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테러리즘의 개념 분석: 테러리즘대응 논의에의 시사점 = Concepts of Terrorism: Implications for anti-terrorism legislations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902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fear over terrorism expands, active debates continue to take place. At the core of these conversations is the concept of terrorism and anti-terrorism legislation. Legislation has failed due to abuses of power given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terrorism and the controversy over the possibility of human rights violations despite steady attempts to pass anti-terrorism legislation over the past 15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finitions of terrorism and draw implications for anti-terrorism legisl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initially introduces three major elements of terrorism: the political purpose, the use of violence, and the targeting of the innocent people. Second, the study establishes four types of definitions of terrorism: ①comprehensive definitions, ② definitions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treaties, ③ defini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errorism, and ④ definitions according to the impact or effect of terrorism. Finally, the study analyzes the concepts of terrorism as stated in the ten anti-terrorism bills proposed thus far and provides insight into the legislative discussions which have taken place on the subject of terrorism.
      번역하기

      As the fear over terrorism expands, active debates continue to take place. At the core of these conversations is the concept of terrorism and anti-terrorism legislation. Legislation has failed due to abuses of power given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

      As the fear over terrorism expands, active debates continue to take place. At the core of these conversations is the concept of terrorism and anti-terrorism legislation. Legislation has failed due to abuses of power given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terrorism and the controversy over the possibility of human rights violations despite steady attempts to pass anti-terrorism legislation over the past 15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finitions of terrorism and draw implications for anti-terrorism legisl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initially introduces three major elements of terrorism: the political purpose, the use of violence, and the targeting of the innocent people. Second, the study establishes four types of definitions of terrorism: ①comprehensive definitions, ② definitions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treaties, ③ defini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errorism, and ④ definitions according to the impact or effect of terrorism. Finally, the study analyzes the concepts of terrorism as stated in the ten anti-terrorism bills proposed thus far and provides insight into the legislative discussions which have taken place on the subject of terror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테러리즘에 대한 공포가 확대되면서 테러리즘에 관한 논의가 다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논의의 핵심은 테러리즘의 개념과 테러리즘에 대한 대응 입법이다. 지난 15년간 테러리즘대응 입법시도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테러리즘 관련 개념의 모호성으로 인한 권력남용이나 인권침해 가능성에 대한 논란으로 입법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테러리즘의 개념을 분석하여 테러리즘대응 입법 논의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테러리즘의 주요 특징인 정치적 목적, 폭력의 수단, 일반시민 대상이라는 3가지 요소를 테러리즘의 구성요소로 설정한다. 둘째, 테러리즘의 개념 정의 방식을 4가지 방식, 즉 ① 포괄적 정의방식, ② 국제조약에 의거한 정의방식, ③ 테러의 목적을 제시하는 방식, ④ 테러로 인한 영향이나 효과를 결부시켜 정의하는 방식으로 구분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틀을 활용하여 그동안 발의된 10개의 테러리즘 대응 법안들이 정의하고 있는 테러리즘 개념을 분석함으로써 테러리즘 대응 입법 논의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번역하기

      테러리즘에 대한 공포가 확대되면서 테러리즘에 관한 논의가 다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논의의 핵심은 테러리즘의 개념과 테러리즘에 대한 대응 입법이다. 지난 15년간 테러리즘대응 입...

      테러리즘에 대한 공포가 확대되면서 테러리즘에 관한 논의가 다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논의의 핵심은 테러리즘의 개념과 테러리즘에 대한 대응 입법이다. 지난 15년간 테러리즘대응 입법시도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테러리즘 관련 개념의 모호성으로 인한 권력남용이나 인권침해 가능성에 대한 논란으로 입법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테러리즘의 개념을 분석하여 테러리즘대응 입법 논의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테러리즘의 주요 특징인 정치적 목적, 폭력의 수단, 일반시민 대상이라는 3가지 요소를 테러리즘의 구성요소로 설정한다. 둘째, 테러리즘의 개념 정의 방식을 4가지 방식, 즉 ① 포괄적 정의방식, ② 국제조약에 의거한 정의방식, ③ 테러의 목적을 제시하는 방식, ④ 테러로 인한 영향이나 효과를 결부시켜 정의하는 방식으로 구분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틀을 활용하여 그동안 발의된 10개의 테러리즘 대응 법안들이 정의하고 있는 테러리즘 개념을 분석함으로써 테러리즘 대응 입법 논의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계수, "테러방지법안의 쟁점" 민주주의법학연구회 0 (0): 371-401, 2004

      2 국가인권위원회, "테러방지법(안)의 쟁점과 대안" 국가인권위원회 2001

      3 김갑배, "테러방지법(안)에 대한 의견서, In 테러방지법(안)의 쟁점과 대안" 2001

      4 국가인권위원회, "테러방지법(안)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의 의견" 국가인권위원회 2002

      5 이규영, "탈냉전기 유럽 정보환경과 정보 공동체" 세종연구소 14 (14): 33-60, 2007

      6 이계수, "정부의 테러방지법안에 대한 의견서" (21) : 377-400, 2002

      7 김홍신, "무리한 법안의 추진보다는 국민신뢰획득이 우선되어야 한다, In 테러방지법(안)의 쟁점과 대안" 2001

      8 이만종, "공중협박자금 조달금지법의 체계론적 고찰" 한국치안행정학회 7 (7): 19-41, 2010

      1 이계수, "테러방지법안의 쟁점" 민주주의법학연구회 0 (0): 371-401, 2004

      2 국가인권위원회, "테러방지법(안)의 쟁점과 대안" 국가인권위원회 2001

      3 김갑배, "테러방지법(안)에 대한 의견서, In 테러방지법(안)의 쟁점과 대안" 2001

      4 국가인권위원회, "테러방지법(안)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의 의견" 국가인권위원회 2002

      5 이규영, "탈냉전기 유럽 정보환경과 정보 공동체" 세종연구소 14 (14): 33-60, 2007

      6 이계수, "정부의 테러방지법안에 대한 의견서" (21) : 377-400, 2002

      7 김홍신, "무리한 법안의 추진보다는 국민신뢰획득이 우선되어야 한다, In 테러방지법(안)의 쟁점과 대안" 2001

      8 이만종, "공중협박자금 조달금지법의 체계론적 고찰" 한국치안행정학회 7 (7): 19-41,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99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