : 1990

      15 김기섭, "고려말 鄭道傳의 토지문제 인식과 전제개혁론" 부산경남사학회 (101) : 213-245, 2016

      16 이익주, "고려 우왕대 이색의 정치적 위상에 대한 연구" 한국역사연구회 (68) : 155-187, 2008

      17 이익주, "고려 말 정도전의 정치세력 형성 과정 연구" 국학연구원 (134) : 79-114, 2006

      18 김기섭, "고려 녹과전제의 시행과 분급방식의 변화" 효원사학회 60 : 123-162, 2021

      19 朴京安, "麗末 儒者들의 田制改革論에 대하여" 85 : 1994

      20 都賢喆, "高麗末 士大夫의 政治思想硏究" 一潮閣 1999

      21 李景植, "高麗時期土地制度硏究" 지식산업사 2012

      22 朴京安, "高麗後期土地制度硏究" 혜안 1996

      23 "高麗史節要"

      24 "高麗史"

      25 安秉佑, "高麗前期의 財政構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26 李景植, "韓國中世土地制度史-高麗"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27 김인호, "金祉의 「周官六翼」 편찬과 그 성격" 40 : 2001

      28 金炯秀, "策問을 통해본 李齊賢의 現實認識" 13 : 2002

      29 "稼亭集"

      30 "益齋亂藁"

      31 朴京安, "甲寅柱案考" 66 : 1990

      32 "牧隱集"

      33 申千湜, "牧隱 이색의 學問과 學脈" 一潮閣 1998

      34 李佑成, "牧隱 李穡의 生涯와 思想" 一潮閣 1996

      35 이숙경, "李齊賢 勢力의 形成과 그 役割" 64 : 1989

      36 李景植, "朝鮮前期土地制度硏究" 일조각 1986

      37 오일순, "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 민음사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