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현파진백만병도(謝玄破秦百萬兵圖)>에는 숙종의 감상을 거쳤음을 증명하는 어인(御印)이 찍혀 있다. 인물, 말, 산수 표현에는 꼼꼼하고 숙달된 필치가 간취되며 청록 안료와 금니(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763077
이성훈 (부산박물관)
2009
Korean
Fu Jian ; Xie Xuan ; Battle of the Fei River ; History paintings ; Sukjong ; Court painting ; 부견(苻堅) ; 사현(謝玄) ; 비수 전투(淝水戰鬪) ; 역사고사도(歷史故事圖) ; 숙종(肅宗) ; 궁중회화(宮中繪畵) ; Fu Jian ; Xie Xuan ; Battle of the Fei River ; History paintings ; Sukjong ; Court painting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33-68(36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현파진백만병도(謝玄破秦百萬兵圖)>에는 숙종의 감상을 거쳤음을 증명하는 어인(御印)이 찍혀 있다. 인물, 말, 산수 표현에는 꼼꼼하고 숙달된 필치가 간취되며 청록 안료와 금니(金...
<사현파진백만병도(謝玄破秦百萬兵圖)>에는 숙종의 감상을 거쳤음을 증명하는 어인(御印)이 찍혀 있다. 인물, 말, 산수 표현에는 꼼꼼하고 숙달된 필치가 간취되며 청록 안료와 금니(金泥) 등이 그림 채색에 사용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이 그림이 숙종대 도화서 화원에 의해 제작된 궁중회화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림 제목만을 놓고 볼 때 <사현파진백만병도>는 중국 위진․남북조시대 비수(淝水) 부근에서 동진(東晋) 장수 사현(謝玄, 343~388)이 전진(前秦) 왕 부견(苻堅, 357~385)이 이끄는 백만 부대를 격파한 장면을 묘사한 그림이다. 그러나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이 그림은『진서(晋書)』둥의 중국 역사서에 기술된 장면, 즉 부견과 그의 병사들이 비수 전투에서 동진군에 패하여 달아나는 모습을 형상화한 역사고사도로 추정된다. 이를 반영하듯 그림 속 모든 표현 요소들은 위 사서(史書)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그림 수장가 혹은 감상가로 널리 알려져 있는 숙종(肅宗, 1674~1720)은 <사현파진백만병도>와 같은 역사고사도 제작을 자주 지시하였다. <제위왕봉즉묵대부팽아대부도(齊威王奉卽墨大夫烹阿大夫圖)>, <황룡부주도(黃龍負舟圖)> 등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숙종은 자신의 정치적 행위의 정당성을 강조하거나 선전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역사고사도를 제작해 활용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사현파진백만병도>는 부견의 패배 장면을 시각적으로 이미지화하여 부견이 실천하지 못했던 내치(內治)와 자강(自强)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한편, 노론(老論)과 소론(少論)의 갈등으로 점철된 당시 정국의 혼란을 매듭짓고자 했던 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숙종이 그 제작을 지시한 그림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사현파진백만병도>는 조선시대 회화가 가졌던 공리적 기능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자 조선시대 국왕이 통치의 한 수단으로 회화를 활용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사현파진백만병도>는 양식과 화풍 면에서도 조선후기 회화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 그림에는 전통적인 요소에 더하여『황명영렬전(皇明英烈傳)』등 명대 소설 판화 및 명대 산수 판화 등으로부터 영향 받은 새로운 요소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화풍 면에서《역사고사인물화책(歷史故事人物畵冊)》등 18세기 초반에서 18세기 중반 사이에 주로 도화서 화원들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들과도 연관되는 측면을 보인다. 그러므로 <사현파진백만병도>는 숙종대 궁중회화의 회화적 특징을 잘 보여줄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회화사에서 숙종대 궁중회화가 차지하는 위치와 중요성을 재확인시켜 줄 수 있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Xie Xuan Defeats Fu Jian’s One Million-strong Force, an impressive war scene on an eight-panel folding screen from the early 18th century, bears a royal seal on one corner, indicating that King Sukjong (r. 1674-1720) viewed and appreciated this pain...
Xie Xuan Defeats Fu Jian’s One Million-strong Force, an impressive war scene on an eight-panel folding screen from the early 18th century, bears a royal seal on one corner, indicating that King Sukjong (r. 1674-1720) viewed and appreciated this painting. This brilliantly-colored work, made striking by the contrast of deep green and gold, is executed with masterly brushstrokes, providing fine details of human subjects, horse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quality of execution suggests that this unattributed painting was the work of court painters who lived in Sukjong’s time, possibly belonging to the dohwaseo, the royal bureau of painting.
As can be gathered from its title, the folding screen painting depicts the scene of a famous battle from the Wei, Jin and South and North Dynasties of China, which took place near the Fei River. In this battle opposing Eastern Jin and Former Qin, Xie Xuan’s (343-388) army decimated a large contingent of enemy forces led by King Fu Jian (357-385). In visualizing this battle, the history painting faithfully follows the accounts provided in Jinshu (History of Jin) and other ancient Chinese history books. Fu Jian and his troops are, for instance, shown retreating in panic; the state of chaos mentioned in written accounts as a measure of the magnitude of defeat suffered by Former Qin.
A monarch exceptionally fond of paintings, Sukjong frequently ordered works on historical themes. Sukjong commissioned history paintings not just out of personal predilection, but with political agendas in mind. Works such as King Wei of Qi Bestows Titles on Official Jimo and Has Official A Boiled to Death or The Yellow Dragon Carries the Boat’ are cases in point. Xie Xuan Defeats Fu Jian’s One Million-strong Force, offering a vivid visual representation of Fu Jian’s defeat,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internal political stability and a strong defense posture, and is likely to have been meant by Sukjong as a message to his divided court, which was torn by political bickering between the Noron and Soron parties. This folding screen painting, therefore, is an excellent testimony to the utilitarian role of paintings in Korea of Joseon period, as well as the active political exploitation of them by the rulers of this dynasty.
Xie Xuan Defeats Fu Jian’s One Million-strong Force occupies also an important place in the history of late Joseon painting for the stylistic influences and affinities it exhibits. This work, while being in the traditional style of painting of its genre, reveals the influence of woodprints from the Ming Dynasty of China, particularly of Huangmingyingliechuan. Meanwhile, this painting shows affinities with works on similar historical themes from the early to mid-18th century, attributed to court painters, and notably with Book of Portraits of Historical and Legendary Figures. Finally, the value of this folding screen painting is inestimable also as a window into court painting during Sukjong’s reign, a high point in the history of this genre of Joseon painting.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 한길아트 2000
2 李泰鎭, "조선후기의 정치와 군영제의 변천" 한국연구원 1985
3 박광용, "조선후기 탕평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1994
4 고연희, "조선후기 산수기행예술 연구" 일지사 2001
5 李泰鎭, "조선후기 대명의리론의 변천"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0 : 5-14, 1994
6 이현진, "조선후기 宗廟 정비와 世室論 연구" 울대학교대학원 2006
7 정은주, "조선후기 中國山水版畵의 성행과 《五嶽圖》" 한국대학박물관협회 (71) : 49-80, 2008
8 이성미, "조선왕실의 미술문화" 대원사 2005
9 이순미, "조선시대 『海內奇觀』의 수용과 화단에의 영향"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1 (31): 205-229, 2008
10 민길홍, "정선의 고사인물화" 사회평론 314-334,
1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 한길아트 2000
2 李泰鎭, "조선후기의 정치와 군영제의 변천" 한국연구원 1985
3 박광용, "조선후기 탕평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1994
4 고연희, "조선후기 산수기행예술 연구" 일지사 2001
5 李泰鎭, "조선후기 대명의리론의 변천"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0 : 5-14, 1994
6 이현진, "조선후기 宗廟 정비와 世室論 연구" 울대학교대학원 2006
7 정은주, "조선후기 中國山水版畵의 성행과 《五嶽圖》" 한국대학박물관협회 (71) : 49-80, 2008
8 이성미, "조선왕실의 미술문화" 대원사 2005
9 이순미, "조선시대 『海內奇觀』의 수용과 화단에의 영향"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1 (31): 205-229, 2008
10 민길홍, "정선의 고사인물화" 사회평론 314-334,
11 사마광, "자치통감" 11 : 2007
12 宮嶝掌寫本, "자치통감"
13 평양사회과학원 민족고전연구소, "이조실록" 여강출판사 1993
14 호암미술관, "용,신화와 미술" 호암미술관 2000
15 장진아, "왕의 글이 있는 그림" 국립중앙박물관 2008
16 鄭莫昊, "여씨춘추" 자유문고 1993
17 진준현, "숙종의 서화취미" 서울대학교박물관 7 : 3-37, 1995
18 임재완, "삼성미술관 Leeum 소장 고서화 제발 해설집" 삼성문화재단 2006
19 정옥자, "대보단 창설에 관한 연구" 삼영사 527-550, 1985
20 호암미술관, "김홍도와 궁중화가" 호암미술관 1999
21 安輝濬, "韓國繪書史" 一志社 1980
22 민족문화추진회, "韓國文集叢刊" 영인본 154 : 1995
23 국립중앙박물관, "靑鹿山水畵·六一帖" 국립중앙박물관 14 : 2006
24 中國淸代宮延版畫, "著正圖解" 影眺本 37 : 2002
25 上海古籍出版社, "箕台廂避" 영인본 1987
26 古本小說集成, "皇搬明黃烈傳" 影眺本 193 : 1990
27 國史編纂委員會編, "朝鮮王朝貸錄" 영인본 1968
28 鄭萬祚, "朝鮮後期의 良役變通論"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7 : 333-341, 1990
29 李相植, "朝鮮後期 肅宗의 政局運營과 王權 硏究" 려대학교대학원 2005
30 李山悔(朝鮮), "會纂宋岳鄂武穆王精忠錄"
31 경인문화사, "晋書 上" 영인본 1998
32 北京圖書館古籍珍本叢刊, "帝鑒圖說" 影眺本 14 : 1988
33 洪寅杓, "孟子" 서울대학교출판부 1992
34 姜文皓, "前秦 苻堅의 政治와 帝權" 한국중국학회 37 : 135-195, 1997
35 서울대 학교 규장각, "列聖御製" 영인본 2002
36 劉美那, "中國詩文을 주제로 한 朝鮮後期 書畵合壁帖 硏究" 동국대학교대학원 2005
37 朴在淵, "中國小詋籍本" 영인본 1993
38 박한제, "中國中世 胡模體制硏究" 一潮閣 1988
39 Michael C. Rogers, "The Chronicle of fu Chien : A Case of Exemplar History, translated and annotated with prolegome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8
40 Julia K. Murray, "Mirror of Morality"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7
41 David Andrew Craff, "Medival Chinses Warfare" Routledge 2002
42 비매품, "From the collection of Ryun Namkoong 2002 IV"
43 金南基, "<<列聖御製>>에 실린 조선 국왕의 題畵詩 연구" 한국문학회 34 : 309-337, 2003
44 조규희, "1746년의 그림: ‘시대의 눈’으로 바라 본 <장주묘암도>와 규장각소장『관동십경도첩』"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6 (6): 224-253, 2007
인도 근대 미술의 여성상과 민족주의(Nationalism)의 성장
숙종대 역사고사도 제작과 〈謝玄破秦百萬兵圖〉의 정치적 성격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8-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2 | 1.02 | 1.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2 | 1.04 | 1.591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